• 제목/요약/키워드: glycolipids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2초

Melibiose로부터 M-5중간체 galactosylglycerol의 합성 (Synthesis of galactosylglycerol from Melibiose as M-5 Intermediate)

  • 차배천
    • 약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575-581
    • /
    • 2001
  • The galactolipid M-5, which showed anti-inflammatory activity is glycoglycerolipid isolated from the Okinawa marine sponge Phyllospongia foliascens. Glycolipids have been synthesized by various methods, especially it were generally known that synthetic method of M-5 analogue and synthetic method of various glycolipids by glycosidation after synthesis of glycerolipid part. The others, it was not suggested that synthetic method via glycosylglycerol obtained by degradation from diglycosid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ynthesis of galactosylglycerol from melibiose as M-5 intermediate. Synthesis of galactosylglycerol was accomplished by selective protection of hydroxy group of sugar and diol cleavage by Pb(OAc)$_4$. As a result, galactosylglycerol was synthesized by 8 steps pathway and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by analysis instrument.

  • PDF

Enhanced Biodegradation of Lindane Using Oil-in-Water Bio-Microemulsion Stabilized by Biosurfactant Produced by a New Yeast Strain, Pseudozyma VITJzN01

  • Abdul Salam, Jaseetha;Das, Nilanjan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11호
    • /
    • pp.1598-1609
    • /
    • 2013
  •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continue to remain as a major environmental threat worldwide. Lindane is an organochlorine pesticide widely used as an acaricide in medicine and agriculture. In the present study, a new lindane-degrading yeast strain, Pseudozyma VITJzN01, was identified as a copious producer of glycolipid biosurfactant. The glycolipid structure and type were elucidated by FTIR, NMR spectroscopy, and GC-MS analysis. The surface activity and stability of the glycolipid was analyzed. The glycolipids, characterized as mannosylerythritol lipids (MELs), exhibited excellent surface active properties and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was reduced to 29 mN/m. The glycolipid was stable over a wide range of pH, temperature, and salinity, showing a very low CMC of 25 mg/l. Bio-microemulsion of olive oil-in-water (O/W) was prepared using the purified biosurfactant without addition of any synthetic cosurfactants, for lindane solubilization and enhanced degradation assay in liquid and soil slurry. The O/W bio-microemulsions enhanced the solubility of lindane up to 40-folds. Degradation of lindane (700 mg/l) by VITJzN01 in liquid medium amended with bio-microemulsions was found to be enhanced by 36% in 2 days, compared with degradation in 12 days in the absence of bio-microemulsions. Lindane-spiked soil slurry incubated with bio-microemulsions also showed 20-40% enhanced degradation compared with the treatment with glycolipids or yeast alone. This is the first report on lindane degradation by Pseudozyma sp., and application of bio-microemulsions for enhanced lindane degradation. MEL-stabilized bio-microemulsions can serve as a potential tool for enhanced remediation of diverse lindane-contaminated environments.

초임계 CO2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탈지 유채박 중 표면활성물질 추출의 최적화 (Extractions of Surface-Active Substances from Defatted Rapeseed Meal (Brassica napus L.)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김정원;정용선;길나영;이의석;이영화;장영석;이기택;홍순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31-840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탈지 유채박 중 표면활성물질의 추출을 위해 초임계 $CO_2$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추출 독립변수는 추출압력(150~350 bar), 온도($33{\sim}65^{\circ}C$), 보조용매량(ethanol, 150~250 g)으로 하였으며, D-optimal design에 의한 반응표면 분석을 통해 추출수율, 중성지질 분획, 인지질 분획, 당지질 분획 함량 등의 종속변수에 대한 최적 추출조건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압력, 온도, 그리고 보조용매량이 증가함에 따라 종속변수 즉, 추출수율, 인지질, 당지질 함량 등은 증가하였으나, 중성지질 함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보조용매량이 각 종속변수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유도된 회귀식 모형은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와 잘 일치하였으며, 초임계 $CO_2$ 유체 추출에 있어서 종속변수인 추출수율, 인지질, 당지질 함량 등을 최대로 하면서 중성지질 함량을 최소로 하는 최적화된 추출조건은 추출압력 350 bar, 추출온도 $65^{\circ}C$, 보조용매량 228.55 g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조건에서 추출수율은 5.98%, 추출물은 중성지질 3.0%, 인지질 69.43%, 당지질 17.46% 등의 조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되었다.

보리와 맥아(麥芽)의 지방질(脂肪質) 성분(成分)에 관한 비교(比較) 연구 -제(第)2보(報) : 극성지질(極性脂質)의 조성(組成)-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Barley and Malt -II. Composition of Polar Lipids-)

  • 이상영;김종승;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7-42
    • /
    • 1981
  • 우리나라에서 재배된 4가지 품종의 보리와 이들의 맥아에서 추출한 총지방질중 극성지질의 조성을 관, 얇은막 및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4가지 품종의 보리와 이들 맥아의 총지방질중 당질의 평균함량은 8.9% 및 12.3%, 인지질의 평균함량은 17.3% 및 19.2%였으며, 보리중의 당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은 맥아에서 평균 39.5% 및 11.5%가 증가하였다. 2. 보리의 당지질 중에는 DGDG 와 MGDG가 평균 35.5%및 28.6%로 주요성분이 었고 SG와 Cerebroside는 20.7% 및 15.2%이었으며, 보리중의 DGDG 와 MGDG 는 맥아에서 감소되었으나, SG 와 Cerebroside는 증가하였다. 3. 보리의 인지질 중에는 phosphatidyl choline(PC), lysophosphatidyl choline(LyPC), diphosphatidyl glycerol(DPG), phosphatidyl ethanolamine(PE)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맥아는 보리에 비하여 PC, LyPC는 감소하였으나 PE와 DPG는 증가하였다. 4. 보리와 맥아의 지방질중 당지질 및 인지질 획분의 지방산조성과 그 변화는 총지방질과 중성지질 획분의 지방산조성 및 그 변화 패턴과 비슷하였다. 그러나 당지질 획분중에는 리놀레산, 인지질 획분중에는 팔미트산의 함량이 다른 획분들에 비하여 많았다.

  • PDF

한국산 식용버섯의 지방질 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pids Composition of Korean Edible Mushrooms)

  • 홍재식;김영회;김명곤;김태영;김금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437-442
    • /
    • 1990
  • 국내에서 생산되는 재배버섯으로 일반느타리(Pleurotus ostreatus)와 고온성느타리(Pleurotus sajor-caju) 및 야생식용버섯으로 싸리버섯(Ramaria botrytis)과 젖버섯(Lactarius volemus)의 지질성분조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각 버섯의 지방함량은 $0.32{\sim}0.39%$이었으며, 그 조성은 인지질$(19.4{\sim}47.4%)$, 중성지질$(32.1{\sim}51.9%)$, 당지질$(14.8{\sim}28.7%)$ 순으로 많았으나 고온성 느타리는 다른 버섯에 비하여 중성지질(51.9%)의 함량이 높았다. 중성지질에서는 triglyceride$(21.2{\sim}38.2%)$, free sterol$(21.0{\sim}21.9%)$, sterol ester$(10.3{\sim}18.6%)$ 순으로 많았으나 고온성 느타리는 free fatty acid(34.1%)의 함량이 다른 버섯에 비하여 특이하게 높았다. 당지질은 steryl glycoside$(15.6{\sim}29.4%)$, esterified steryl glycoside$(13.4{\sim}23.9%)$, monogalactosyl diglyceride$(15.6{\sim}24.6%)$ 순으로 많았으며, 인지질의 조성은 phosphatidyl choline$(36.7{\sim}49.5%)$, phosphatidyl ethanolamine$(20.9{\sim}29.7%)$, phosphatidyl inositol$(18.4{\sim}26.1%)$ 순으로 많았다. 각 구성지질의 지방산조성은 4종의 버섯 공히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가 주요 지방산이었으나 싸리버섯은 중성지질에서 ole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 PDF

한국산 마지질의 분획 정량과 지방산조성 (Quantitative Fractionation of Total Lipids and Their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Yam Tubers.)

  • 김용선;김상순;김철재;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52-657
    • /
    • 1995
  • 한국산 마(긴마, 단마)에서 총지질을 추출하고 이의 각종 구성 지질을 SCC(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분획 정량하고, 이들의 조성을 TLC에 의해 분별한 후 각 획분의 지방산 조성을 GC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마의 건조물 중 총지질의 함량을 보면, 긴마, 단마는 각각 1.70%, 1.31%이었고 정제 총지질은 각각 1.35%, 0.99%였다. 또한 정제 총지질을 SCC로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로 분획 정량한 결과, 긴마는 각각 43.33%, 39.60%, 17.07%, 단마는 각각 43.94%, 34.74%, 21.32%로 중성지질이 가장 많았다. 마의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주요성분은 triglyceride와 sterol ester이며 당지질의 구성성분은 monogalactosyl diglyceride, trigalactosyl dialyceride이었다. 그리고 인지질의 주요 구성성분은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ethanolamine이었다. 총 지질을 구성하는 주된 지방산을 보면, 마는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또한, 총지질 중의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을 구성하는 주된 지방산 조성은 총지질을 구성하는 지방간 조성의 pattern과 거의 같았으며, 다만 당지질 경우 linolenic acid가 중성 및 인지질에서 보다는 구성성분으로 다소 많았다.

  • PDF

느타리버섯의 지방성분(脂肪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in Oyster Mushroom)

  • 권용주;엄태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5-180
    • /
    • 1984
  • 느타리버섯의 지방질을 chloroform methanol(2:1,v/v)로 추출한 후 관, TLC, GLC로 분리(分離), 정량(定量)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느타리버섯은 약 0.51%의 조지방질(粗脂肪質)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 중 중성지질은 33.8%, 당지질은19.7%, 인지질은 46.5% 이었다. 2. 중성지질중에는 triglyceride (38.2%), freefatty acid (20%) free sterol (10%)가 주성분이었고 그 외에 diglyceride, monoglycerides, sterol-ester와 3가지 미확인 성분이 존재하였다. 3. 당지질 중에는 steryl glycosides (28.9%)와 esterified steryl glycoside (23.7%)가 주성분이었으며 이외에 digalactosyl diglyceride, monogalactosyl diglyceride와 2가지 미확인 당, 지질성분이 존재하였다. 4. 인지질중에는 phosphatidrl choline과 serine(48.2%), phosphatidyl ethanol amine (44.4%)이 주성분이었고 phosphatidyl inositol도 소량 존재하였다. 5. 중성지질의 주요지방산은 linoleic (34.2%), palmitoleic (21.7%), oleic (17.7%) 및 Palmitic acid(15.3%)였다. 당지질이 주요지방산은 linoleic(47.4%)과 Palmitic acid(15.7%)였으며, 인지질의 주요지방산 역시 linoleic (72.3%)과 Palmitic acid(16.5%) 였다.

  • PDF

싸리종자(Lespedeza bicolor)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ipid Composition of Bush Clover (Lespedeza bicolor) Seed)

  • 김향란;고무석;양희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75-84
    • /
    • 1987
  • 싸리종자의 지질을 chlorform: methanol(2:1, v/v)로 추출한 후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로 분획한 다음 TLC와 GC로 분리,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싸리종자의 일반성분은 수분이 11.60%, 조단백이 20.10%, 조지방이 15.25%, 당질이 48.92%, 회분이 4.13%로 나타났다. 2. 싸리종자의 지질은 중성지질이 71.75%, 당지질이 23.26%, 인지질이 4.99%였다. 3. 중성지질 중에는 triglyceride 61.9%, free fatty acid 22.04%가 주성분을 이루었고 그 외에 free sterol, esterified sterol, diglyceride, monoglyceride 지질 성분이 존재하였다. 4. 당지질 중에는 monogalactosyl diglyceride 38.19%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esterified steryl glycoside, steryl glycoside, digalactosyl diglyceride, cerebroside 등의 지질 성분이 비슷한 함량으로 존재하였다. 5. 인지질 중에는 phosphatidyl choline 36.46%, phosphatidyl inositol 21.52%, phosphatidyl ethanolamine 17.29%가 주성분이었고 lyso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serine과 1가지 미확인 인지질 성분이 존재하였다. 6. 전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36.83%, linolenic acid 19.65%, oleic acid 11.25, palmitic acid 9.61%였고 중성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55.36%, linolenic acid 19.40%, oleic acid 12.47%, palmitic acid 9.81%였다. 당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53.26%, linolenic acid 18.67%, palmitic acid 12.20%, oleic acid 11.39%였다. 인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53.86%, palmitic acid 27.83%, linolenic acid 9.51%, stearic acid 5.00%로 전지질, 중성지질, 당지질의 지방산 조성 pattern과는 차이가 있었다.

  • PDF

Globotriaosylceramide (Gb3) content in HeLa cells is correlated to Shiga toxin-induced cytotoxicity and Gb3 synthase expression

  • Shin, In-Sun;Ishii, Satoshi;Shin, Jong-Seo;Sung, Kyong-Il;Park, Byung-Sung;Jang, Hyun-Yong;Kim, Byong-Wan
    • BMB Reports
    • /
    • 제42권5호
    • /
    • pp.310-314
    • /
    • 2009
  • Globotriaosylceramide (Gb3) and globotetraosylceramide (Gb4) are the proposed functional receptors for Shiga toxin (Stx). To elucidate the effect of Gb3 content on Stx-induced cytotoxicity in HeLa cells, we cloned HeLa cells and deter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glycolipids content and Stx-induced cytotoxicity. The 29 HeLa cell clone (HLCC) lines used showed a wide range of sensitivity to Stx, compared to Gb3-rich cells which were more sensitive, showing as little as 20% viability to 100 pg/ml Stx. In contrast, Gb3-deficient cells proved resistant as they were more than 80% viable to 100 ng/ml Stx. Gb3 content in the HLCC lines corresponded with Stxs-induced cytotoxicity as well as Gb3 synthase expression, but no correlation with Gb4 content was noted. These data show that Gb3 content, which is regulated by the expression of Gb3 synthase, determines the sensitivity of HeLa cells toward Stx.

세균(細菌)의 당지질(糖脂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세균(細菌)에 있어서의 당지질(糖脂質)의 분포(分布)- (Studies on Glycolipids in Bacteria -Part I Occurrence of Glycolipids in Various Bacteria-)

  • 김교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7권2호
    • /
    • pp.117-124
    • /
    • 1974
  • 23종(種)의 대표적(代表約)인 세균(細菌)에 대(對)하여 glucosamine 함량(含量)을 측정(測定)하여 당지질(糖脂質)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고 당지질(糖脂質)의 함량(含量)과 Gram염색(染色)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규명(究明)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Gram음성균(陰性菌) 및 varieable균(菌)은 그 균체(菌體) 당지질중(糖脂質中) glucosamine함량(含量)이 최소(最少) Proteus vulgaris의 $0.04{\mu}g$에서 부터 최고(最高) Aerobacter aerogenes 의 $2.48{\mu}g$의 범위(範圍)로 분포(分布)되여 있었다. Gram positive균(菌) 및 Bacillus속중(屬中)의 Gram양성균(陽性菌)은 전부(全部) $0.02{\mu}g$ 이하(以下)의 함량(含量)을 갖고 있었다. Gram양성(湯性)인 Corynebacterium sepedonicum 및 Staphylococcus aureaus는 특(特)히 glucosamine함량(含量)이 최소(最少)였다. 이들보다 Gram음성균(陰性菌)은 양성균(湯性菌)과 명확(明確)히 구별(區別)할 수 있을만큼 glucosamine함량(含量)이 많았다. 2. Gram염색(染色)은 당지질(糖脂質) 추출전(抽出前)보다 추출후(抽出後)가 염색(染色)이 더 잘되는 경향(傾向)이였다. 3. Aerobacter aerogenes, Bacillus circulans, Pseudomonas fluorescens 및 Salmonella typhirurium의 4균주(菌株)에서 얻은 당지질(糖脂質)의 적외선(赤外線) spectra는 대체(大體)로 같았으며 다 OH-group C-O, C-O-C, $CH_2+CH_3$, amide 결합(結合), 지방산(脂肪酸) ester 결합(結合), ester carbonyl 결합(結合)의 존재(存在)를 확인(確認)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