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ycoalkaloid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8초

광선의 영향에 따른 감자의 Chlorophyll과 Glycoalkaloid의 함량 변화 (The Changes of Chlorophyll and Glycoalkaloid Contents in Potato Tubers after Exposure of Fluorescent and UV Light)

  • 김정애;소궤신행;한재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7-212
    • /
    • 2005
  • To determine changes of chlorophyll and potato glycoalkaloid(PGA) contents in potato tubers after lightening, Dejima potatoes cultivated in Korea were used and PGA was analyzed by HPLC. Potatoes were stored under fluorescent and UV light exposure or darkness for 7 days at $5^{\circ}C$. The contents of chlorophyll and glycoalkaloid in the peel of potatoes exposed to fluorescent light were increased to $84\%,\;69.5\%$ respectively compared to potatoes stored without lightening. While a marked effect of lightening on the peel of potatoes exposed to fluorescent light, UV light lead to no change of chlorophyll and less increase in glycoalkaloid than fluorescent did. The increase of chlorophyll was provoked by only fluorescent light. Cortex part did not accumulate any chlorophyll or glycoalkaloid.

  • PDF

시판 감자 가공제품의 Glycoalkaloid 함량에 관한 연구

  • 김정애;한재숙;소궤신행
    • 한국식품조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2-102
    • /
    • 2003
  • 감자에는 적은 양이지만 자연독의 종류인 glycoalltaloid가 함유되어 있다. glycoalkaloid의 대표적인 성분은 a-solanine과 B-chaconine으로 이들을 20rng 이상 섭취할 때에는 건강에 유해하고 그 함량이 많을 시에는 쓴맛의 원인이 된다. 지금까지의 생감자에 함유된 glycoalkaloid에 관한 연구는 몇편 보고된 바 있으나, 실제 소비자가 구매하여 섭취하는 감자 가공제품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판 감자 가공품을 시료로 하여 그에 함유되어 있는 glycoalkaloid의 함량을 조사히여 시판 감자 가공품에 대한 몇 가지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중략)

  • PDF

감자의 이용 실태 및 Glycoalkaloid에 대한 인식도 조사 (A Survey on the Usage of rotate and Recognition of Glycoalkaloid)

  • 김정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00-606
    • /
    • 2006
  •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usage of potato and recognition of glycoalkaloid among residents aged from their teens to over fifties in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The preferred purchase places for the respondents were traditional markets (41.8%), big discount markets (23.8%), and supermarkets (14.9%), in order. Freshness (52.1%) was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followed by size (12.5%), sprout (10.1%) and producing district (6.6%), in order. Most (77.6%) respondents preferred small amount below $2{\sim}3kg$ per purchase. Potato recognition revealed that respondents knew relatively well that potato sprouts contain toxins (M=4.30), that the major potato toxin is solanine (M=3.86) and that potato contains toxins when its color turns to green (M=3.70). However, respondents did not recognized well that the potato peel contains toxins (M=3.00), or that this toxin is chaconine (M=2.48).

  • PDF

저장(貯藏)에 따른 감자의 Glycoalkaloid의 변화(變化) (Change in Glycoalkaloid of Potatoes during Storage)

  • 황춘선;이성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8-391
    • /
    • 1984
  • Irish Cobbler와 May Queen의 두품종(品種)의 감자를 $1^{\circ}$$20^{\circ}C$에 저장(貯藏)하여 피층부(皮層部) 및 수질부(髓質部)의 glycoalkaloid ($({\alpha}-chaconine$, ${\alpha}-solanine$) 함량(含量)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 검토(檢討)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자 괴경(塊莖)을 $20^{\circ}C$구(區)에서 저장 하였을 때 두품종(品種) 다같이 맹아(萌芽)에 따라 피층부(皮層部)의 ${\alpha}-chaconine$${\alpha}-solanine$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였고 그 증가(增加)의 정도(程度)는 May Queen에 있어서 보다 현저(顯著)하였다. $1^{\circ}C$구(區)의 피층부(皮層部)에서는 두품종(品種) 다같이 외관상(外觀上)의 변화(變化)가 보이지 않은 저장기간 중에도 glycoalkaloid가 증가(增加)하는 것이 확인(確認)되었다. 수질부(髓質部)에 있어서는 두품종(品種) 다같이 저장에 따라 소량의 ${\alpha}-chaconine$이 약간 검출되었으나, ${\alpha}-solanine$은 양온도구(兩溫度區)에서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 PDF

감자의 품종, 부위 및 중량별 Glycoalkaloid의 함량 (Glycoalkaloid Content as influenced by Varieties, Parts and Weight of Potatoes)

  • 황춘선;이성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3-387
    • /
    • 1984
  • 동일포장(同一圃場)에서 재배한 May Queen 및 Irish Cobbler 두 품종의 감자를 사용해서 부위별(部位別) 및 중량별(重量別)로 glycoalkaloid함량(含量)의 변화를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測定)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위별(部位別)에 의(依)한 차이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두품종 다같이 수질부(髓質部)보다 피층부(皮層部)에 함유량(含有量)이 많아서 전(全) glycoalkaloids의 99%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감자의 한 개체에서 볼 때 상부(上部) 및 하부조직(下部組織)에 함유량(含有量)이 많고 중앙부(中央部)에서는 그것보다 적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부위(部位)에 의(依)한 현저(顯著)한 차이는 확인(確認)되지 않았으며 ${\alpha}-solaning$은 수질부(髓質部)에서는 아주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두 품종(品種)의 감자를 중량별(重量別)로 4단계(段階)로 나누어 중앙부(中央部) 조직중(組織中)에 함유(含有)되는 glycoalkaloid를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두품종 모두 중량(重量)이 가벼워질수록 피층부(皮層部)의 glycoalkaloid의 함유량(含有量)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確認)했다. 또한 수질부(髓質部)의 함량(含量)은 적고 또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 PDF

부위 및 조리방법에 따른 가지의 Glycoalkaloid와 Ascorbic Acid 함량 변화 (The Changes on Ascorbic Acid and Glycoalkaloid Contents of Eggplant by Parts and Cooking Methods)

  • 소궤신행;한재숙;최수근;변광인;서봉순;최석현;박미란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47-258
    • /
    • 2006
  •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항암작용 등의 기능성을 지닌 가지의 부위별, 조리 방법에 따른 glycoalkaloid와 ascorbic acid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지의 부위별 glycoalkaloid의 함량은 solamargine의 함량은 꼭지부분인 (A)가 $35{\mu}g$으로 가장 많았고, Solasonine의 함량 또한 (A)가 $31.1{\mu}g$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조리 방법에 따른 가지의 solamargine, solasonine의 함량 변화는 조리전의 가지, 즉 대조군의 solamargine 함량은 $11.4{\mu}g$이었으며, solasonine은 $4.88{\mu}g$으로 solasonine에 비하여 solamargine의 함량이 현저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리 후 가지의 solamargine의 함량은 boiling이 $7.0{\mu}g$으로 가장 많았고 microwave 처리는 $2.0{\mu}g$로 가장 적었다. Solasonine의 함량은 steaming이 $3.4{\mu}g$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시판 가지의 부위별 ascorbic acid 함량은 꼭지부분인 (A)가 가장 많은 $2.31{\mu}g$이었고, 다음은 중간부분인 (B), 끝부분인 (C)순이었다. 즉, 꼭지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ascorb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4. 조리 방법별 가지의 ascorbic acid의 함량은 다른 채소류와 마찬가지로 조리조작에 의하여 크게 감소하였는데, 잔존량은 control(before cooking) > sauteing > microwave > boiling > steaming의 순이었다.

  • PDF

Production of glycoalkaloids from callus cultures of Solanum hainanense Hance

  • Loc, Nguyen Hoang;Anh, Nguyen Huu Thuan;Binh, Doan Huu Nhat;Yang, Moon-Sik;Kim, Tae-Geum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96-101
    • /
    • 2010
  • Leaf explants of the Solanum hainanense plant, grown in vitro, were cultured in basal Murashige and Skoog (MS) media supplemented with 0.5 mg/L kinetin and 1 mg/L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for callus initiation. For maintenance and proliferation, the callus was cultur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 mg/L 6-benzylaminopurine (BAP) and 0.5 mg/L 2,4-D. The glycoalkaloid content in the callus was at its maximum after ten weeks of culture (188.65 mg/g), whereas that of the one-year-old control was 22.22 mg/g in the root and 5.99 mg/g in the stem. The glycoalkaloid extracted from the callus inhibited the activity of collagenase on collagen gel.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alysis showed that biotransformation occurred when a callus was grown on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carbon sourc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llus of S. hainanense is a good material for production of glycoalkaloid.

한국산 재배종 감자의 기관, 품종, 부위, 중량별 Glycoalkaloid의 변화 (Glycoalkaloid Content in Korean Cultivated Potato Plant and Tubers by Organ, Variety, Part and Weight)

  • 김정애;소궤신행;한재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87-194
    • /
    • 2004
  • The concentration of potato(Solanum tuberosum L.) glycoalkaloids(PCA) (i.e., ${\alpha}$-chaconine and ${\alpha}$-solanine) in Korean cultivated potato plant, and in the different varieties, parts and weights of the potato tubers, were determin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PGA in potato plants were found in the roots, followed by the stems and leaves. A large quantity of PGA existed in the periderm of 'Atlantic' potatoes, whereas 'Irish Cobbler' contained the lowest amount in five cultivated potato tubers.'Irish Cobbler' potatoes were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the PGA content in each part was determined. It was found that both of the end parts of the potatoes contained higher PGA than the middle part. The PGA contents in four different sizes of potatoes increased toward the smaller size. Thesignificantly high level of PGA was contained in the smallest size potato tubers, which have been used widely for Korean cooking.

저장에 의한 감자(수미)의 Glycoalkaloid 함량의 변화 (Changes in glycoalkaloid contents of 'Superior' potato tubers by storage)

  • 김정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98호
    • /
    • pp.245-251
    • /
    • 2007
  • 저장에 따른 감자의 glycoalkaloid(PGA)의 함량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에서 재배된 수미 감자를 사용하여 $5^{\circ}$C와 $20^{\circ}$C의 항온실에 저장한 후, $5^{\circ}$C 저장 감자는 20일 간격으로 80일 동안을, $20^{\circ}$C는 10일 간격으로 40일 동안 감자의 glycoalkaloid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장 당일 감자의 a-chaconine과 a-solanine의 함량은chaconine이 54.22 mg/100 g 으로 solanine의 26.57 mg/100 g의 약 2배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5^{\circ}$C에서 저장된 감자의 싹의 성장은 20일째 0.4 cm의 발아를 보여 40일째는 1 cm, 60일째 1.8 cm 정도인 것이 이후에 많은 증가를 보여 80일에는 5.2 cm의 신장을 나타내었다. PGA 함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장 당일에 비해 20일에는 3.5%, 40일에는 11.6%, 60일에는 23.4%, 80일에는 41.4%의 증가를 보였다. $20^{\circ}$C에 저장한 감자의 싹은 10일째에 0.5 cm로 발아하였으나 20일째에 2.3 cm, 40일에 7.4 cm로 급속한 싹의 신장을 보였다. PGA의 변화는 저장 당일에 비해 10일에 12.5%, 20일에는 36.6%, 30일에는 44.8%, 40일에는 48.4%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즉, 저장 온도와 기간에 따른 PGA함량은 $5^{\circ}$C의 저온에서 저장한 감자는 $20^{\circ}$C에서 저장한 감자보다 발아의 지연과 함께 낮은 PGA증가율을 보였다.

Characterization and Induction of Potato HMGR genes in Relation to Antimicrobial Isoprenoid Synthesis

  • Park, Doil;Richard M. Bostock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1995년도 Proceedings of special lectures on Molecular Biological Approaches to Plant Disease National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Institute Suwon, Korea
    • /
    • pp.55-75
    • /
    • 1995
  • Induction of HMG-Co A reductase (HMGR) is essential for the biosynthesis of sesquiterpenoid phytoalexins and steroid derivatives in Solanaceous plants following wounding and pathogen infection. To better understand this complex step in stress-responsive isoprenoid synthesis, three classes of cDNAs for HMGR (hmg1, hmg2, and hmg3) were isolated from a potato tuber library. The potato cDNAs had extensive homology in open reading frames but had low homology in the 3'-untranslated regions. RNA gel blot analysis using gene-specific probes revealed that hmg1 is induced by wounding but wound induction is strongly suppressed by arachidonic acid or by inoculation with Phytophthora infestants. In contrast, hmg2 and hmg3 are slightly induced by wounding and strongly enhanced by arachidonic acid or inoculation. The induction and suppression of HMGR genes parallel the suppression of steroid and stimulation of sesquiterpenoid accumulations observed in earlier investigations. Treatment of the tuber disks with a low concentration of methyl-jasmonate doubled the wound induced accumulation of hmg1 transcripts and steroid-glycoalkaloid accumulation, but did not affect the abundance of transcripts for hmg2 or hmg3 nor induce phytoalexins. High concentration of methyl-jasmonate suppressed hmg1 mRNA and steroid-glycoalkaloid accumulation, induced hmg3 mRNA, and did not elicit phytoalexins. Lipoxygenase inhibitors suppressed the accumulation of of hmg1 transcripts and steroid-glycoalkaloids, which were restored by exogeneous methyl-jasmonate. Methyl-jasmonate applied together with arachidonic acid enhanced the elicitor induced accumulation of sesquiterpenes and sustained steroid-glycoalkaloid levels with transcript levels for the various HMGR mRNAs equal to or greater than wound-only treatment. These results domonstrate that the consequences of wound- and pathogen-responses of plants are different at the levels of gene expression and associated secondary metabolis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