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ycine supplementation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s of functional nutrients on chicke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induced with oxidative stress

  • Hyun Woo Kim;Seung Yun Lee;Sun Jin Hur;Dong Yong Kil;Jong Hyuk Kim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5호
    • /
    • pp.1040-1052
    • /
    • 202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functional nutrients including various functional amino acids, vitamins, and minerals on chicke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cIECs) treated with oxidative stress. The cIECs were isolated from specific pathogen free eggs. Cells were exposed to 0 mM supplement (control), 20 mM threonine (Thr), 0.4 mM tryptophan (Trp), 1 mM glycine (Gly), 10 μM vitamin C (VC), 40 μM vitamin E (VE), 5 μM vitamin A (VA), 34 μM chromium (Cr), 0.42 μM selenium (Se), and 50 μM zinc (Zn) for 24 h with 6 replicates for each treatment. After 24 h, cells were further incubated with fresh culture medium (positive control, PC) or 1 mM H2O2 with different supplements (negative control, NC and each treatment). Oxidative stress was measured by cell proliferation, whereas tight junction barrier function was analyzed by fluorescein isothiocyanate (FITC)-dextran permeability and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TEER). Results indicated that cell viability and TEER values were less (p < 0.05) in NC treatments with oxidative stress than in PC treatments. In addition, FITC-dextran values were greater (p < 0.05) in NC treatments with oxidative stress than in PC treatments. The supplementations of Thr, Trp, Gly, VC, and VE in cells treated with H2O2 showed greater (p < 0.05) cell viability than the supplementation of VA, Cr, Se, and Zn. The supplementations of Trp, Gly, VC, and Se in cells treated with H2O2 showed the least (p < 0.05) cellular permeability. In addition, the supplementation of Thr, VE, VA, Cr, and Zn in cells treated with H2O2 decreased (p < 0.05) cellular permeability. At 48 h, the supplementations of Thr, Trp, and Gly in cells treated with H2O2 showed the greatest (p < 0.05) TEER values among all treatments, and the supplementations of VC and VE in cells treated with H2O2 showed greater (p < 0.05) TEER values than the supplementations of VA, Cr, Se, and Zn in cells treated with H2O2. In conclusion, Thr, Trp, Gly, and VC supplement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cell viability and intestinal barrier function of cIECs exposed to oxidative stress.

게껍질의 급여가 우유내 타우린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ab Shell Supplementation in Feeds on Taurine Content of Cow s Milk)

  • 박태선;박동진;이지선;김동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075-108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게껍질분말 급여에 의한 천연 타우린 강화우유의 생산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25두의 젖소를 5군으로 나누고, 각기 대조사료, 1%(1%CS), 3%(3%CS) 및 5% 게껍질분말사료(5%CS), 그리고 formaldehyde로 처리되 3% 게껍질분말사료 (3%FCS)를 30일간 급여하였다. 게껍질분말 단백질의 아미노산조성은 phenylalanine이 가장 높았고, glutamate, aspartate, glycine, serine histidine, arginine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동물조직의 단백질과는 달리 branched-chain 아미노산의 함량이 비교적 낮았다. 게껍질에 함유된 유리아미노산 중 타우린은 가장 고농도로 존재하였으며, 특히 집게다리껍질에 509$\mu$mol/100 g이 함유되어 등뚜껑(319$\mu$mol/100g) 및 게껍질분말(296 $\mu$mol/100 g)에 비해 월등히 그 함량이 높았다. 게껍질분말의 급여가 우유의 타우린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p<0.01 수준에서 유의성이 관찰되었다. 1%CS군의 원유에는 5.84$\pm$0.73 $\mu$mole/100mL의 타우린이 함유되어 대조구 (4.84$\pm$0.29 $\mu$mol/100mL)에 비해 20%정도 더 높았으며, 3%CS군의 원유에는 7.21$\pm$0.77$\mu$mole/100 mL의 타우린이 함유되어 대조구에 비해 49%정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한편, 3%FCS군의 경우 원유의 타우린농도가 3%CS군에 비해 유?거으로 감소하였고, 따라서 게껍질의 formaldehyde 처리는 반추위내에서 타우린을 보호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게껍질 급여에 의해 우유의 타우린농도가 증가하였음을 밝히는 최초의 보고이며,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기타 축산제품의 타우린함량을 증가시키는데 폭넓게 응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 PDF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Intact and Functional Soybean (Glycine max) Seed Ferritin Complex in Escherichia coli

  • Dong, Xiangbai;Tang, Bo;Li, Jie;Xu, Qian;Fang, Shentong;Hua, Zich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299-307
    • /
    • 2008
  • Soybean seed ferritin is essential for human iron supplementation and iron deficiency anemia prevention because it contains abundant bioavailable iron and is frequently consumed in the human diet. However, it is poorly understood in regards its several properties, such as iron mineralization, subunit assembly, and protein folding. To address these issues, we decided to prepare the soybean seed ferritin complex via a recombinant DNA approach. In this paper, we report a rapid and simple Escherichia coli expression system to produce the soybean seed ferritin complex. In this system, two subunits of soybean seed ferritin, H-2 and H-1, were encoded in a single plasmid, and optimal expression was achieved by additionally coexpressing a team of molecular chaperones, trigger factor and GroEL-GroES. The His-tagged ferritin complex was purified by $Ni^{2+}$ affinity chromatography, and an intact ferritin complex was obtained following His-tagged enterokinase (His-EK) digestion. The purified ferritin complex synthesized in E. coli demonstrated some reported features of its native counterpart from soybean seed, including an apparent molecular weight, multimeric assembly, and iron uptake activity. We believe that the strategy described in this paper may be of general utility in producing other recombinant plant ferritins built up from two types of subunits.

꽃게를 첨가한 김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Blue Crab)

  • 김지현;박기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46-259
    • /
    • 2014
  • 본 연구는 김치의 염도를 낮추고 영양과 기능성을 높이고자 꽃게를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최적의 꽃게첨가김치제조 표준레시피를 확정하고자 실시하였다. 꽃게살을 10g, 30g, 50g, 70g, 90g으로 첨가량을 달리하여 김치를 제조하였고, $5^{\circ}C$에서 1일, 15일, 30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일반성분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 및 숙성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pH는 꽃게살 90g을 첨가한 경우 15일, 30일 경과 후 4.10, 4.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군 4.02, 4.13으로 나타나 꽃게 첨가량이 많음에 따라 숙성과정 중 pH변화가 적었다. 산도는 0일째에 대조군 0.5%, 꽃게첨가군 모두 0.7%였으며, 꽃게살 70g 첨가 15일 숙성김치 0.87%, 30일 숙성김치 1.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염도는 대조군 1.26%, 꽃게살 70g 첨가시 1.00%, 90g첨가시 0.93%로 젓갈을 줄이고 꽃게살을 증가시킴으로써 염도는 감소하였다. 유산균수는 꽃게살을 50g 첨가한 김치가 숙성되는 동안 급격히 증가하였다. 김치숙성 중 맛에 영향을 미치는 유리아미노산함량은 대조군 372.6mg%, 꽃게를 첨가한 김치 537.5mg%로 꽃게를 첨가한 경우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taurine, threon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phenylalanine 성분이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꽃게육수와 꽃게살을 50g첨가하고 $5^{\circ}C$에서 15일간 보관한 김치의 색, 향,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나, 결과적으로 젓갈을 줄이고 꽃게를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는 숙성되어감에 따라 감칠맛, 숙성된 맛의 기호도가 증가하고 염도는 감소하며 산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치어기 조피볼락에 있어서 사료내 합성아미노산 첨가 효과 (Effects of Dietary Synthetic Amino Acid Supplementation in Korean Rockfish Fry Sebastes schlegeli)

  • 김강웅;박건준;옥임호;배승철;최영준;신인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57-163
    • /
    • 2002
  • 본 실험은 섭취촉진물질로 알려져 있는 사료내 13종의 아미노산들이 치어기 조피볼락에 있어 성장 및 체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어는 평균무게 0.64 g인 조피볼락 치어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실험 사료내에 유인효과가 있을 것으로 여겨지는 아미노산 13가지(Arg, Ala, Na-Glu, Gly, His, Ile, Lys, Met, Phe, Pro, Thr, Trp 및 Val)를 사료내 각각 0.3% 씩 첨가하여 총 13 실험구를 2반복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6주간의 사육실험 결과, 성장률(WG)과 일간 성장률(SGR)에서는 Pro, Thr, Met 및 Gly 실험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이들 실험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그리고, 사료전환효율(FE)에서는 Pro 실험구가 Met과 Gly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Pro 실험구와 Thr 실험구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그리고 Thr, Met 및 Gly 실험구간에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단백질전화효율에 있어서 Pro 실험구가 모든 실험구에 있어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Thr 실험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지 않았다(P>0.05). 그리고, 비만도(condition factor)는 Thr 실험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Val 실험구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간중량지수(HSI)는 모든 실험구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P>0.05). 전어체의 단백질, 수분 및 회분에 있어서는 모든 실험구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P>0.05). 지질함량은 Met, Pro 및 Thr 실험구가 Glu, Gly, Lys, Trp 및 Val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상기 결과를 토대로, 조피볼락 사료용 사료섭취촉진물질로서 아미노산을 검색한 결과 사료내 0.3% Pro, Thr, Met 및 Gly을 첨가했을 때 사료섭취촉진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것들 중 Gly을 제외하고는 전어체의 지질 함량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육계에서 옥수수 주정박의 아미노산 소화율 조사 (Amino Acids Digestibility of Corn Distillers Dries Grains with Solubles in Broiler Chickens)

  • 황보종;홍의철;나재천;김지혁;강환구;김민지;김동욱;김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97-303
    • /
    • 2012
  • 본 시험은 옥수수 주정박의 첨가가 소화 부위별 아미노산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Ross종 육계 수컷 24수를 이용하였다. 시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CP 19%, ME 3,150 kcal/kg)를 기초 사료로 하였으며, 주정박을 6%와 12% 첨가한 사료를 시험사료로 하였다. 시험 설계는 사료 내에 주정박을 첨가시킨 양에 따른 3처리구(처리구당 8수)로 나누고, 소화물 채취 부위에 따른 4처리구로 나누어 $3{\times}4$의 복합 요인으로 소화율을 조사하였다. 소화율 측정을 위한 시료 수집 부위는 공장의 말단부(DJ, the distal end of the jejunum), 회장의 중부(MI, the middle part of the ileum), 회장의 말단부(DI, the distal end of the ileum) 및 직장의 말단부(DR, the distal end of the rectum)로 하였다. 주정박 첨가 수준과 채취 부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본 시험의 진정 소화율은 부위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P<0.05). CDDGS 첨가 수준에 따른 소화율은 필수 아미노산 중 lysine의 소화율이 CDDGS 첨가구에서 감소하였다(P<0.05). 또한 비필수 아미노산에서는 glycine의 소화율이 CDDGS 첨가구에서 감소하였으며(P<0.05), 다른 아미노산들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CDDGS는 lysine과 glysine 소화율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나, 대체적으로 대조구와 유사한 소화율을 보여 부존 자원으로서 가금 사료에 이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기능성 소재를 첨가한 시판 과메기의 영양성분 비교 (The Nutrient Composition of Commercial Kwamegi Admixed with Functional Ingredients)

  • 장미순;박희연;변한석;박진일;김연계;윤나영;남천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19-525
    • /
    • 2010
  • 시판되고 있는 일반 과메기(CK), 키토산을 첨가한 과메기(KAC) 및 금박을 입힌 과메기(KOGL)에 대한 일반성분, 무기질, 비타민, 지방산 및 구성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CK, KAC 및 KOGL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26.4~30.8%), 조단백질(29.1~32.7%), 조회분(1.6~1.9%)의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KOGL의 조지방 함량은 32.2%로 CK 24.5% 및 KAC 22.9%보다 상당량 높게 나타났다. CK, KAC 및 KOGL의 Ca, Fe, P의 함량은 각각 50.4~59.0 mg/100 g, 1.7~3.3 mg/100 g, 240~290 mg/100 g 범위였고, 비타민 A, $B_2$ 및 C의 함량은 각각 $11{\sim}15\;{\mu}g$, 1.8~2.0 mg 및 6.6~6.7 mg 범위를 나타내었다. 또한 CK, KAC 및 KOGL의 주요 지방산은 DHA, EPA, palmitic acid 및 oleic acid이었고, DHA와 EPA는 전체 지방산 조성 중 각각 21~26% 및 11~1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편, CK, KAC 및 KOGL의 주요 구성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leucine, alanine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과메기와 일반 과메기 간에는 영양성분면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건조감귤박 및 소맥피를 급여한 말의 성장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Dried-Citrus Pulp and Wheat Bran on Growth and Meat Quality in Horses)

  • 채현석;김남영;조인철;조상래;조원모;박용상;오신애;장애라;성필남;고문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3호
    • /
    • pp.219-227
    • /
    • 2013
  •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많이 생산되는 농산부산물인 건조감귤박을 활용하여 말 사료로서의 이용성을 구명하고 사육이 완료된 말을 도축하여 육질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급여한 농산부산물은 소맥피만 급여한 처리구와 건조팰렛감귤박(20%)에 소맥피(80%)를 혼합한 처리구로 구분하여 수행하였으며 농산부산물 급여는 1일 2회 체중의 1.5%를 기준으로 급여시켰고 물과 건초는 자유 급식시켰다. 일당증체량의 변화는 소맥피급여구와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에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사료요구율은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소맥피 단독 처리구보다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말고기의 도체율은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소맥피처리구 보다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육량등급은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육색에서 명도($L^*$)은 소맥피처리구보다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에서 더 밝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황색도($b^*$)는 오히려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말고기의 물리적 변화에서 전단력은 소맥피처리구보다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더 낮은 값을 나타내면서 보수력과 가열감량도 함께 증가하였다. 일반성분에서 지방은 소맥피처리구보다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다른 성분은 비슷하였다. 무기물은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Ca, K, Mg, Cu, Mn이 소맥피처리구 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아미노산에서는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methionine, glutamic acid, glycine이 소맥피처리구보다 약간씩 증가하였다. 지방산은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stearic acid, oleic acid, eicosenoic acid, arachidonic acid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농산부산물로써 소맥피의 일부를 건조감귤박으로 대치하여도 비육 사료로 손색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