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lucose availability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276초

결합된 플라즈몬-도파관 공진 구조로 구성된 바이오센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Bio-Sensor with Coupled Plasmon-Waveguide Resonance Profile)

  • 호광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09-114
    • /
    • 2024
  • 결합된 플라즈몬-도파관 공진 (PWR) 구조에서 전파하는 TE, TM 전송 모드들의 바이오 센싱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치해석을 위하여 모드 전송선로 이론 (MTLT)을 사용되었다. 기존의 Ag-기반 표면 플라즈몬 공명 바이오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PWR 바이오센서는 N쌍의 MgF2-Si3N4 층으로 구성된 다층구조로 설계하였다. 그 바이오센서의 각도 감도가 광범위한 생물학적 용액 (굴절률 1.33~1.37)에 대하여 수치적으로 분석되었다. 더욱이, 암세포와 혈장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의 가용성을 조사하였다. 결국, 그 결과들은 제안된 바이오센서가 소변에서 다양한 종류의 암 세포와 다양한 포도당 농도를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숙성 및 저장 중 액젓의 색도 변화 (Changes in color value of salt-fermented fish sauces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 임영선;최영준;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83-387
    • /
    • 2000
  • 액젓을 분광광도계로 최대 흡수파장을 scanning 하고, 12개월 숙성된 멸치액젓에 glucose, MSG, IMP, 카라멜색소 및 타르색소를 첨가하여 저장기간에 따라 색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액젓의 품질 판정을 위한 지표로서의 사용가능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액젓의 종류별, 희석비별, 첨가색소별, 첨가물별에 따라서 scanning한 결과, 453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었고, 분광광도계로 453 nm에서 측정한 시판 멸치액젓의 색도는 직시색차계로 측정한 ${\delta}E$값 (색차)보다 감도가 더 좋았으므로, 액젓의 색도 측정시 직시색차계보다는 분광광도계로 453 nm에서 측정하는 것이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숙성기간 중에는 색도값이 일정하게 증가하였으며, 까나리액젓이 멸치액젓보다 그 값이 높았다. 첨가물의 영향은, 당 (glucose)과 질소화합물 (MSG, IMP)을 첨가한 시료는 저장기간 동안 색도값이 일정하게 증가 하였으며, 농도별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색소의 영향은, 카라멜색소를 첨가한 액젓의 색도값은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높았으며, 저장기간중에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타르색소를 첨가한 액젓은 첨가농도 $0.003{\%}$$0.005{\%}$에서 저장 15일 후에 색도값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저장기간 중에도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 PDF

Effect of Gamma Ray Irradiation on the Availability of Applied $^{65}Zn$ to Applied at Organic Matter Added Soil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 Kim, Tai-Soon;Han, Kang-Wa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105-110
    • /
    • 1979
  • 3종의 유기물을 첨가한 산성, 알카리성 답 토양에 방사성 아연비료($^{65}ZnSO_4$)를시용(施用)하고 $^{60}Co$ gamma선을 조사(照射)하였을때 시용한 $^{65}Zn$의 고정(固定)과 방출(放出)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보기 위하여 실험실내에서 항온방치 실험을 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산성, 알카리성 답 토양에 시용한 $^{65}ZnSO_4$는 이들 토양에 고정되므로 DTPA용액에의 가용성 $^{65}Zn$ 는 방치시간이 경과 할수록 감소되다가 항온방치 4주 부터 고액상(固液相)간에 평형을 유지하게된다. 이 평형상태하에서 $^{65}ZnSO_4$의 대부분은 고상(固相)에 흡착 고정되는데 그 정도는 산성인 금곡토양에서는 $^{65}Zn$의 89% (방사능 기준) 이었고, 알카리성인 석회암질 제천토양에서는 93.7% 이었다. 산성. 알카리성 답 토양에 gamma선을 조사(照射)하면 $^{65}Zn$의 고정은 감소되므로 가용성 $^{65}Zn$ 는 증가한다. 고정된 $^{65}Zn$의 DTPA 용액에의 가용정도는 산성인 금곡토양에서는 38.9% 이었고 알카리성 석회암질 제천토양에서는 9.5%에 불과 하였다. 고정된 $^{65}Zn$의 gamma선 조사(照射)에 의한 방출은 답 토양의 pH에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즉 고정된 $^{65}Zn$의 방출은 pH가 얕은 산성토양에서 현저했고 알카리성 토양에서는 적었다. 금곡토양에 gamma선을 조사하면 $^{65}Zn$의 유효도가 커지는 것으로 봐서 산성조건에서는 고정된 아연은 더 가용화 된다고 본다. 유기물 급원(給源)별 방사선 영향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gamma선을 조사하지 않았을 때 Glucose 처리는 Cellulose나 생고분말(生藁粉末)을 첨가했을 때 보다 DTPA 가용성 $^{65}Zn$은 더 방출(放出)되었다.

  • PDF

갈대 뿌리와 갈대순 첨가에 따른 약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ju at addition sprout and root of reed)

  • 김성태;김소망;정재희;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90-497
    • /
    • 2015
  • 갈대를 첨가한 약주의 발효기간 중 pH는 증자 후 덖음한 갈대순을 첨가한 약주의 pH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고, 대조구와 증자 후 덖음 한 갈대 뿌리를 첨가한 약주는 같은 값을 보였다. 총산 함량은 발효 종료 시점인 12일째의 총산함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환원당 함량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발효 기간 중 시료를 첨가한 시기인 발효 6일째의 환원당 함량 또한 시료구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갈대 약주의 ethanol 함량은 대조구가 15.31%로 갈대순을 첨가한 약주의 15.30%과 뿌리를 첨가한 시료구의 15.28%과 비교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약주에서 확인된 주요 유리당은 glucose였고, fructose와 sucrose는 갈대순과 뿌리를 첨가한 약주에서는 검출 되었으나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약주의 total polyphenol 함량은 갈대순 및 뿌리를 첨가한 약주가 4.26mg% 및 4.21 mg%로 대조구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DPPH free radical 소거능 또한 갈대순을 첨가한 약주와 뿌리를 첨가한 약주가 25% 및 23%로 대조구의 20%에 비해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갈대를 첨가한 약주의 관능검사 결과 향, 색 및 맛 모두 갈대순 0.3% 첨가 약주가 가장 높은 기호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종합 기호도 또한 갈대순 0.2%~0.4%를 첨가한 약주의 3개 시료구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그 중 0.3% 첨가 약주가 7.2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Thoroughbred 육성마의 방목과 사사기간 중 혈청 비타민 E, 미량광물질 및 기타 화학치의 변화 (Changes in Serum Vitamin E and Trace Mineral Levels and Other Blood parameters in Growing Thoroughbred Horses During the Period of Pasture Grazing and stable Feeding)

  • 이종언;박남건;진신흠;김영진;강동희;김규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719-726
    • /
    • 2002
  • 본 연구는 Thoroughbred 육성마에서 계절별 사양체계에 따른 혈청 비타민 E, 미량광물질 수준 및 혈액 화학치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사사기간(이른 봄) 동안 50두의 육성마(암, 11${\sim}$14개월령)에게 농후사료(체중의 1.4%), 오챠드그라스 건초(0.62%)와 알팔파 건초(0.37%)를 급여하였다. 방목기간 동안 봄부터 초여름까지는 농후사료를 체중의 1.1% 보충급여 하였고 이 후 가을철 방목종료까지는 농후사료 1.1%와 알팔파 건초 0.5%를 급여하였다. 혈액을 이른 봄(사사기), 이른 여름 및 늦가을 (방목기) 3회에 걸쳐 채취하였다. 방목사양은 혈청 비타민 E, 혈중 요소(BUN), GOT, GTP, T-bilirubin 및 D-bilirubin 함량을 증가 시켰다 (P<0.01). 혈청 Fe 및 Zn 함량은 가을 방목사양에서가 다른 사양체계에서 보다 높게 (P<0.01) 나타났다. Cu는 방목기간에 비해 사사기간 동안에 높았다(P<0.01). 혈중 glucose 및 creatinine 함량은 방목기간에 비해 사사기간에 높게 (P< 0.01)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말 혈청 비타민 E 및 미량광물질 함량과 각종 혈액 화학치는 사양체계 및 급여사료에 큰 차이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비타민이나 미량광물질의 추가 공급은 계절별 사양체계 또는 급여되고 있는 사료내 함량 및 이용성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물 조직학적 방법에 의한 β-D-fructofuranosidase의 기능 연구 (Study of the Function of β-D-fructofuranosidase by Plant Histological Method)

  • 김동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587-592
    • /
    • 2023
  • 식물의 성장은 유기물 이용 가능성을 비롯한 다양한 요인에 의해 조절된다. 유기 영양소는 "소스"라고 하는 탄소 및 에너지 고정과 관련된 조직에서 생성된 광합성 제품으로 탄수화물 분자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식물 유관속을 통해 "싱크"라고 하는 비광합성 또는 성장 조직으로 흐른다. 이러한 기능이 가능한 화합물 중에서, 이당류 프럭토실글루코스인 자당이 가장 대표적이다. 자당이 수송 동안, 소스에서 싱크로의 경로는 자당을 글루코스 및 과당의 유도체로 분해하거나 자당의 직접적인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이때 관여하는 효소 중에 β-D-fructofuranosidase 가 가장중요하다. 여러 동위효소 중의 하나인 가용성중성 β-D-fructofuranosidase 는 세포 내 원형질체 안에 위치하여 식물세포에게 자당을 분해하여 에너지생성 물질대사를 돕는다. 이 효소의 활성을 식물이 성장하는 과정 동안에 추적하기 위해서 가장 효과적인 면역 국소화를 위해서 조직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잎에서 옆육 조직보다는 사부와 표피에 활성이 높았다. 성장하는 줄기에서는 사부, 표피, 그리고 피층에 활성이 높았다. 싱크조직인 뿌리는 모든 부분에 활성이 높았지만 특별히 가장 끝 부분에는 가장 높았다. 자당의 분해를 필요로 하는 싱크조직에서 자당의 unloading을 돕고, 자당을 분해하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Varying the Energy Density of Protein-adequate Diets on Nutrient Metabolism, Clinical Chemistry, Immune Response and Growth of Muzaffarnagari Lambs

  • Singh, V.K.;Pattanaik, Ashok Kumar;Goswami, T.K.;Sharm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8호
    • /
    • pp.1089-1101
    • /
    • 2013
  • Effects of varied dietary energy densities on immune response and performance of Muzzafarnagari lambs were ascertained in a 180-d study. Animals (n = 24), in three groups, were fed diets providing 100% (100E), 80% (80E) or 70% (70E) of their metabolizable energy requirement. Mean nutrient digestibilities varied significantly among treatments. Nitrogen intake was lower (p<0.01) in the 70E. Nitrogen retention, was reduced (p<0.001) in 80E and 70E vs 100E. The average daily gain (p<0.001) was $47.01{\pm}4.23$, $13.54{\pm}1.72$ and $-16.67{\pm}8.24$ g for 100E, 80E and 70E, respectively. Hemoglobin concentration, haematocrit, total and differential leukocyte counts were lower (p<0.001) for 80E and 70E than for 100E with a similar trend (p<0.05) for serum glucose and total protein. Serum cortisol was reduced (p<0.001) with decreased energy availability. Antibody titre to Brucella abortus S19 showed an initial reduction in 80E and 70E vs 100E.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response was lower (p<0.001) in 80E and 70E vs 100E, accompanying a lower (p<0.001) nitric oxide production by the peripheral lymphocytes. It is concluded that the reduced dietary energy density significantly affects the growth performance and immune response of lambs.

Blood amino acids profile responding to heat stress in dairy cows

  • Guo, Jiang;Gao, Shengtao;Quan, Suyu;Zhang, Yangdong;Bu, Dengpan;Wang, Jiaq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호
    • /
    • pp.47-53
    • /
    • 2018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eat stress on milk protein and blood amino acid profile in dairy cows. Methods: Twelve dairy cows with the similar parity, days in milk and milk yield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six cows raised in summer and others in autumn, respectively. Constant managerial conditions and diets were maintained during the experiment. Measurements and samples for heat stress and no heat stress were obtained according to the physical alterations of the temperature-humidity index. Results: Results showed that heat stress significantly reduced the milk protein content (p<0.05). Heat stress tended to decrease milk yield (p = 0.09). Furthermore, heat stress decreased dry matter intake, the concentration of blood glucose and insulin,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while increased levels of non-esterified fatty acid and malondialdehyde (p<0.05). Additionally, the concentrations of blood Thr involved in immune response were increased under heat stress (p<0.05). The concentration of blood Ala, Glu, Asp, and Gly, associated with gluconeogenesis, were also increased under heat stress (p<0.05).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blood Lys that promotes milk protein synthesis was decreased under heat stress (p<0.05).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more amino acids were required for maintenance but not for milk protein synthesis under heat stress, and the decreased availability of amino acids for milk protein synthesis may be attributed to competition of immune response and gluconeogenesis.

Streptozotocin, Ploxamer 407, $CCl_4$ 및 D-Galactosamine으로 유도한 병태모델 흰쥐에 대한 산마늘 추출물의 약리효과 (Pharmacological Effects of the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Extracts on the Rats Induced by Streptozotocin, Poloxamer-407, $CCl_4$ and D-Galactosamine)

  • 최종원;이경태;김원배;박광균;정현주;박희준
    • 생약학회지
    • /
    • 제34권3호통권134호
    • /
    • pp.250-255
    • /
    • 2003
  • To develop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iliaceae) for an available functional food, pharmacological experiments on the extracts of this plant were undertaken in the rat treated with streptozotocin, poloxamer-407 and $CCl_4$. The two MeOH extracts were obtained from the leaves and the bulbs, respectively. The three agents, streptozotocin, poloxamer-407 and $CCl_4$, were treated to induce diabetes mellitus, hyperlipidemia and hepatic injury, respectively. Treatment with the leaf extract lowered blood glucose by 24.9% at 200 mg/kg (p.o.) in the STZ-treated rat and prohibited the increase of body weight, water consumption and food intake. This exσact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not only thε plasma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the poloxamer-407-treated rat by 35.3% but also serum ALT by 49.0%. The potency was found by overall estimation on the experimental results as followings: 200 mg/kg leaf extract> 200 mg/kg bulb extract> 100 mg/kg leaf exσact> 100 mg/kg bulb extrac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is plant might have the availability for a functional food. It was also suggested that the leaves are more effective than the bulbs for the functional vegetable, especially in hyperlipidemia and hepatic injury.

Effects of Lactobacillus helveticus Fermentation on the Ca2+ Release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Sheep Bone Hydrolysate

  • Han, Keguang;Cao, Jing;Wang, Jinghui;Chen, Jing;Yuan, Kai;Pang, Fengping;Gu, Shaopeng;Huo, Nairu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144-1154
    • /
    • 2018
  • Both the calcium and collagen in bone powder are hard to be absorbed by the body. Although enzymatic hydrolysis by protease increased the bio-availability of bone powder, it was a meaningful try to further increase $Ca^{2+}$ release, oligopeptide form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heep bone hydrolysate (SBH) by lactic acid bacteria (LAB) fermentation. Lactobacillus helveticus was selected as the starter for its highest protease-producing ability among 5 tested LAB strains. The content of liberated $Ca^{2+}$ was measured as the responsive value in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for optimizing the fermenting parameters. When SBH (adjusted to pH 6.1) supplemented with 1.0% glucose was inoculated 3.0% L. helveticus and incubated for 29.4 h at $36^{\circ}C$, $Ca^{2+}$ content in the fermented SBH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and so did the degree of hydrolysis and the obtaining rate of oligopeptide. The viable counts of L. helveticus reached to $1.1{\times}10^{10}CFU/mL$. Results of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LAB viable counts, $Ca^{2+}$ levels, obtaining rates of oligopeptide and the yield of polypeptid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p<0.01). The abilities of SBH to scavenge the free radicals of DPPH, OH and ABTS were also markedly enhanced after fermentation. In conclusion, L. helveticus fermentation can further boost the release of free $Ca^{2+}$ and oligopeptide, enhance the antioxidant ability of SBH. The L. helveticus fermented SBH can be developed as a novel functional dietary supplement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