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cono-$\delta$-lacton (GDL)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글루코노델타락톤의 김치 발효 지연 효과 (Retardation of Kimchi Fermentation by Addition of Glucono-δ-lacton)

  • 한진숙;강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53-55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이 생성하는 글루코노델타락톤을 김치에 첨가하여 냉장저장하였을 때, 김치의 초기 pH를 강하시켜 김치의 주발효균인 유산균의 생육을 억제하여 김치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고 숙성기간을 연장시키고자 하였다. GDL이 첨가된 김치의 초기 pH강하는 GDL이 수용액에서 유기산인 글루콘산으로 전환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며 삼투압 작용에 의해 점차 평형을 이루게 되어 pH가 상승하였다가 숙성이 진행되면서 대조구보다 완만하게 pH가 저 하하였다. pH 강하로 인하여 김치의 초기 유산균의 생육이 지연되면서 대조구와 비교시 숙성기간동안 산 생성량이 적게 나타났다. HPLC 분석에서 김치의 발효동안 oxalic acid, succin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와 acetic acid가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의 경우 GDL을 첨가한 경우보다 lactic acid의 생성량이 현저히 많았다. 김치에 첨가된 GDL은 초기 주 발효균인 L. mesenteroides의 생육을 억제함으로써 김치의 숙성을 지연시키고, 그 이후의 L. brevis와 산내성 이 강한 L. plantarum의 생육을 억제함으로써 산도의 증가를 지연시키고 김치 조직의 연화를 방지 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글루콘산은 무색의 순한 청량한 신맛을 띄는 유기산으로 관능검사에서 김치 고유의 맛과 향기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김치 제조시 GDL의 첨가는 김치의 유산균의 생육지연을 통하여 김치가 숙성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 유지 시켜 가식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면서, 관능적 품질에 차이가 없는 김치를 제조할 수 있었다.

뽕잎 첨가수준에 따른 두부의 관능평가 및 일반성분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s Curd with Cow's Milk According to the Adding Levels of Mulberry Leaf Powder)

  • 김애정;여정숙;방인수;강영림;정건섭;김명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3-70
    • /
    • 2003
  • In this experiment, the curd was made from soybean and cow's milk in the ratio of 7 to 3, and coagulated with Glucono-delta-lacton(GDL) and $CaSO_4&.$2H_{2}O& in the 1:1 ratio. During the procedure, the mulberry leaf powder was added. The amount of the added powder varied from 0.1 % to 0.5 %. This experiment aimed to show the change of yield, general components, minerals, amino acid, changes of pH, sensory properties of these products. As mulberry leaf powder addition increased,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content, minerals and amino acids increased. Whereas moisture content decreased, and in particular,$Ca^{++}$, $K^+$ and $Na^+$ increased. On the other hand, in the sensory properties, the levels of satisfaction about the color, appearance, flavor, texture and savory were lower in mulberry leaf powder added than under contro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