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omerulonephritis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43초

스테로이드 의존성 신증후군에서 진단된 Clq nephropathy 1례 (A Case of Clq Nephropathy in Steroid-Dependent Nephrotic Syndrome)

  • 이정원;조수진;이승주;성순희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5권2호
    • /
    • pp.206-209
    • /
    • 2001
  • Clq 신증은 면역형광검사상 특징적인 Clq 침착이 있고 전자현미경 검사상 전자 고밀도 침착을 보이는 면역 복합체 사구체 신염이다. 주로 스테로이드 저항성 신증후군으로 발현되나 때로는 중등도의 단백뇨와 혈뇨를 동반하는 지속적인 사구체 신염, 신염-신증후군, 또는 반월상 사구체 신염으로 발현된 증례가 보고된 바 있다. 문헌상 34례의 보고가 있고 국내에서는 성인에서 2례가 보고되어 있다. 저자들은 스테로이드 의존성 신증후군 소아에서 신생검으로 진단된 Clq 신증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사구체신염의 병리 - 표본제작 및 기본병변 - (Pathology of Glomerulonephritis - Specimen Preparation and Basic Pathologic Changes -)

  • 김용진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5권1호
    • /
    • pp.29-37
    • /
    • 2011
  • 신장질환은 같은 병명의 환자 일지라도 개개인의 증상과 치료에 대한 반응 정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신장병을 전공하는 임상의사는 신장병리에 대한 폭 넓은 지식이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생검 현장에서의 조직을 나누는 방법부터 기본적인 조직처리 과정까지를 설명함으로써 병리의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광학현미경 판독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특수 염색의 색깔 감별, 정상 사구체와 비정상 사구체의 감별점 등을 설명하였다. 면역형광 현미경 소견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형적인 막성사구체신병증과 IgA 신증의 침착 형태를 대표적으로 설명하였다. 전자현미경 판독을 위해서 면역 복합체인 고전자 밀도의 침착이 잘 생기는 부위를 질환별로 설명하여 참고가 되도록 하였고 전자현미경으로만 감별 가능한 질환들을 설명하였다. 이 논문은 신장질환의 병리학적 이해를 돕기 위한 소개에 불과하므로, 개별 질환의 판독을 위해서는 다른 신장병리 교과서나 문헌을 참고하여야 한다.

Propylthiouracil 복용 후 발생한 사구체신염이 동반된 미만성 폐출혈 1예 (A Case of Diffuse Alveolar Hemorrhage with Glomerulonephritis after Propylthiouracil Treatment)

  • 이지현;김민수;이재곤;김대식;양혜진;강경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1호
    • /
    • pp.93-97
    • /
    • 2012
  • Propylthiouracil (PTU) is one of the most common drugs used in the treatment of Graves' disease. There are a number of side effects found with PTU use including fever, rash, arthralgia, and flu-like symptoms. Recently antineutrophil cytoplasmic antibodies (ANCA) positive vasculitis after PTU treatment was reported as a rare side effect, which can cause diffuse alveolar hemorrhage and glomerulonephritis. A 45-year-old woman with Graves' disease had been treated with PTU for five months, complained of hemoptysis due to pulmonary alveolar hemorrhage causing anemia, and also had hematuria. Simple chest X-ray and HRCT showed bilateral consolidation and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revealed alveolar hemorrhage. A serologic test was positive for ANCA against myeloperoxidase and proteinase-3. Such findings suggested that the presence of PTU induced ANCA positive vasculitis. Cessation of PTU and the administration of high dose steroids improved the clinical manifestation, radiologic and serologic findings. We observed ANCA titer serially for 6 years. During the follow up period, ANCA titer decreased slowly and stayed within the acceptable upper normal limit.

학교 신체검진 상 우연히 발견된 제2형 막증식성 사구체신염 1예 (A Case of Type II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Detected by School Urinary Screening Tests)

  • 김형중;곽병옥;배재욱;김교순;임소덕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4권1호
    • /
    • pp.79-83
    • /
    • 2010
  • 막증식성 사구체 신염은 메산지움의 증식과 사구체 모세혈관의 비후를 동반하는 진행성 신질환으로 병리학적 소견에 따라 1, 2, 3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질환은 일차성 사구체신염의 약 2%가량을 차지하는데, 대개의 경우 만성적으로 진행하는 경과를 보이며 다른 사구체신염에 비하여 신기능 소실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효과적인 치료법이 정립되어있지 않고 다양한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 학교 집단신체검사에서 소변검사가 포함되기 시작하면서 제1형 막증식성 사구체신염은 수차례 보고되었고 이들에 대한 조기 치료가 신질환의 진행을 늦추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반해, 제2형 막증식성 사구체신염이 학교 집단신체검사에서 발견된 예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바 없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associations of Urinary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NGAL) and Liver-type Fatty Acid-binding Protein (L-FABP) Levels with Hematuri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Choi, Youngmin;Bin, Joong Hyun;Cho, Kyoung Soon;Lee, Juyoung;Suh, Jin-Soo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3권2호
    • /
    • pp.105-110
    • /
    • 2019
  • Purpose: We sought to determine associations of urinary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NGAL) and liver-type fatty acid-binding protein (L-FABP), known markers of renal injury, with hematuri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A total of 112 urine samples from 72 patients aged 2 to 18 years with hematuria were enrolled in this study. Urinary concentrations of NGAL and L-FABP were measured by ELISA and compared between subjects with and without proteinuria and between subjects with and without glomerulonephritis diagnosed by renal biopsy. Results: Urinary concentrations of NGAL and L-FABP/creatinine (Cr) in subjects with proteinuri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subjects without proteinuria. They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subjects with and without glomerulonephritis either. However, both concentrations of urinary NGAL and L-FABP/Cr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urinary protein to creatinine ratio. Their levels had a tendency to be increased when proteinuria developed at later visits in subjects with hematuria only at initial visits. Conclusion: Monitoring urinary NGAL and L-FABP levels in addition to conventional risk factors such as proteinuria and serum creatinine might improve the prediction of renal injury in pediatric patients with hematuria.

소아 연구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 신염의 예후 (Prognosis of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APSGN) in Children)

  • 신윤혜;이지연;배기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9권2호
    • /
    • pp.137-142
    • /
    • 2005
  • 목 적 : 급성 연구균 감염 후 사구체 신염은 A형 $\beta$-용혈성 연구균 중 신염을 일으키는 연구균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며 소아에서 급성 사구체 신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이 질환의 예후는 대부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소수에서 만성신부전으로 진행하기도 한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인 소아에서 이 질환의 임상경과와 예후를 관찰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임상양상과 검사 소견 상 APSGN으로 진단 받고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48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이들의 임상양상 및 소변과 혈청 검사소견에 대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 48명 중 남자는 35명, 여자는 13명이었다. 발병 당시 연령은 평균 5년 9개월이었다. 일년 중 7월(7명, 14.6$\%$)과 11월(6명, 12.5$\%$)에 가장 많이 발병하였다. 발현증상으로는 육안적 혈뇨가 48명(100$\%$) 모두에게 나타났고 단백뇨는 41명(85.4$\%$), ASO 상승은 47명(97.9$\%$), 저보체혈증(C3)은 45명(93.8$\%$)에서 나타났다. 혈청 크레아히닌은 6명(12.5$\%$)에서 1.0 mg/이 이상으로 상승되었다. 동반 증상으로 부종, 고혈압, 핍뇨가 각각 31명(64.6$\%$), 22명(45.8$\%$12명(25.0$\%$)에서 관찰되었다. 1개월에서 3개월마다 추적 관찰하였으며 혈뇨는 43명 중 34명(79$\%$)이 발현 6개월 이내에 혈뇨가 소실되었고 단백뇨는 39명 중 36명(97.5$\%$)이 3개월 이내에 소실되었으며, 혈청 보체는 28명 중 26명이 6-8주 이내에 정상화되었다. 진단 당시 혈청 크레아틴이 상승되었던 6명도 1개월 이내에 정상화되었다. 결 론 : 총 48명의 APSGN 환아 중 5명에서 신기능부전 또는 심한 단백뇨로 신조직 검사가 필요하였으나, 모두 치료 6개월 이내에 완전히 호전되었다. 대다수의 환자에서 보였던 급성기 증상은 특별한 합병증 없이 완전히 해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대상인원이 적고 추적기간이 짧은 점은 있으나, 모든 환자에서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심각한 문제가 없음을 볼 때 소아기 APSGN은 매우 예후가 양호한 질환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경피적 신생검 94례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94 Percutaneous Renal Biopsies)

  • 강호정;임상우;도준영;윤경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84-95
    • /
    • 1995
  • 저자들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에서 1985년 1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시행한 경피적 신생검 110례 중, 추적관찰이 가능한 94례(원발성 91례, 속발성 3례)를 대상으로 조직형별에 따른 임상상과 치료반응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신생검 전 임상진단은 신증후군이 69례, 무증상성 요이상 20례 등이었고, 연령분포는 15세에서 30세사이가 총 52명으로 전체의 55.3%를 차지하였으며 남녀비는 1.76 : 1로 남자가 많았다. 2) 병리 조직학적소견상 원발성 신증후군은 미세변화 신증후군 41례(43.6%), 메산지움증식성 사구체신염 28례(29.8%), 막성 사구체신염 12례(12.8%), Type I 메산지움모세관성 사구체신염 4례(4.3%), 소상성분절상 경화증 3례 (3.2%), 반월상 사구체신염 3례(3.2%)였으며, 속발성은 루푸스 신염 2례(2.1%), B형 간염 연관 막증식성 신염 1례(1.1%)로 전체적으로 미세변화 신증후군이 가장 많았고, 젊은 연령층에서는 미세변화 신증후군과 메산지움증식성 사구체신염이 많았으며 50세 이상의 노인층에서는 막성 사구체신염과 소상성분절상 사구체경화증이 많았다. 3) 스테로이드 치료에 대한 효과는 치료를 시행한 86례 중 41례(47.7%)가 완전관해를, 18례(20.9%)가 부분관해를, 5례(5.8%)가 스테로이드 의존성을 보였으며, 스테로이드 의존성 5례중 4례에서 cyclosporin A를 사용하여 4례 모두에서 단백뇨의 관해를 보였고, 스테로이드에 반응이 없었던 경우는 22례(25.6)였으며, 이외에 ACE inhibitor와 항혈소판제제를 사용하였으나 현재까지 단백뇨의 관해는 볼 수 없었고, 이중 메산지움증식성 사구체신염 1례와 막성 사구체신염 1례, 반월상 사구체신염 1례, 루푸스 신염 1례 등 모두 4례에서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하였다. 4) 조직형별로 치료에 대한 효과는 미세변화 신증후군이 가장 좋았으며 스테로이드 의존성을 보인 5례중 4례에서 cyclosporin A를 사용하여 4례 모두에서 단백뇨의 관해를 보였으며, 메산지움모세관성 사구체신염 4례는 스테로이드 사용없이 항혈소판제제와 ACE inhibitor 등을 사용중이며 단백뇨의 개선은 보이지 않고 있으나 현재까지 전 예에서 정상 신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 PDF

신 증후군을 동반한 베체트 증후군(Behcet syndrome) 1례 (A Case of Nephrotic Syndrome in Behcet Syndrome)

  • 정우석;김혜영;이대열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권1호
    • /
    • pp.73-76
    • /
    • 1998
  • Behcet syndrome is a multisystem disease complex of unknown cause. It is usually manifested by aphthous oral and genital ulcers, uveitis and skin eruption. Less frequently, CNS involvement, colitis, large vessel vasculitis, and myocarditis occur. Recently,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renal manifestations of amyloidosis and focal necrotizing glomerulonephritis in Behcet syndrome. We describe a patient with Behcet syndrome who experienced nephrotic syndrome with focal effacement of epithelial foot process in glomeruli.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ensues.

  • PDF

A Case of Orthostatic Proteinuria Progressed to Persistent Proteinuria Associated with Renal Pathology

  • Kim, Yoo-Jin;Cho, Byoung-Soo;Ha, Tae Su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1권2호
    • /
    • pp.152-155
    • /
    • 2017
  • Orthostatic or postural proteinuria is the most common cause of asymptomatic proteinuria in children. As orthostatic proteinuria (OP) is a benign disease with relatively good prognosis, it has no specific management, and patients only need to be observed. However, if OP shows a persistently high level of proteinuria, in theory, glomerular changes can occur. An 11-year-old girl was referred to the hospital due to asymptomatic proteinuria and was diagnosed as having OP based on the results of clinical and laboratory examinations, urinalysis, and protein/creatinine (TP/Cr) ratio at both supine and erect positions. During follow-up observation, the 24-hour TP/Cr ratio was persistently higher than 1.5 mg/mg for 2 years. We performed renal biopsy, which showed mesangial proliferative glomerular lesions with focal effacement of the podocyte foot processes, but without immune depositions. OP can be accompanied by glomerular lesions if moderate to severe proteinuria persists.

10세 남아에서 생긴 요관 결석에 의한 고혈압성 뇌병증 (Hypertensive Encephalopathy in a 10-year-old Boy with Ureteral Stone)

  • 김용주;강훈철;구자욱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8권1호
    • /
    • pp.51-56
    • /
    • 2004
  • 고혈압성 뇌병증은 혈압상승과 함께 두통, 오심, 구토, 시력장애, 경련, 의식 변화 등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신경 증후군으로 소아에서는 대부분 급성 신장염이나 신혈관성 고혈압에 의해 발생하고 지금까지 요로 결석과 동반된 고혈압상 뇌병증의 보고는 없었다. 저자들은 요관 결석과 동반되어 발생한 고혈압성 뇌병증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