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omerulonephritis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33초

Changes in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An Observation Study at a Single Korean Hospital Over Two Decades

  • Kuem, Sueng-Woo;Hur, Sun-Mi;Youn, You-Sook;Rhim, Jung-Woo;Suh, Jin-Soon;Lee, Kyung-Yil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9권2호
    • /
    • pp.112-117
    • /
    • 2015
  • Purpose: The incidence of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APSGN) in Korea has change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changes of APSGN observed in a single Korean institution over two decad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data of 99 children (0-15 years of age) who were admitted to our institution with APSGN between 1987 and 2013. The patie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depression of serum complement 3 (C3, <70 mg/dL) and elevated titer of antistreptolysin O (ASO, >250 IU/dL) as evidence of previous streptococcal infection. Results: In the 99 patients, the mean age was $8.3{\pm}2.7$ years, and the male-to-female ratio was 2.2:1 (66:30). The annual number of cases fluctuated markedly, and most cases were observed during the late autumn and winter month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cases reported in the past 5 years. Clinical manifestations at presentation, including hypertension and generalized oedema, and th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were higher and longer in patients admitted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study period than during the most recent half-period, suggesting a more severe clinical course in the former group. Conclusions: APSGN has become a rare disease in Korea with a trend towards a less severe clinical course.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prevalence of infection-related immune-mediated diseases could change over-time, together with environmental and possibly pathogen-host relationship changes.

Acute tubular necrosis as a part of vancomycin induced drug rash with eosinophilia and syste­mic symptoms syndrome with coincident post­infectious glomerulonephritis

  • Kim, Kyung Min;Sung, Kyoung;Yang, Hea Koung;Kim, Seong Heon;Kim, Hye Young;Ban, Gil Ho;Park, Su Eun;Lee, Hyoung Doo;Kim, Su 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3호
    • /
    • pp.145-148
    • /
    • 2016
  • Drug rash with eosinophilia and systemic symptoms (DRESS) syndrome is a rare and potentially fatal condition characterized by skin rash, fever, eosinophilia, and multiorgan involvement. Various drugs may be associated with this syndrome including carbamazepine, allopurinol, and sulfasalazine. Renal involvement in DRESS syndrome most commonly presents as acute kidney injury due to interstitial nephritis. An 11-year-old boy was referred to the Children's Hospita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because of persistent fever, rash, abdominal distension, generalized edema, lymphadenopathy, and eosinophilia. He previously received vancomycin and ceftriaxone for 10 days at another hospital. He developed acute kidney injury with nephrotic range proteinuria and hypocomplementemia. A subsequent renal biopsy indicated the presence of acute tubular necrosis (ATN) and late exudative phase of postinfectious glomerulonephritis (PIGN). Systemic symptoms and renal function improved with corticosteroid therapy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vancomycin. Here, we describe a biopsy-proven case of severe ATN that manifested as a part of vancomycin-induced DRESS syndrome with coincident PIGN. It is important for clinicians to be aware of this syndrome due to its severity and potentially fatal nature.

알포트 증후군 형제에서 동시에 발병된 급성 연쇄상 구균 감염 후 사구체 신염 2례 (Alport Syndrome Associated with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in Brothers)

  • 신혜경;김지희;홍영숙;이주원;김순겸;원남희;정해일;유기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7권1호
    • /
    • pp.67-72
    • /
    • 2003
  • 알포트 증후군은 유전성 신염 중 발생빈도가 높은 대표적 질환이며 급성 연쇄상 구균 감염 후 사구체 신염은 연쇄상 구균에 감염되고 1-2주 후에 발병하며 증상이 없는 경한 현미경적 혈뇨에서부터 급성 신부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임상양상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급성 연쇄상 구균 감염 후 사구체 신염이 알포트 증후군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으나 저자들은 육안적 혈뇨를 주소로 내원한 형제에서 신생검을 시행하여 급성 연쇄상구균 감염 후 사구체 신염과 동반된 알포트 증후군으로 진단된 2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C3 Glomerulonephritis associated with Anti-complement Factor H Autoantibodies in an Adolescent Male: A Case Report

  • Hyun, HyeSun;Kang, Hee Gyung;Cho, UiJu;Ha, Il-Soo;Cheong, Hae Il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5권1호
    • /
    • pp.29-34
    • /
    • 2021
  • C3 glomerulonephritis (C3GN), a rare condition associated with dysregulation of the alternative pathway of the complement system, is histopathologically characterized by isolated or dominant C3 deposition in the renal glomeruli. We report a case of C3GN associated with anti-complement factor H (CFH) autoantibodies and CHF-related protein deficiency in an adolescent male. A 16-year-old adolescent male was admitted to a hospital with a 1-month history of generalized edema prior to presentation. Persistent microscopic hematuria and low serum C3 levels were incidentally detected at 7 and 10 years of age, respectively. Laboratory test results revealed hypoalbuminemia, nephrotic-range proteinuria, microscopic hematuria, and normal serum creatinine levels. The serum C3 and C4 levels were 17 mg/dL (normal 80-150 mg/dL) and 22 mg/mL (17-40 mg/mL), respectively. Renal biopsy showed typical features of C3GN. Further investigations revealed positive results on plasma anti-CFH autoantibody testing and a homozygous deletion of CFHR1 and CFHR3, which encode CFH-related proteins 1 and 3, respectively. Proteinuria persisted despite treatment with intravenous methylprednisolone, mycophenolate mofetil, and angiotensin-receptor blocker; however, his renal function remained stable. In conclusion, anti-CFH autoantibodies serve as important contributors to C3GN.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 that describes C3GN in an adolescent Korean male with anti-CFH autoantibodies and homozygous CFHR1 and CFHR3 deletion.

최근 10년간 소아의 연구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 신염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in Children, from 1994 to 2003)

  • 구소은;한혜원;박영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6호
    • /
    • pp.606-613
    • /
    • 2005
  • 목 적 : APSGN은 소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급성 사구체 신염의 하나로, 대부분의 환자에서 급성기 이후 완전한 회복을 보이지만, 소수의 환자에서는 급성기 합병증으로 사망하거나, 이후에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과거에 비하여 발생빈도가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소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신질환으로 최근 10년간의 임상 양상을 살펴보고, 과거의 보고들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4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소아과에서 APSGN으로 진단받고 입원 또는 외래 치료를 시행한 105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연구하였다. 결 과 : APSGN으로 진단받은 환아들의 남녀비는 2 : 1이었고, 평균연령은 $8.5{\pm}2.6$세였다. 연평균 발생 비율은 $10.5{\pm}4.9$였고, 연중 발생을 살펴보면 대부분(60.0%)의 환아가 10월에서 1월 사이에 발생하였다. 내원 당시 부종이 82명(78.1%), 육안적 혈뇨 70명(66.7%), 고혈압 50명(47.6%), 핍뇨 22명(20.9%)에서 나타났고, 현미경적 혈뇨 105명(100%), ASO 양성 99명(94%), C3 감소 96명(91.45), 단백뇨 67명(63.8%)에서 나타났고, BUN이 증가한 경우가 38명(26.2%)였다. C3가 감소하였던 96명 중 70명(75.3%)에서 8주째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22명의 환아에서 신장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급성기 증상은 대부분의 환아에서 1-2주 사이에 소실되었다. 결 론 : APSGN의 임상양상은 과거의 연구들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고, 급성기 회복률 및 단기예후는 우수하였다.

정상 신기능을 보인 Goodpasture 증후군 1예 (A Case of Goodpasture's Syndrome with Normal Renal Function)

  • 김성경;이진국;주겨레;허성은;김정훈;김영균;이숙영;김승준;김치홍;송소향;박성학;최영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1호
    • /
    • pp.86-92
    • /
    • 2005
  • Goodpasture's syndrome is a disease that is characterized by hemoptysis, anemia, and glomerulonephritis with renal failure. Goodpasture reported a case of a young man who expired as a result of a pulmonary hemorrhage and glomerulonephritis at the recovery phase after an influenza infection in 1919. In 1958, Stanton et al. described a combined case of these two diseases as Goodpasture's syndrome. Since then, antiglomerular basement membrane antibody(anti-GBM Ab) has been confirm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echanism of this syndrome, and it was reported that this syndrome was an autoimmune disease. The triad of alveolar hemorrhage, glomerulonephritis and circulating anti-GBM Ab forms the basis of a diagnosis of Goodpasture's syndrome. When patients are affected by disease, the relief of symptoms can be accomplished by eliminating the anti-GBM Ab from the circulatory system through hemodialysis, plasmapheresis and immunoabsorption. However, the patients usually die from a massive pulmonary hemorrhage when the diagnosis or treatment is delayed. The incidence of Goodpasture's syndrome is common in the western world, but it is extremely rare in Korea with only five cases being reported. In three of these cases, pulmonary hemorrhage and renal failure was the initial manifestation. Therefore, hemodialysis or plasmapheresis were absolutely essential treatments. We report a case of Goodpasture's syndrome in Korea with a normal renal function.

급속 진행성 사구체신염으로 시작된 현미경적 다발성 동맥염(Microscopic Polyangiitis) 환자의 7년간의 장기 추적관찰 1례 (Seven-Year Follow Up of Microscopic Polyangiitis Presenting with Rapidly Progressive Glomerulonephritis)

  • 오진원;김병길;이재승;정현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2권1호
    • /
    • pp.99-104
    • /
    • 2008
  • 현미경적 다발성 동맥염은 폐출혈과 급속 진행성 사구체심염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성 혈관염의 일종으로 소아에서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저자들은 폐출혈과 급성 신부전을 동반한 7세 여아에서 신장조직검사와 p-ANCA 검사로 현미경적 다발성 동백염으로 진단 후 5년 뒤 2차 신장조직검사와 경구 ACE inhibitor,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와 저용량의 cyclophosphamide를 투여 받은 환아를 7년간 추적관찰하였다. 발병당시에는 BUN 117 mg/dL, Cr 2.3 mg/dL이었으나, 퇴원시 BUN 20.8 mg/dL, Cr 1.6 mg/dL이었고, 최근 검사에서는 BUN 51.7 mg/dL, Cr 3.2 mg/dL으로 만성 신병증 소견을 보이고 있으며, 외래 추적 관찰 지속 중에 있다. 이에 문헌 고찰과 함께 증례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소아 급속 진행성 사구체신염의 임상적 고찰 (Analysis of Childhood Rapidly Progressive Glomerulonephritis)

  • 엄지현;김미진;이영목;김지홍;이재승;김병길;홍순원;정현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5권2호
    • /
    • pp.78-86
    • /
    • 2001
  • 목 적 : 급속 진행성 사구체신염(Rapidly Progressive Glomerulonephritis)은 초기에는 급성 사구체신염이나 신증의 소견을 나타내다가 수주 내지 수개월 내에 급성 신부전에 빠지게 되는 임상 양상을 보이며, 조직학적으로 반월상, 즉 모세혈관외 증식과 분절성 사구체 괴사가 특징적이어서 반월상 사구체신염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 질환의 병인이나 임상양상, 치료 및 예후에 대한 보고는 아직 많지 않은 상태이며, 특히 소아와 관련된 국내 연구는 미미한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급속 진행성 사구체신염으로 진단받은 환아들을 대상으로 원인질환과 임상양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5월부터 2000년 5월까지 소아과에 내원하여 임상 양상과 신생검 소견을 종합하여 급속 진행성 사구체신염으로 진단받고 계속적인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10명을 대상으로 치료반응 및 임상경과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급속 진행성 사구체신염의 진단 기준으로는 임상적으로 신기능의 급속한 감소(3개월 이내에 사구체 여과율이 $50\%$이상 감소) 소견이 있으면서, 신조직검사상 $50\%$ 이상의 사구체가 반월상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 과 : 발병당시의 평균 연령은 $10.9{\pm}3.8세$였고, 7세 이상의 학동기 환아가 9명으로 대부분이었고 남녀비는 1.5:1이었다. 신조직검사상 원인질환으로는 Henoch-$Sch{\ddot{o}}nlein$ 자반증이 3례($30\%$), 특발성 급속 진행성 사구체신염과 루푸스 신염이 각각 2례 ($20\%$)씩 있었으며, 용혈성 요독 증후군, 막성 사구체신염, 현미경적 다발성 동맥염이 각각 1례($10\%$)씩 있었다. 내원 당시의 주증상으로는 핍뇨와 육안적 혈뇨가 가장 많았고, 발병당시의 임상양상으로는 핍뇨, 현미경적 혈뇨, 육안적 혈뇨, 단백뇨, 부종, 고혈압, 오심, 구토, 관절의 통증 등이 있었다. 혈중 요소 질소치는 평균 $74.2{\pm}39.1\;mg/dL$, 크레아티닌은 평균 $3.2{\pm}1.8\;mg/dL$, 크레아티닌 제거율은 평균 $26.5{\pm}13.2\;mL/min/1.73m^2$로 신기능이 많이 감소되어 있었다. 항호중구 세포질 항체(antineutrophil cytoplasmic antibody)가 양성으로 나온 경우는 현미경적 다발성 동맥염 1례($10\%$)이었고, 항핵 항체 및 항DNA 항체는 루푸스 신염 환아 2례($20\%$)에서 양성 소견을 보였고, 혈중 보체가는 4례($40\%$)에서 감소 소견을 보였다. 용혈성 요독 증후군을 제외한 모든 환아에서 스테로이드 충걱요법 및 면역억제제 병합요법을 시행하였으며, 응급 복막투석은 3례($30\%$), 혈장교환술은 2례($20\%$)에서 시행하였다. 이후 정상적인 신기능으로 회복된 경우는 6례($60\%$) 있었고.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된 경우가 4례($40\%$) 있었는데, 2례($20\%$)에서 지속적인 복막투석을 시행하였으며, 이중 1례는 심부전으로 사망하였다. 결 론 : 아직까지 국내에서의 급속 진행형 사구체신염에 대한 연구보고는 미미한 상태로 질환의 정확한 이해를 통한 조기진단이 필요하며, 적극적인 치료와 더불어 장기예후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Origin of Proteinuria as Observed from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erum and Urinary Proteins

  • Takahashi, Shori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9권2호
    • /
    • pp.65-70
    • /
    • 2015
  • It is well known that proteins present in the primary urine are reabsorbed in the renal proximal tubules, and that this reabsorption is mediated via the megalin-cubilin complex and the neonatal $Fc{\gamma}$ receptor. However, the reabsorption is also thought to be influenced by an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protein molecules and the microvilli of the renal proximal tubules. By analyzing the charge diversity of urinary IgG, we showed that this reabsorption process occurs in a cationic charge-preferential manner. The charge-selective molecular sieving function of the glomerular capillary walls has long been a target of research since Brenner et al.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this function by a differential clearance study by using the anionic dextran sulfate polymer. However, conclusive evidence was not obtained when the study was performed using differential clearance of serum proteins. We noted that immunoglobulin (Ig) A and IgG have similar molecular sizes but distinct molecular isoelectric points. Therefore, we studied the differential clearance of these serum proteins (clearance IgA/clearance IgG) in podocyte diseases and glomerulonephritis. In addition, we studied this differential clearance in patients with Dent disease rather than in normal subjects because the glomerular sieving function is considered to be normal in subjects with Dent disease. Our results clearly showed that the charge-selective barrier is operational in Dent disease, impaired in podocyte disease, and lacking in glomerulonephritis.

Henoch-Schönlein 자반증에서 발생된 단백소실장증 1례 (A Case of Protein Losing Enteropathy Associated with Henoch-Schönlein Purpura)

  • 김기대;오창환;이은영;김재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2호
    • /
    • pp.224-227
    • /
    • 2005
  • Henoch-$Sch{\ddot{o}}nlein$ 자반증에서 복통과 혈변이 가장 흔한 위장관계 침범 증상이며, 주요 위장관계 합병증은 발생빈도가 매우 낮다. 특히 국내 소아에서 단백소실장증이 합병된 보고 예는 아직까지 없다. 저자들은 Henoch-$Sch{\ddot{o}}nlein$ 자반증에서 경과 중에 단백소실장증이 합병된 6세 여아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