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검색결과 976건 처리시간 0.027초

실내에서 스마트폰의 글로벌 좌표 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lobal Positioning System of Smart Phone in indoor)

  • 오종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51-156
    • /
    • 2015
  • 스마트폰의 사용이 크게 활성화됨에 따라 거의 모든 사람들이 항상 휴대하고 있으며, 실외에서는 GPS 위성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고 관련된 응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실내에서는 스마트폰의 위치를 인식하기도 어렵고 TDOA 방식의 상대 위치를 측정하는 방식에서는 글로벌 좌표를 인식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음향 신호를 이용한 TDOA 방식의 상대 위치 추정 시스템에서, GPS 수신기와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에서 스마트폰의 글로벌 좌표를 인식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었고, 그 성능과 실험 결과가 기술되었다.

국내.외 위성항법시스템 모듈의 비교 평가 (Comparison of 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 Made by Domestic Products and Foreign Advanced Products)

  • 황순미;김철희;이관훈
    • 한국신뢰성학회지:신뢰성응용연구
    • /
    • 제8권3호
    • /
    • pp.125-134
    • /
    • 2008
  • Global Positioning System(GPS) is prospects item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with internet. 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 made by domestic have high technology, but its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is very weak because of reliability. In this paper, we compare domestic products with foreign advanced products exactly, and confirm excellence of domestic products.

  • PDF

GPS/GLONASS의 반송파 위상을 이용한 차량항법 (Vehicle Navigation using Carrier Phase of GPS/GLONASS)

  • 이인수;이용희;문두열;손영동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3-310
    • /
    • 2002
  • 현재 범세계위치결정체계(GPS)와 추측항법(DR), 기타 장치를 결합한 육상차량항법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GPS는 육상항법시스템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도심지 등에서 가시위성의 부족으로 차량의 동적 위치결정에 적절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PS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GPS/GLONASS 결합항법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의 동적위치를 결정하였다. 실험결과 도심지에서 많은 장애물과 가시위성에도 불구하고 GLONASS 위성의 부가로 높은 자료획득률을 보여 GPS/GLONASS의 결합항법시스템으로 차량의 동적 위치를 연속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GPS/GLONASS 결합항법시스템은 도로의 교통흐름의 통제와 효율적 관리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지적측량을 위한 GPS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Global Positioning System for Cadastral Surveying)

  • 임현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1-50
    • /
    • 2007
  • 본 연구는 지적측량을 위한 GPS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보다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최근 세계적으로 그 효율성 및 효용성이 증대되고 있는 최신의 측량기법인 인공위성에 의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은 연구대상지역에 대하여 GPS 관측을 실시한 후 현행 Total Station과 GPS의 측량 성과에 대해 비교 분석한 결과 효율성 및 경제성에 대한 측면에서 현행 측량방법보다 GPS가 시간 비용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다 높은 효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GPS 측량의 산출성과가 현행 지적법에서 인정하고 있는 측량성과 인정범위에 모두 포함되어 GPS 측량방법의 높은 정확도를 입증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적측량을 위한 GPS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Combined GPS/GLONASS PPP Method

  • Choi, Byung-Kyu;Roh, Kyoung-Min;Lee, Sang Jeong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3권1호
    • /
    • pp.31-36
    • /
    • 2014
  • Precise Point Positioning (PPP) is a stand-alone precise positioning approach. As the quality of satellite orbit and clock products from analysis centers has been improved, PPP can provide more precise positioning accuracy and reliability. A combined use of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LONASS) in PPP is now available. In this paper, we explained about an approach for combined GPS and GLONASS PPP measurement processing, and validated the performance through the comparison with GPS-only PPP results. We also used the measurement obtained from the GRAS reference station for the performance valida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combined GPS/GLONASS PPP can yield a more precise positioning than the GPS-only PPP.

SGR에서 신호처리과정의 분석과 시뮬레이션 (Analysis and Simulation of Signal Acquisition of GPS Software Receiver)

  • 장위;서희종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27-3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SGR(software-based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에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자료처리과정을 분석하기 위해서, GPS 신호의 수신방법을 심도있게 분석했다. 그리고 이 처리과정을 Matlab를 사용해서 모의실험을 했다. 실험결과, 이 분석방법의 타당성을 찾을 수 있었고, 이 실험은 실제 환경조건에서와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SGR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신기의 성능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동조되는 최적의 주파수는 수십 Hertz내에서 위상을 비교해서 찾을 수 있었다.

LBS를 위한 새로운 측위오차 보정 기법 (Novel Compensation Method of Positioning Error for LBS)

  • 박영식;황유민;김진영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62-67
    • /
    • 2013
  • 최근 위성항법장치를 활용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위성에서 보내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기반서비스가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위성신호의 특성상 고층 건물이 밀집되어 있는 도심과 같은 지역에서는 반사, 굴절로 인해 오차를 가진 위치정보를 얻게 된다. 본 연구과제는 GPS 위치신호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의 방향벡터를 계산하여 분산된 위치좌표를 방향벡터 위로 보정하는 후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심지역에서의 차량주행 실험을 통하여 기존 GPS 보다 평균 11.1m(43%)의 정확도 향상을 통하여 제안한 후처리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Implementation of GPS Spoofing Test Environment using Multiple GPS Simulators

  • So, Hyoungmin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5권4호
    • /
    • pp.165-172
    • /
    • 2016
  •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which is typically exemplified by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mploys a open signal structure so it is vulnerable to spoofing electronic attack using a similar malicious signal with that used in the GPS. It is necessary to require a spoofing test evaluation environment to check the risk of spoofing attack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newly developed anti-spoofing technique against spoofing attacks. The present paper proposed a simulation method of spoofing environment based on simulator that can be implementable in a test room and analyzed the spoofing simulation performance using commercial GPS receivers. The implemented spoofing simulation system ran synchronized two GPS simulator modules in a single scenario to generate both of spoofing and GPS signals simultaneously. Because the signals are generated in radio frequency, a commercial GPS receiver can be tested using this system. Experimental test shows the availability of this system, and anti-spoofing performance of a commercial GPS receiver has been analyzed.

스마트폰과 Double-Stacked 파티클 필터를 이용한 실외 보행자 위치 추정 정확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hancing Outdoor Pedestrian Positioning Accuracy Using Smartphone and Double-Stacked Particle Filter)

  • 성광제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2-119
    • /
    • 2023
  • In urban environments, signals of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can be blocked and reflected by tall buildings, large vehicles, and complex components of road network.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the positioning system using the GPS module in urban areas can be degraded due to the loss of GPS signals necessary for the position estimation. To deal with this issue, various localization schemes using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sensors, such as gyroscope and accelerometer, and Bayesian filters, such as Kalman filter (KF) and particle filter (PF), have been designe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GPS-based positioning system. Among Bayesian filters, the PF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target tracking and vehicle navigation, since it can provide superior performance in estimating the state of a dynamic system under nonlinear/non-Gaussian circumstance. This paper presents a positioning system that uses the double-stacked particle filter (DSPF) as well as the accelerometer, gyroscope, and GPS receiver on the smartphone to provide higher pedestrian positioning accuracy in urban environments. The DSPF employs a nonparametric technique (Parzen-window) to create the multimodal target distribution that approximates the posterior distribu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DSPF-based positioning system can provide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pedestrian position estimation in urban environments.

  • PDF

Evaluation of Point Positioning Usin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the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as Measured from South Korea

  • Choi, Byung-Kyu;Cho, Chang-Hyun;Cho, Jung Ho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2권4호
    • /
    • pp.403-409
    • /
    • 2015
  • The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QZSS), a dedicated regional Japanese satellite system currently under development, was designed to complement the performance of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he high elevation angle of the QZSS satellite is expect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GPS in urban environments. Thus, the work described in this paper,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QZSS on GPS performance, by processing the GPS and QZSS measurements recorded at the Bohyunsan reference station in South Korea. We used these data, to evaluate the satellite visibility, carrier-to-noise density (C/No), performance of single point positioning, and Dilution of Precision (DOP). The QZSS satellite is currently available over South Korea for 19 hours at an elevation angle of more than 10 degre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pact of the QZSS on users' vertical positioning is greatest when the satellite is above 80 degrees of elevation. As for Precise Point Positioning (PPP) performance, the combined GPS/QZSS kinematic PPP was found to improve the positioning accuracy compared to the GPS only kinematic P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