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oside F2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17초

Analysis of Immunomodulating Gene Expression by cDNA Microarray in $\beta$-Glucan-treated Murine Macrophage

  • Sung, Su-Kyong;Kim, Ha-Wo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3년도 Annual Meeting of KSAP : International Symposium on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Sciences on Obesity
    • /
    • pp.98-98
    • /
    • 2003
  • ${\beta}$-(1,3)-D-Glucans have been known to exhibit antitumor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The presence of dectin-1,${\alpha}$, ${\beta}$-glucan receptor of dendritic cell, on macrophage has been controvertial. RT-PCR analysis led to the detection of dectin-1${\alpha}$ and ${\beta}$ in murine macrophage Raw264.7 cell line. Among the various organs of mouse, dectin-1${\alpha}$ and ${\beta}$ were detected in the thymus, lung, spleen, stomach and intestine. To analyze gene expression modulated by ${\beta}$-glucan treated murine Raw264.7 macrophage, total mRNA was applied to cDNA microarray to interrogate the expression of 7,000 known genes. cDNA chip analysis showed that ${\beta}$-glucan of P. osteatus increased gene expressions of immunomodulating genes, membrane antigenic proteins, chemokine ligands, complements, cytokines, various kinases, lectin associated genes and oncogenes in Raw 264.7 cell line. When treated with ${\beta}$-glucan of P. osteatus and LPS, induction of gene expression of TNF-${\alpha}$ and IFN-R1 was confirmed by RT-PCR analysis. Induction of TNF-R type II expression was confirmed by FACS analysis. IL-6 expression was abolished by EDTA in ${\beta}$-glucan and LPS treated Raw264.7 cell line, indicating that ${\beta}$-glucan binds to dectin-l in a Ca$\^$++/ -dependent manner. To increase antitumor efficacy of ${\beta}$-glucan, ginsenoside Rh2 (GRh2) was co-treated with ${\beta}$-glucan in vivo and in vitro tests. IC$\sub$50/ values of GRh2 were 20 and 25 $\mu\textrm{g}$/$m\ell$ in SNU-1 and B16 melanoma F10 cell line, respectively. Co-treatment with ${\beta}$-glucan and GRh2 showed synergistic antitumor activity with cisplatin and mitomycin C both in vitro and in vivo. Single or co-treatment with ${\beta}$-glucan and GRh2 increased tumor bearing mouse life span. Co-treatment with ${\beta}$-glucan and GRh2 showed more increased life span with mitomycin C than that with cisplatin. Antitumor activities were 67% and 72 % by co-injection with ${\beta}$-glucan and GRh2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mitomycin C, respectively.

  • PDF

Dynamic changes of multi-notoginseng stem-leaf ginsenosides in reaction with ginsenosidase type-I

  • Xiao, Yongkun;Liu, Chunying;Im, Wan-Teak;Chen, Shuang;Zuo, Kangze;Yu, Hongshan;Song, Jianguo;Xu, Longquan;Yi, Tea-Hoo;Jin, Fengxi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186-195
    • /
    • 2019
  • Background: Notoginseng stem-leaf (NGL) ginsenosides have not been well used. To improve their utilization, the biotransformation of NGL ginsenosides was studied using ginsenosidase type-I from Aspergillus niger g.848. Methods: NGL ginsenosides were reacted with a crude enzyme in the RAT-5D bioreactor, and the dynamic changes of multi-ginsenosides of NGL were recognized by HPLC. The reaction products were separated using a silica gel column and identified by HPLC and NMR. Results: All the NGL ginsenosides are protopanaxadiol-type ginsenosides; the main ginsenoside contents are 27.1% Rb3, 15.7% C-Mx1, 13.8% Rc, 11.1% Fc, 7.10% Fa, 6.44% C-Mc, 5.08% Rb2, and 4.31% Rb1. In the reaction of NGL ginsenosides with crude enzyme, the main reaction of Rb3 and C-Mx1 occurred through Rb3${\rightarrow}$C-Mx1${\rightarrow}$C-Mx; when reacted for 1 h, Rb3 decreased from 27.1% to 9.82 %, C-Mx1 increased from 15.5% to 32.3%, C-Mx was produced to 6.46%, finally into C-Mx and a small amount of C-K. When reacted for 1.5 h, all the Rb1, Rd, and Gyp17 were completely reacted, and the reaction intermediate F2 was produced to 8.25%, finally into C-K. The main reaction of Rc (13.8%) occurred through Rc${\rightarrow}$C-Mc1${\rightarrow}$C-Mc${\rightarrow}$C-K. The enzyme barely hydrolyzed the terminal xyloside on 3-O- or 20-O-sugar-moiety of the substrate; therefore, 9.43 g C-Mx, 6.85 g C-K, 4.50 g R7, and 4.71 g Fc (hardly separating from the substrate) were obtained from 50 g NGL ginsenosides by the crude enzyme reaction. Conclusion: Four monomer ginsenosides were successfully produced and separated from NGL ginsenosides by the enzyme reaction.

인삼의 중성 Dammarane계 사포닌의 다형핵 백혈구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eutral Dammarane Saponin from Panax ginseng on the in vitro Function of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 ;박기현;한병훈;한용남;정수일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8년도 학술대회지
    • /
    • pp.115-121
    • /
    • 1988
  • 인삼에서 분리한 항염성분이 일찍이 파낙스 사포닌(${\beta}-{\beta}'$(Rc는 아님)는 chemotaxis에 억제효과($27.6-42.1\%$)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인 DXM으로 관찰한 것과 같거나 또는 더 강력하였다.($29.6\%$). DXM이 PMNL 화학발광을 억제하는 반면에 중성 사포닌에서는 효과가 관찰되지않았다. 인삼뿌리에서 추출한 몇 종류의 중성 dammarane계 사포닌이 PMNL 기능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그 효과는 항염증제인 dexamethasone 과는 작용면에서는 다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김밥에서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정량적 미생물위해평가 모델 개발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Model for Staphylococcus aureus in Kimbab)

  • 박경진;오덕환;하상도;박기환;정명섭;천석조;박종석;우건조;홍종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84-491
    • /
    • 2005
  •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QMRA)는 국민건강에 영향을 주는 잠재된 위해를 연구하여 식품내 존재하는 병원성미생물과 관련한 위해를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깁밥에서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QMRA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식품위생관리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여, 식품안전 분야에서의 QMRA의 필요성과 활용성을 알리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QMRA 모델은 매장에서부터 최종소비에 이르기까지 4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미생물 성장모델과 조사자료 그리고 확률분포가 김밥의 최종소비에서의 S. aureus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용되었다. S. aureus에 대한 양-반응모델이 없는 관계로 최종 소비단계에서의 S. aureus의 오염수준을 잠재적인 위해를 결정하는데 이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5 log CFU/g이상을 잠재적 유해수준으로 가정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최종 소비되는 김밥에서 이 유해수준을 초과할 가능성은 30.7%로 나타났다. 김밥에서의 S. aureus의 오염수준은 평균 2.67 log CFU/g으로 나타났으며, 민감도 분석에서는 매장에서의 김밥 보관온도 및 시간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김밥 매장에서는 현실적으로 보존시간 관리가 어렵다고 한다면 보관온도를 $10^{\circ}C$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와 같이 QMRA는 식품 내 존재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평가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를 식품위생관리에 직접적으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삼의 분석방법별 기준인 ginsenoside -Rg1과 -Re의 함량비($Rg1/Re{\Leq}3.87$)에 부합되었다.도에서 MA 저해 효과는 쑥갓>미나리>참깨의 순으로, 각각 54, 48, 29%를 나타냈다. 참깨는 20, $100{\mu}g/mL$의 농도에서처럼 가장 작은 효과를 보여줬고, 쑥갓은 50% 이상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Aldehyde/Carboxylic acid assay에서는 참깨가 가장 높은 효과를 보여줬지만 Lipid MA asaay에서는 그에 비해 가장 낮은 효과를 나타냈다.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보여진다.ificantly more inclusive. As a result of the evolution of new fibers, materials, processes and markets, we assert that a new "ENGINEERING WITH FIBERS" (EwF)(중략)web.cnu.ac.kr/~fabric이다. 제작된 멀티미디어를 실제 수업에 활용한 결과 수강생(32명)의 96.9%가 보조자료로 사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자료가 실험관련 교과목 수업에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고, 87.5%가 활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자료에 만족하며, 75%가 기존의 교과서와 비교하여 더 많이 활용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은 개인차에 따른 개별화 학습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향은 패션마케팅의 정의와 적용범위를 축소시킬 수 있는 위험을 내재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런가 하면, 많이 다루어진 주제라 할지라도 개념이나 용어가 통일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