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g breeding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9초

창출 성분의 장관면역 자극을 통한 골수세포 증식활성 (Bone Marrow Cell Proliferation Activity through Intestinal Immune System by the Components of Atractylodes lancea DC.)

  • 유광원;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35-141
    • /
    • 2001
  • 십전대보탕의 10가지 구성 천연물을 열수추출하여 장관면역 활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창출(Atractylodes lancea DC., ALR)과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PG)에서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약한 활성을 갖는 황기(Astragalus membranacues, ASR)와 당귀(Angelica aculiloba Kitagawa, AR)를 제외하고는 어떤 생약에서도 거의 활성을 갖지 않았다. 한편 이러한 활성을 가진 생약(ALR, PG와 ASR) 중에서도 특히 ALR만이 종류, 생산지 및 육종조건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높은 활성을 보여주어 창출의 열수추출물 획분(ALR-0)이 십전대보탕의 장관면역 활성에 중요하게 관여하는 시료로 선정되었다. ALR-0 획분은 다시 용매별로 분획되어 메탄올-가용성 획분(ALR-1), 메탄올-불용성/에탄올-가용성 획분(ALR-2) 및 조다당 획분(ALR-3)으로 조제되었으며 이들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단지 ALR-3 획분만이 Peyer's patch를 통한 골수세포의 증식을 활성화시키는 장관면역 활성을 시료농도에 의존적으로 나타내었으며 그 외의 획분에는 활성이 거의 없었다. 한편 ALR-3 획분을 $NaIO_4,\;NaClO_2$ 및 pronase로 처리한 후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처리군에서 활성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periodate 산화에 의해 심한 활성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십전대보탕의 장관면역 활성은 10종의 생약 중에서도 특히 창출이 중요하게 활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며 다양한 용매별 분획을 통해 저분자보다는 에탄올에 침전된 고분자가 주요 함유물질인 조다당 획분이 장관면역 활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periodate 산화에 의해 활성이 크게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주로 다당류가 창출의 장관면역에 중요한 활성물질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황색종 연초의 약배양 및 종간교배에 의한 반수체 배가계통의 특성비교 (Comparison of Lines from Anther and Maternally-derived Dihaploids in Flue-cured Tobacco(Nicotiana tabacum L.))

  • 정윤화;이승철;김달웅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4-32
    • /
    • 1992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relative efficiency of two different haploid breeding methods in tobacco varietal development. A single F t hybrid plant from cross of two flue-cured cultivars of Nicotiana tabacum L., Bright Yellow4(BY4) and NC 95, was used to develop the 30 dihaploid lines by anther culture(F1-ADH) and maternally-derived doubled haploid utilizing Nicotiana africana(F1-MDH),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mid-parent, ADH lines showed increasing in number of leaves, delaying in days to flower and narrowing in leaf width.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ther characters investigated were recognized. MDH lines also showed narrow leaf width,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ther characters were observed. The variations of the characters investigated were generally greater in ADH than MDH lines. MDH lines had higher plant height and shorter days to flower than ADH lines, while other characters did not show remarkable differences. The degree of heritability for each of the characters observed between ADH and MDH was almost the same. The characters showing high heritability value were plant height, leaf number, days to flower, and yield, while those showing relatively low value were leaf length, leaf width, and total alkaloid content. Predicted gains from selection for increased yield were calculated for both populations(F1-ADH, F1-MDH) and correlated responses associated with selection for yield were estimated. Plant height, leaf width, days to flower, percent reducing sugar and disease resistance would be expected to improve with selection for yield much faster in the MDH population than in the ADH.

  • PDF

Tolerance Expression of Maize Genotypes to Exserohilum turcicum in North and South Korea

  • Kim, Soon-Kwon;Kim, Hyoung-Wook;Lee, Joon-Soo;Huh, Chang-Suk;Kim, Sun-Hwack;Lee, Kwang-Soo;Han, Hyoung-Jai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13-126
    • /
    • 2012
  • Northern corn leaf blight caused by Exserohilum turcicum Pass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disease infecting corn (Zea mays L.) in the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It contributes to the food shortage in North Korea. The objectives of the current research were to study resistance expression and responses of corn crosses made between ten hybrids from North Korea and inbreeding lines ($S_{3-4}$ stage) from the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six trials with a total of 184 crosses including two commercial hybrids in each trial. The trials were conducted at two locations in North Korea (Mirim and Eunsan) and one location in South Korea (Gunwi) under natural infestation of E. turcicum. Host plant responses were rated on a scale of 1 (highly tolerant) to 9 (highly susceptible). A total of 111 crosses (62.4%) showed significant tolerant or susceptible response variations among three locations; 42 crosses (22.8%) at two locations and 69 crosses (39.0%) at one location, respectively. At least 8 crosses of high level of tolerance and 12 crosses of high level of susceptibility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biotic responses (P = 0.05).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nd historical reviews of E. turcicum epidemics in both North and South Korea suggest that breeding of tolerance with quantitatively inherited genes should be carried out for a sustainable corn production in North Korea.

연초 수량 및 수량관련형질들의 경로분석 (Path-Coefficient Aanalysis of Yield-Characters in Tobacco)

  • 조명조;장권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0-96
    • /
    • 1990
  • 본 연구는 담배육종에 있어 유용형질이 담배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및 간접효과들을 잡종초기세대에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선발육종에 대한 기초정보를 얻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방법은 유전적 특성이 다양한 8개 품종을 공시하여 이면교잡을 하고 양성된 F$_1$, F$_2$ 각 세대별 28개 조합을 Orient 및 Burley 종 각 재배법에 따라 1986년부터 1988년까지 본 연구소 대구시험장에서 수행하였다. 조사항목은 초장, 엽수, 엽장, 엽폭, 개화일수 및 수량 등 6개 농업형질과 nicotine, total nitrogen, protein nitrogen, total volatile base, pet. ether extract 등 6개의 내용성분들로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형질들의 수량에 대한 직접효과는 세대나 재배법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었지만 대개 엽장, 엽폭, 개화일수 및 엽수의 순으로 높았으나 내용성분은 낮았다. 2. 간접효과는 재배법이나 세대에 관계없이 대개 엽장, 개화일수, 그리고 total nitrogen의 형질들이 타형질에 미치는 영향이 컸었다.

  • PDF

고추 흰가루병 저항성 평가방법 개발 (Development of Resistance Evaluation Method for Powdery Mildew (Leveillula taurica) in Capsicum spp.)

  • 김수;김동휘;김대현;한경숙;한유경;이성찬;조명철;양은영;김기홍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311-316
    • /
    • 2011
  • 고추 흰가루병은 시설재배의 증가로 경제적인 피해가 증가하는 병해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추 유전자원의 흰가루병 저항성 평가를 위한 새로운 저항성 평가 방법을 개발하였다. S index라고 명명한 평가방법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최상위 발병 엽수/정단부 엽수) - (최하위 발병 엽수/정단부 엽수). 흰가루병에 의해 발병된 고추 식물체에서 이병엽율과 S index는 81%(P = 0.01)의 정의 상관으로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다. 그리고 34종의 유전자원에서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S index는 흰가루병 저항성 계통을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중 Capsicum frutescens 인 3CA131과 C. baccatum인 3CA0162, 3CA174, 3CA176은 흰가루병에 강한 저항성으로 평가되었다. 이 결과는 고추 흰가루병 저항성품종 육성에서 Sindex의 유용성을 증명한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