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lt-bronze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3초

창녕(昌寧) 교동(校洞) 제 89호분 출토 금동제 안교장식 - 보존처리와 제작기법 조사 - (The Gilt Bronze Saddle Accessory Excavated from Tomb No. 89 of Kyodong in Changnyong 75 - Reports on Conservation Treatment and Manufacturing Technique -)

  • 김경희;한만성;안병찬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권
    • /
    • pp.75-86
    • /
    • 1999
  • 국립김해박물관 개관전시를 위해 일제시대 창녕 교통 제 89호분에서 출토된 금동제안교장식(金銅製鞍橋裝飾 이하 "안교장식")을 보존처리하였다. 안교장식은 수많은 편으로 파손된 채 다른 유물과 뒤섞여 보관되어 왔다. 보존처리는 유물의 원형을 되찾고 재질을 안정화시키는 점에 두고 과학적인 조사와 처리를 실행하는 한편 유물의 제작기법도 상세히 조사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안교장식의 두꺼운 부식생성물을 벗기고 파편을 접착하여 원래 모습으로 복원하게 되었고 전시와 관리도 가능하게 조치하였다. 또한 다양한 고대 제작기법이 적용된 안교장식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구의 재보존처리 (Conservation of the Reliquary from the East Pagoda at Gameunsa Temple Site)

  • 박학수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3권
    • /
    • pp.59-69
    • /
    • 2012
  •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보물 제1359호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사리장엄구 중 금동전각형사리기의 귀꽃이 2010년 11월에 분리된 것을 계기로, 금동사리기외함을 포함하여 2점의 재보존처리를 2011년 3월부터 10월까지 수행하였다. 보존처리는 과도한 광택과 기포를 가진 코팅부위를 제거하고 인크랄락(Incralac)으로 재코팅 하는 과정과, 균열 부위와 분리된 귀꽃을 재접합 후 직조 유리 섬유로 보강하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코팅과 접착제 부위가 가진 광택과 기포를 제거할 수 없는 부위는 소광(消光) 처리와 채색을 통해 광택과 기포가 눈에 적게 띄도록 하였다.

백제 관모에 사용된 직물 연구 (A Study of the Fabrics Used for the Official Hats in Baekje Dynasty)

  • 백윤미
    • 복식
    • /
    • 제59권3호
    • /
    • pp.82-95
    • /
    • 2009
  • The kind and the use of the fabrics for crown manufacture in the Baekje period has been studied by characterizing the imprinted fabrics on the crowns and the diadem ornaments from the old tomb. The contact region with the skin inside of the crown and the region between the bark of white birch and the gilt bronze openwork plates contained fabrics. The fabrics used in the gilt-bronze crown were all plain weave silk except that of Yongwonri tomb where loosely woven thin tabby was used. There have been 4-types of iron framed diadem of the Baekje, which comprise the inverted triangle-shaped diadem only with iron frame, the diadem with gold plate ornament in the iron frame, the diadem decorated with mica plate and gold plate, and the diadem with silver ornament in the iron frame. The fabrics used in the triangle shaped iron frame diadem include plain weave silk, irregular plain woven silk, thin tabby, complex silk gauze, twill weave on plain ground, and warp-faced compound weave. The iron frames were wrapped with the fabrics from one layer up to three layers, and the iron diadem was covered with one later of loosely woven textile such as irregular plain woven silk, thin tabby, and complex silk gauze. But in case of decorating the iron diadem with gold Plate ornaments, multiple layers of fabric were used to sustain the weight of the ornaments. The fabrics in the iron diadem frame were sewed with running stitch, overedge stitch or hemming stitch, diagonal hemming stitch, half back stitch), and overcast stitch.

백제전통문양을 활용한 남성 풀오버 개발 (A design development of men's pullover based upon Baekje traditional patterns)

  • 서서영;박길순
    • 복식문화연구
    • /
    • 제21권4호
    • /
    • pp.494-51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unique men's pullovers using the patterns of Baekje tile, brick, and gilt-bronze shoes. As the method of the study, it was reviewed of the literature about Baekje traditional patterns and the knitting techniques. The development of pullover design was used TexPro design CAD program. The manufacture of pullover were knitted by Shima Seiki computerized knitting machines and Brother manual knitting machine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tterns of Baekje tile, brick and gilt-bronze shoes were suited to develop as motif for men's pullover. Second, men's pullover using Baekje traditional patterns were able to maintain the identity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express the originality of design. Third, pullover was chosen three styles and was developed four design. Each pullover design was applied four colorway. Forth, pullover products were made by wool 100% yarn or cotton 47%/acrylic 53% mixed yarn. The patterns were expressed by knitting techniques of floating jacquard and birds-eye jacquard. Luxurious knit fashions were produced. Consequently, through the men's pullover development utilizing Baekje traditional patterns was showed the superiority of the local traditional culture, which is further emphasized by the current globalization. It also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high value-added knitted fashion products to meet the needs of modern people to pursue individuality.

실상사 목탑의 복원 연구 (The Study of Restoring Silsangsa Wooden Pagoda)

  • 김경표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6호
    • /
    • pp.7-26
    • /
    • 2007
  • This article is about restoring the wooden pagoda which located in Silsangsa Temple after historical research. The process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e theoretical study was considered about similar examples of wooden pagoda and gilt-bronze pagoda in Gorye period and wooden pagoda in contemporary period. After that, the study was established by the present condition of Silsangsa wooden pagoda site, the characteristic of Silsangsa wooden pagoda, the form of arrangement, the scale and height. Finally, considering those studies, the wooden pagoda designed in detail. This restoring design tried to follow the inference in that time. Moreover, the design tried to involve the elements of characteristic of region and Silsangsa wooden pagoda. Therefore, the research establish period of Silsangsa wooden pagoda in Gorye period. Locally, it considered both elements of Silla and Baeckje. The arrange form of restoring wooden pagoda was freestyle arrangement that had two main building of a temple and one middle pagoda. The idea of structure was to establish of double Core system. This system inferred from the system of building structure in ancient wooden pagoda and middle and modern age of multistory wooden construction. According to measurement of foundation stone, the scale of restoring wooden pagoda followed the skill of Tang-scal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each floor followed laminated structure which was the general form of log frame in that time. After study of foundation's condition, the present writer deseeded to have restoring the wooden pagoda 9 stories tall. The final aim was to depend on the structural intuition of the present writer, the writer tried to restore beautiful wooden pagoda according to in those days which is solution for contradiction of unclear point. So, it could be make out a plane of restoring wooden pagoda.

  • PDF

비단벌레 날개를 중심으로 본 금관총 출토 비단 벌레장식 마구류의 제작 기법 연구 (A Study of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he Horse Trappings with Jewel Beetle Adornment Excavated from Geumgwanchong Tomb)

  • 이승렬;정국희;신용비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8권
    • /
    • pp.1-1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경주 금관총에서 출토된 비단벌레장식 마구류의 제작 기법에 대해 비단벌레 날개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비단벌레 날개는 상단 골격부를 제거한 후 금동투조판 아래에 놓여 장식으로 사용되었으며, 부착성 증대를 위한 가공 흔적 등은 확인되지 않는다. 금관총에서 출토된 비단벌레장식 마구류는 안교, 등자, 행엽, 죽제장니가 있으나 등자를 제외한 마구류는 대부분 파손·유실되어 전체적인 제작방법을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비단벌레 날개의 고정 방법은 바탕재에 따라 달라지며, 목심을 바탕재로 사용하는 등자와 안교는 소형정을 사용하고 죽제장니나 철제를 바탕재로 사용하는 유물은 옻칠을 사용하여 고정 후 금동투조판으로 압착하여 결합한 것으로 확인된다.

국립김해박물관(國立金海博物館) 개관(開館) 전시유물 보존처리 보고(報告) (Report on the Conservation Treatment for the Artifacts Exhibited in the newly-opened Kimhae National Museum)

  • 권혁남;안병찬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권
    • /
    • pp.15-26
    • /
    • 1999
  • 국립김해박물관의 개관을 위해 전시유물 200여점을 보존처리 하였다. 처리유물은 대부분 고분출토품이며 재질은 금동, 은, 구리합금제, 철제 등 금속유물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모두 고대 가야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재들이다. 유물은 상태에 따라 처리방법을 달리했다. 구리합금제 유물은 부식물의 안정성에 따라 보존과 제거를 결정했다 특히 철제품의 경우 현재 안정한 상태의 유물은 물리적인 방법으로 이물질을 제거해 원형을 찾고 방녹제[상품명:Ballistol]를 이용해 부식을 예방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부식이 진행중인 유물은 원인제거를 위해 2단계 탈염처리를 했다. 제 1단계는 0.3M NaOH 용액함침, 제 2단계는 붕사-증류수 가압탈염법이다. 이밖에 전시를 위한 특수 받침대제작 및 각종 전시보조물인 모형 등에 대한 수정작업도 지원했다.

부여 쌍북리유적 출토 백제 도가니 내부 유리 및 청동 용융물질의 정량분석과 고고과학적 해석 (Quantitative Analysis and Archaeometric Interpretation for Molten Glass and Bronze Materials within Baekje Crucibles from the Ssangbukri Site in Buyeo, Korea)

  • 이찬희;박진영;김지영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7-169
    • /
    • 2010
  • 이 연구는 부여 쌍북리유적에서 출토된 도가니 내부 유리 및 청동용융물질과 금동보살입상의 재료학적 특성 및 고고과학적 상관관계를 규명한 것이다. 도가니 내부의 유리질 용융물질은 주로 황록색과 적갈색을 띠는 PbO-$SiO_2$계의 납유리로서 바륨과 안정제의 함량이 낮은 특징이 있다. 금속용융물질은 Cu, Sn, Pb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청동으로 밝혀졌으며, 낮은 불순물 함량으로 미루어 고순도로 정련된 구리를 이용하여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주석의 원광석으로는 석석이 이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금동보살입상의 청동소지도 구리의 함량이 높고 불순물의 함량이 낮아 고도로 정련된 원료를 사용하였으며, 쌍북리 유적의 공방에서 숙련된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충분하다. 또한 표면에는 고순도의 금을 아말감기법으로 도금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도가니 내 납유리와 청동물질 및 금동보살입상의 납동위원소비는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지 않는 것으로 보아 납광석의 원산지 해석에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나주 복암리 정촌 고분 출토 화살통 장식의 제작 방법 연구 (A Study of the Making of Ornamental Metal Quiver Fittings in the Ancient Tombs of Jeongchon, Bogamri, Naju)

  • 이혜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242-253
    • /
    • 2020
  • 나주 복암리 정촌 고분 1호 석실에서 화살통 장식 6점이 출토되었다. 유기물로 만들어진 화살통은 매장 상태에서 부식되어 없어지고 금속으로 만들어진 화살통 장식물만 남게 된다. 정촌 고분 화살통 장식은 형태적으로 2점씩 쌍을 이루며, 출토 위치에 따라 화살통 2점을 장식한 것으로 추정된다. 화살통 장식은 화살의 방입부(方立部)를 꾸며주는 대륜상금구와 방입부와 허리띠를 연결하는 배판(背板)을 장식하는 판상금구로 나누어진다. 1호 석실 목관2에서 출토된 화살통 장식은 대륜상금구만 확인되었으며 1호 석실 동남쪽에서 확인된 화살통 장식은 허리띠에 사용된 추정 대구, 판상금구, 대륜상금구가 확인되었다. 화살통 장식의 분석 결과, 철제 판에 금동 판을 접합한 철지금동장식제(鐵地金銅裝飾製)이며 표면을 정(釘)으로 점을 찍어 선과 문양을 만든 것을 알 수 있다. 성분 분석 결과(XRF), 금동 표면은 24~40wt% Au, 50~93wt% Cu가 검출되어 금도금 표면에 청동 부식물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금도금 층의 SEM-EDS 분석 결과 광택을 내기 위한 작업선이 확인되었다. 또한 7~9wt% Hg가 검출되고 도금 층에 아말감 덩어리가 확인되어 아말감 도금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T와 FT-IR 분석 결과 대륜상금구는 철제 판 아래 견직물이 2중으로 겹쳐 있으며 그 아래 옻칠편도 붙어 있었다. 이는 대륜상금구를 방입부에 부착할 때 직물을 덧대어 밀착력과 장식성을 높였으며, 옻칠 된 방입부 표면이 함께 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판상금구는 철제 판 아래 유기물이 두껍게 붙어 있다. 재질을 확정하기 어려우나 배판의 잔재로 보인다. 이러한 나주 정촌 고분 출토 화살통 장식의 특징은 4세기 후반~5세기 후반의 백제, 신라, 가야 문화권과 유사한 형식을 보여주며 당시 수준 높은 고대 금속 공예 제작 기술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