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lls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35초

임하호 유입지천에 서식하는 어류에 미치는 탁수의 영향 (Effect of Turbid Water on Fishes in the Streams of Imha Reservoir)

  • 유삼환;김정숙;신명자;이종은;서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410-1416
    • /
    • 2009
  • 본 연구는 탁수가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임하호 유입지천인 탁수수계(영양군 화매천)와 비탁수수계(청송군 신흥천)의 수질, 토양성분 및 어류의 조직 생리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임하호 유입지천의 수질은 탁수수계에서 pH, DO, SS 및 탁도가 높았으며, 토양성분은 vermiculite (V), illite (I)와 같은 점토광물이 높은 것으로 보아 점토광물이 강우시 쉽게 유출되어 탁수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탁수수계에 서식하는 어류는 이차새변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고, 상피세포의 분리와 부종 및 곤봉 형태가 관찰되었다. 또한 아가미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며 다량의 이물질이 존재하였고, 신장 조직에서는 보우먼주머니 안의 사구체 크기가 수축되어 보우만 공간이 넓은 형태를 나타냈다. 이러한 조직학적 변화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어류의 2차 병변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어류의 건강상에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항산화효소의 활성은 탁수수계에서 높은 활성을 보이며, GR은 항산화효소의 활성중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탁수수계의 근육과 신장조직에서는 SOD, CAT, GPX, GST가 비탁수수계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는 활성산소가 많이 발생하는 탁수수계의 어류 체내에서는 유해한 라디칼을 제거하기 위해 항산화효소의 활성이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

호르린스극구흡충의 실험실 내 생활사에 대한 연구 (Experimental life history of Echinostoma hortense)

  • 이순형;황순옥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2호
    • /
    • pp.161-172
    • /
    • 1991
  • 실험실 내에서 호르텐스극구흡충(Echinostoma hortense)의 생활사를 유지하면서 여러 가지 생물학적 현상을 관찰하였다. 충란은 $29~30^{\circ}C$ 항온기에서 배양 약 13일에 miracidium으로 발육하였고, miracidium은 평균 $93.8{\times}53.6{\;}{\mu\textrm{m}}$의 크기였으며 체표에 $7~11{\;}{\mu\textrm{m}}$ 길이의 섬모가 덮혀 있었다. Miracidium을 패류 Lymnaea pervia에 접촉 감염시켰던 바, 접촉 후 14일에 평균 $1.19{\times}0.27{\;}mm$ 크기의 제 1기 redid로, 30일에는 평균 $1.40{\times}0.26{\;}mm$ 크기의 성숙한 제 2기 redid로 발육하였다. Cercaria는 평균 $295.5{times}145.0{\;}{\mu\textrm{m}}$의 크기였으며, 두관의 발육이 미약하였고 두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올챙이에 이 cercaria를 접촉시킨 결과, 모든 올챙이가 감염되었으며 피낭유충 회수율도 평균 88.5%로 높았다. 올챙이로부터 회수한 피낭유충은 타원형이었으며 평균 $167.7{\times}129.9{\;}{\mu\textrm{m}}$의 크기였다. Cercaria감염 후 올챙이 체내에 약 12시간 동안 머문 피낭유충은 마우스에 대한 감염력이 5.0%였으나 점차 증가하여 9일간 머문 것은 90.0%로 최대치를 보였고 이후 감소하여 50일 머문 것은 55.0%의 감염력을 보였다. 피낭유충이 마우스 체내에서 성충이 되기까지는 약 11~12일이 소요되었다. 이상과 같이 실험실 내에서 E. hortense의 전 생활사를 완료시키는 데에 최소한 55~58 일이 소요되었다.

  • PDF

마이크로시스틴의 어류내 축적성 및 인체 위해성 평가: 국내 저수지 사례연구 (Accumulation of Microcystins in Fish and Evaluation of Potential Human Health Risks: A Case Study on a Eutrophic Reservoir in Korea)

  • 윤효정;서정관;김탁수;조아름;김정곤;이두희;김필제;최경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0-18
    • /
    • 2016
  • Objectives: Microcystin (MC) produced during cyanobacterial blooms is a worldwide problem presenting a serious health threats to humans and ecosystems. During July through October of 2013, the Ilwol Reservoir experienced a high biomass of phytoplankton (maximum $211.7mg/m^3$ of Chlorophyll-a) containing the toxigenic cyanobacterium Oscillatoria sp.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C concentration in the reservoir water, as well as in representative fish species (Carassius cuvieri, Carassius auratus, Channa argus). We also evaluated the human health risk of exposure to MCs accumulated in the fish. Methods: Concentrations of MCs in the water and fish samples were analyzed by liquid chromatography with a triple quadrupole tandem mass spectrometer (LC/MS/MS)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Results: The total levels of four MC variants, including MC-LR, MC-RR, MC-YR and MC-LA were below the WHO drinking water guideline limit (1 ug MC-LR per liter) both for the dissolved and particulate fraction present in the water samples. The mean MC concentrations in the livers of all spec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gills (p < 0.01) and muscles (p < 0.05). The values of estimated daily intake of MCs in muscles, the edible part of the fish, would be only $0.005-0.015{\mu}g/kg{\cdot}day$, much lower than WHO's provisional tolerable daily intake of $0.04{\mu}g/kg{\cdot}da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owing to the spatial distribution or temporal variation of MC, there is a need for careful monitoring of cyanotoxin in reservoir water and aquatic animals to protect public health.

빈산소와 철에 대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생태생리적 반응 및 회복 II. 철에 노출된 넙치의 생존, 대사 및 조직학적 변화 (Ecophysiological Responses and Subsequent Recovery of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xposed to Hypoxia and Iron II. Survival, Metabolic and Histological Changes of the Olive Flounder Exposed to Iron)

  • 강주찬;이정식;지정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99-705
    • /
    • 1999
  • 본 연구는 연안 환경오염 및 양식용수의 이용과정에서 파생될 수 있는 철 오염이 넙치의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12주 동안의 만성적 조건하에서 그들의 조직, 대사 및 생존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철에 노출시킨 넙치 아가미의 뚜렷한 조직학적 변화양상은 0.93mg/$\ell$ 이상의 농도에서 2주 후부터 조사개체 중에 $50\%$이상이 나타났다. 이들의 변화양상은 새판의 만곡, 새판 말단부의 곤봉-화, 상피세포의 파괴, 상피층의 박리현상, 괴사 및 새판의 융합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 같은 손상정도는 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심하게 나타났다. 산소소비는 철 농도 0.42mg/$\ell$ 이하에서는 유의한 감소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0.93 mg/$\ell$ 농도에서는 실험 2주 후부터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고, 12주 후의 0.93, 4.89 및 9.78mg/$\ell$농도에서 각각 37.1, 43.5 및 $53.2\%$가 감소하였다. 생존율은 0.42mg/$\ell$이하의 철 농도에서 $100\%$가 관찰되었고, 0.93mg/$\ell$농도에서는 $92.5\%$의 생존율을 보였으나, 유의한 감소는 철 농도 4.89mg/$\ell$에서 실험 5주 후, 9.78mg/$\ell$농도에서는 4주 후부터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연안해역 및 양식장 등에 0.93 mg/$\ell$ 이상의 철 농도가 존재할 경우, 넙치는 아가의 손상 및 대사활동의 저하 등으로 인해 성장에도 악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2018년 국내 연근해 수산생물의 전염병 모니터링 (Disease monitoring of wild marine fish and crustacea caught from inshore and offshore Korea in 2018)

  • 황성돈;이다원;천원주;전해련;김동준;황지연;서정수;권문경;지환성;김정년;지보영
    • 환경생물
    • /
    • 제37권4호
    • /
    • pp.474-482
    • /
    • 2019
  • 자연수계 수산생물의 전염병 모니터링은 자연수계 및 양식 수산생물의 질병 관련성 및 상관관계 구명은 질병 발생 예방 및 확산 방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18년 해구 64개소에서 어류 39종 977마리 및 갑각류 14종 287마리를 선정하여 총 1,264마리에 대하여 병원체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어류는 법정전염병 2종(VHS, RSIVD) 및 비법정전염병 3종(MABVD, HRVD, LCD)을 분석하고 갑각류는 법정전염병 6종(WSD, IHHN, TS, IMN, YHD, WTD)을 분석하였다. 조사한 모든 시료에서 전염병이 검출되지 않았지만, 우리나라에서 조사한 자연수계 수산생물이 무병하여 청정국 또는 청정지위 선언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스쿠티카섬모충에 감염된 자주복, Takifugu rubripes 외부증상과 피부, 아가미, 혈관내 충체의 분포 (External Symptoms of Tiger Puffer, Takifugu rubripes Infected with Scuticociliates and Distribution of the Scuticociliates in the Skin, Gill and Blood Vessel)

  • 강법세;고환봉;김성준;나오수;이치훈;김삼연;이제희;이영돈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9-37
    • /
    • 2005
  • 스쿠티카섬모충이 사육중인 자주복에 침입하였을 때 감염어의 외부증상, 행동특성 및 피부, 아가미 그리고 혈관내 충체의 분포 양상을 조사하였다. 스쿠티카섬모충에 감염된 개체는 초기에 체색 변화나 유영행동 등의 외부증상을 인지할 수 없었으나, 몸체에 감염부위가 병리적인 진행에 따라 표피와 지느러미에 발적과 부식, 그리고 궤양증상을 보였다. 또한 감염어는 정상개체와 달리 무리에서 이탈하여 선회 또는 저면에 멈춰 있거나 수면 위로 입올림 하였으며, 일부 개체에서는 돌발적인 유영도 보였다. 사육중인 자주복에 침입한 스쿠티카섬모충은 타원형으로 크기가 20-40 ${\mu}m$ 범위였고, 몸체의 미부에 수축포와 10-12 ${\mu}m$되는 하나의 긴 섬모가 개재되어 있으며, 생식방법은 이분열로 증식하여 형태분류학적인 측면에서 막구충아강 채찍섬모충목의 특색을 나타내었다. 아가미에 스쿠티카섬모충이 감염된 경우에는 아가미 새판상피의 비대로 새엽이 곤봉화 되는 병리적 현상이 있었다. 혈관 속에 침입한 스쿠티카섬모충들은 혈관의 직경 크기에 따라 1-2마리에서 많게는 9-10마리씩 산재하였고, 그들 중 일부 개체에서 적혈구 세포를 섭취한 스쿠티카섬모충이 관찰되었다.

양식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Perkinsus sp. 검출현황과 현장조사 (Prevalence and Detection of Perkinsus sp. infection in the Manila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 박성우;이경희;최동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9-58
    • /
    • 2005
  • 2002년 3월부터 2003년 9월까지 태안과 고창 지역에서 채취한 바지락을 Hemacolor 염색, 병리조직학적 방법 및 FTM 배양법으로 Perkinsus sp.의 감염율을 조사하였다. 검출방법에 따라 감염율에 차이가 있었지만, 고창 지역은 100%로 계절적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태안 지역은 동계에는 낮아지고 하계에는 감염율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20-70%의 감염율을 나타내었다. 조사 방법 중에서 병리조직학적 검사방법이 감염율이 가장 높아 효과적인 조사 방법이었으며, 검사 조직으로는 아가미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감염율이 높았다.2004년 4월부터 7월까지 태안과 고창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동죽, 바지락, 굴 및 피뿔고둥의 아가미에서 DNA를 추출하여 PCR 반응을 시킨 결과 모든 패류에서 Perkinsus sp.가 검출되었다. 2 지역의 평균 감염율은 바지락 95.0%, 동죽 62.5%, 피뿔고둥 46.9%, 굴 10.0%로 갯벌에 서식하는 종이 암반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종보다 감염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서해안에 서식하는 거의 모든 패류에 Perkinsus sp.가 감염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PCR법의 경우 다른 패류에서도 감염을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남해안 양식산 조피볼락에 기생한 Microcotyle sebastisci의 감염률 변동 (Ecological study on Microcotyle sebastisci of parasiting of cultured rocfish, Sebastes schlegeli, in Korea)

  • 최상덕;심두생;공용근;백재민;방인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9-126
    • /
    • 1996
  • 1995년 4월부터 10월까지 전남 가막만과 경남 남해 해역에서 양식하는 조피볼락에 기생하는 아가미흡충 Microcotyle sebastisci의 기생률 변동 및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M. sebastisci는 6~7월에 나타나지 않았고, 주로 새엽 II~III에 기생하였다. 기생된 부위는 미세한 출혈과 함께 점액이 다량 분비되었다. 남해의 경우 9월에 있어서 감염률, 상대 감염밀도, 평균 감염강도는 각각 40.0%, 30.7, 76.8을 나타내었다. 또한 가막만의 경우는 10월에 감염률, 상대 감염밀도, 평균 감염강도는 각각 46.0%, 40.5, 88.0으로 조사기간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병리조직학적 소견으로는 호흡상피세포의 증생, 비후, 새박판간상피세포의 중생과 새변의 곤봉화가 일어났다. 2차적으로 세균의 감염에 의한 아가미 부식도 관찰되었다.

  • PDF

살오징어의 내장부위별 지질 Class 및 지방산 조성 (Lipid Clas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Viscera from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 문수경;김경대;강지연;성낙주;정보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76-383
    • /
    • 2006
  • The chemical components, lipid clas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viscera from male and femal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were examined to evaluate the possible utilization of the liver, reproductive organs, and gills. In male and female squid, the viscera comprise 21% and 27% of the body weight, respectively. The protein content of the viscera was slightly higher in females (17.7-19.5%) than in males (15.6-17.2%). This was especially marked in the female reproductive organs, while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gill. The liver contained the largest amounts of lipids (17.2-18.6%) and the levels were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P<0.01). By contrast, the reproductive organs of females contained more lipids than did those of males (4.68% vs. 1.65%, p<0.01). The prominent non-polar lipid (NL) classes were triacylglycerol (51.9-55.4% of the NL content) and sterol ester (16.3-21.8%) in the liver, and free sterol (47.0-68.5%) and free fatty acids (31.5-41.2%) in the reproductive organ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L classes between sexes. The percentage of the most prominent phospholipid (PL) class, phosphatidylcholine (PC), was highest in the liver (78.1-79.6% of the PL conten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exes. By contrast, phosphatidylethanolamine (PE) was highest in the reproductive organs (33.4%), and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P<0.05). All the visceral organs contained 36.4-48.5% of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such as docosahexaenoic acid (DHA) and eicosapentaenoic acid (EPA). The DHA level was highest in female reproductive organs (32.3%), while EPA was high in male reproductive orga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viscera of male and female common squid are a good source of DHA and EPA.

2배체 기수산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와 3배체 담수산 재첩 C. fluminea의 핵형분석 및 번식 특성 (Karyotype and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the Diploid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aponica and the Triploid Freshwater Marsh Clam, C. fluminea)

  • 최기호;정의영;곽오열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9-49
    • /
    • 2007
  • 우리나라 고성군 송지호의 기수역에서 채집된 2배체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 과 춘천 의암호 담수에서 채집된 3 배체 재첩 (C. fluminea) 을 대상으로 핵형 및 번식특성의 차이점을 확인하기 위해 조사하였다. 2배체인 일본재첩은 25 개 세포들에서 세포당 38 개의 염색체가 관찰되었다. 이들의 핵형은 상동염색체 2 개가 19 쌍을 이루고 있다. 염색체는 11 쌍의 telocentric과 3 set의 subtelocentric 그리고 3 쌍의 submetacentric 그리고 1 쌍의 metacentric 염색체로 구성되어 있었다. 일본재첩은 난생이며 자웅이체로 내반새와 외반새를 갖는 두 쌍의 아가미를 가지나, 이들은 보육낭으로 기능을 하지는 않는다. 난들과 정자들은 기수역에서 체외수정을 한다. 3배체인 재첩은 세포당 54 개의 염색체가 관찰되었다. 이들의 핵형은 상동염색체 3 개가 18 set를 이루고 있었다. 이들 염색체 18 set는 1 개의 metacentric group과 5 개의 submetacentric group, 그리고 12 개의 subtelo 또는 telocentric group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재첩은 난태생이며 기능적 자웅동체이다. 3배체 조건은 자웅동체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재첩의 경우는 주로 보육낭으로 기능을 하는 내반새 (inner-demibranch) 를 갖는 2 쌍의 아가미를 가진다. 아가미의 내반새 구조에서는 임란기 중에는 완숙란들이 소모되고, 비임란기 중에는 완숙난들이 생식소의 자웅동체 소낭 내에서 생산되어 주기적 변화가 나타났다. 일본재첩과 재첩의 생식소발달 단계들은 조직학적 관찰에 의해 초기활성기, 후기활성기, 완숙기, 부분산란기, 퇴화 및 비활성기의 5 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