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fted education center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1초

과학일지 쓰기가 과학영재의 인지적 ${\cdot}$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Journal Writings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features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 이정희;우규환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4호
    • /
    • pp.15-45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일지 쓰기 활동이 과학영재의 인지적 ${\cdot}$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 소속 과학영재 21명을 대상으로 6 개월간 온라인으로 과학일지를 쓰게 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일지에서 글쓰기 형식에 따라 과학개념이 드러나는 양상과 함께 과학영재의 심리 ${\cdot}$ 행동적 특성이 정적 양상과 부적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학일지 쓰기는 인지적 측면에서 과학영재의 과학개념에 대한 이해와 탐구력을 향상시키며, 정의적 측면에서 관찰력이나 과학에 대한 흥미와 태도 및 글쓰기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과학일지 쓰기는 과학영재의 인지적 ${\cdot}$ 정의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과학영재는 과학일지 쓰기가 매우 유익하며 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도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어, 이러한 결과는 과학일지 쓰기 활동이 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과학영재 초등학생들의 지적 배경 조사

  • 박상우;정병훈;박종욱
    • 영재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1-25
    • /
    • 2002
  •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센터에 선발된 학생들의 가정 환경, 지적 선호, 장래 희망, 지적 과외 활동 등으로 구성된 지적 능력의 배경을 조사하고, 지적능력에 대한 수용 태도와 그 태도를 나타내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과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교 과학영재 학생의 가정은 대체로 경제적으로 교육을 시키는데 어려움이 없었으며, 지적으로는 높은 수준의 환경을 갖고 있었다. 과학영재 학생이 순수과학자가 되기를 희망하는 경우 이들은 과학과목을 좋아하고, 과학 책을 즐겨 읽으며 남학생일 경우가 많았다. 지적 능력에 대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수용 태도는 대체로 지능에 대한 자신감은 크지 않았지만 학습을 통하여 지식이 많아지면 지능과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태도의 요인으로 자기의 지능에 대한 다른 사람의 높은 기대, 과제 해결에 대한 자신감과 여유, 학습에 의해 지능과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 지능에 대한 자신감과 상황 참여에의 적극성 등 4가지 요인을 정의하였다.

초등과학영재학생의 발표에 대한 인식 및 발표의 자발성과 과학창의성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Speech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Voluntary Speech and Scientific Creativity)

  • 김민주;임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3호
    • /
    • pp.331-344
    • /
    • 2019
  • This study aims to analyse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speech in general school class, school science class, and science-gifted cla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voluntary speech and scientific creativity. For this, 39 fifth-graders in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at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Korea were asked about their frequency of voluntary speech on each class situation, the reasons for such behavior, and their general opinions about speech. Also, researchers collected the teachers' observation on students' speech in class. To get the scores for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four different subjects of tasks were presented. The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scores were used for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ir frequency of speech. The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tended to be passive in science-gifted class compared to general school and school science class. Second, the main reason for the low frequency of students' speech in school classes is that they do not have many opportunities to make presentations. Third, a survey of students' general thoughts on speech showed that more students wanted to make a speech voluntarily in class than the opposite. Fourth, the four different scientific creativity tasks had little correlation. Fifth,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frequency of voluntary speech and the scores of scientific creativity were mostly low, with significant results only for plant task. Sixth,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frequency of voluntary speech and the two components that make up scientific creativity, originality and usefulness, were also mostly low, but significant results for both were found in plant task, with originality having a higher correlation than usefulness. Based on this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students' voluntary speech o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nd creativity education.

초등학교 과학영재의 선발에 적용한 화학실험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no the Assessment Using Chemical Experiments for the Indentification of the Gifted Children in Science)

  • 박종석;박원선;박종욱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57-165
    • /
    • 2000
  • 청주교육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에서는 과학영재를 선발하는데 화학실험평가를 실시하였다.지필평가와 더불어 실시된 화학실험 평가에서는 '각설탕의 용해 관찰하기(실험1)'와 '용액의 진하기 순서 알아 맞추기(실험2),로 명명된 두가지 실험이 이용되었다. '각설탕의 용해 관찰 실험'으로는 학생들의 기본적인 관찰 능력과 그에 따른 문제인식과 모형 사용 능력을 알아보았고, '용액의 진하기 알아 맞추기 실험 '으로는 실제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알아보았다. 또한 실험 과정 중 교사의 관찰에 의해 학생들의 흥미, 과제 집착력 둥 과학적 태도도 평가하였다. 현실적으로 여려 가지 문제로 인해 실시에 어려움이 있는 실험 평가는 과학영재들이 나타내는 독특한 특성, 즉 창의성이나 유통성, 독창성을 알아보는데 도움이 되었다.

  • PDF

수학 영재학생의 사사독립연구에 대한 산출물 분석 - 중등 영재학생을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 - (Analyzing a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Output for Mentor-Independent Study - A Case Study Focused on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Gifted -)

  • 이헌수;박종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85-205
    • /
    • 2011
  • 본 연구는 전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중등수학 사사과정에 있는 수학영재 학생을 대상으로 사사독립연구를 실시하여 수확영재의 사사독립연구에서 얻어진 산출물에서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고, 산출물 발표과정에서의 영재학생의 심리적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영재학생의 사사독립연구는 수학영재성 중 수학적 능력의 구성요소만 귀납적 연역적 추론 능력을 발현하게 한다. 둘째, 영재학생의 사사독립연구에 대한 산출물 발표는 영재학생에게 수학영재성 관련된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 중 수학적 능력인 의사소통능력이 영재학생에게서 발현하게 한다. 셋째, 영재학생의 사사독립연구에 대한 산출물 발표는 영재학생에게 수학 영재성의 구성요소 중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 자기 신뢰감 등과 관련된 요소를 상승하게 한다.

C 영재교육원을 통해 살펴본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a University Affiliated Science-Gifted Educational Program: The Case of C Gifted Education Center)

  • 한기순;양태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7-155
    • /
    • 2009
  • 영재교육은 효과적인가? 영재교육은 그 지향하는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했다고 평가할 수 있는가? 영재 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받는 동안 학생들은 인지적, 비인지적 측면에서 어떻게 달라지며 영재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들과 어떠한 측면에서 차별화되는가? 본 연구는 이러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질문들은 매우 민감하지만 중요한 이슈임이 틀림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부설 C 과학영재교육원 재학생 153명과 교사가 추천한 과학적 흥미와 능력이 과학영재교육원 학생과 유사한 수준의 우수학생(비교집단) 131명을 대상으로 과학에서의 문제 발견력, 학습 동기와 자기조절능력, 과학 관련 태도, 과학 불안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에서의 문제 발견력에서 영재집단은 정교성과 독창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탐구동기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우수집단은 정교성, 탐구동기, 탐구수준, 독창성 등 과학에서의 문제 발견력이 전반적으로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 동기 및 자기조절 능력에서 영재집단은 인지전략 사용 부분에서 유의하게 높아졌고 내적가치는 유의하게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우수집단의 경우 자기효능감, 불안테스트, 자기조절 등 전반적으로 학습 동기 및 자기조절 능력이 감소하였음 알 수 있었다. 과학 관련 태도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투입된 영재집단의 경우, 사전 사후 값의 변화가 없었지만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투입되지 못한 우수집단의 경우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 불안도에서 영재집단의 경우, 사전 사후 값의 변화가 거의 없었지만, 우수집단은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각 변인들에 대하여 사전 점수를 공변인으로 실시된 공변량분석 결과,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불안도(과학적 관련 수행, 탐구동기 제외), 과학에서의 문제 발견력과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영재집단에서 각 변인들에 대하여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기 때문이 아니라 우수집단에서 전반적으로 큰 폭의 점수하락이 발생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초등수학 영재교육원의 교실 생활과 정체성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classroom life and the identity of the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 이학로;류성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99-118
    • /
    • 2011
  • 본 연구는 영재교육원의 일반적인 교실 생활과 영재교육원의 수업에서 지도교사와 영재학생들의 정체성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영재교육원 두 반과 2명의 영재담임강사를 약 3개월에 걸쳐 관찰 및 면접한 결과를 분석한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원의 교실 생활에 대해 수업의 조직과 사회적 참여구조, 의미 형성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영재교육원 지도교사와 영재학생들의 정체성에 대해 영재수학 및 수학 교수, 학습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기술하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해 영재교육원에 입학하고자 하는 학생들과 영재교육원 강사가 되고자 하는 교사에게는 영재교육원 교실 생활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심어주고, 지도교사에게는 학생들의 영재수학에 대한 정체성과 수학학습에 대한 정체성을 이해하여 어떻게 영재수업을 준비해야할 지에 대한 시사점을 주게 된다.

식물원 야외체험학습에서 활용 가능한 과학 창의성 과제 개발 - 초등과학영재학생에의 적용 - (Development of the Scientific Creativity Task for a Field Trip to Botanical Garden - Application to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

  • 김민주;김현주;임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4호
    • /
    • pp.506-521
    • /
    • 2020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cientific creativity task which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can conduct on a field trip to a botanical garden, and to analyze the results from conducting the task. For this, 38 science-gifted fifth-graders from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located at the Office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a field trip to a botanical garden, as a part of their program. Prior to the program, researchers developed a scientific creativity task for outdoor education program, along with science education specialists and teachers. The tasks were to observe plants, and to create something new and useful, or, in other words, scientifically creative, based on the plants' characteristics. The students could submit at most three ideas. Also, they assessed their own ideas, and selected an idea that they thought was the most creative.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the scientific creativity formula. The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cientific creativity formula had an upward bias in assessing originality. Second, the students tended to assess the usefulness of their own ideas more generously.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self-assessment results and scores from the scientific creativity formula for originality was r=.43. Fourth, in formula-based assessments, the correlation between originality scores and usefulness scores was relatively high, at r=.56. Fifth, the correlation between a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score and the number of his or her ideas was very low, at r=.23. Sixth, when the ideas chosen as the most creative by students were compared with the ideas that had the highest scores in formula-based assessments, it was shown that 8 out of 19 students (42.1%) did not choose the idea that appeared to be the most creative when graded by the formula. This study is concluded by discussing the lessons from the scientific creativity task analysis for primary science education and gifted education.

창의성 신장을 위한 영재 심화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교사와 영재아의 평가 비교 연구

  • 장영숙;조석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10권1호
    • /
    • pp.33-5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valua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on the degree of students' improvement in terms of creativity after participating in enrichment programs for the gifted. Two topics in each of the Language Art and Mathematics were implemented to gifted students in grade 2 and 3 in one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Kyung-Ki province and one private gifted education center for 12 times during the summ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young gifted students could monitor their performances very well and the evaluation of their creativity were consistently more positive than that of their teachers who taught them. They were significantly more positive regarding their creativity in mathematics than in Language Art. The results imply that young gifted children can evaluate their creativity reliably and consistently. Therefore, the teachers should try to understand and consider their own evaluation about their creativity in planning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gifted. In the following studies, it is necessary to have pro- and post-test data on creativity collected by diverse methods and to include older students as subjects to see wh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generalizable to older students.

  • PDF

Clark의 통합교육모형(IEM)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과학영재반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Instruction using Integrative Educational Model(IEM) in Elementary Science Gifted Classe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 배진호;김동국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4호
    • /
    • pp.490-50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ience instruction using integrative educational model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in gifted classes on elementary science. Integrative educational model (hereafter referred as IEM) was developed by synthesizing the findings from brain research, the new physics, general systems theory, and educational psychology. 77 6th graders of B Metropolitan City's Elementary Gifted Education Center were took part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39 students, was applied to the instruction using IEM, while the comparison group, 38 students, was applied to instructor- led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instruction using IEM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achievement in gifted classes on elementary science. Second, the science instruction using IEM had an influence on inquisitiveness and openness of the lower domains of learners' scientific attitude. Third, the science instruction using IEM had a positive response to learners' interest, comprehensibility about lesson contents, and ability to concentrate on cl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