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fted children in science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5초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도덕 판단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of the Moral Judgement of Science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손정우;배미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1호
    • /
    • pp.196-204
    • /
    • 2014
  • 영재성에는 인지적 특성과 함께 비인지적 특성이 포함되어있다. 그동안 영재교육에서 영재의 정의적 영역은 인지적 교육에 비해 소홀히 다루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도덕 판단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인간관계 중심의 6대 덕목인 '정직, 약속, 용서, 책임, 배려, 소유'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4주 동안 실행하였다. 그리고 도덕적 판단력 검사 KDIT를 통해 수업 적용 전과 후를 비교하고,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영재학생들의 도덕적 판단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 과학영재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 PDF

제주지역 초등정보영재 교육 운영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for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Jeju Area)

  • 김종훈;변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8호
    • /
    • pp.144-156
    • /
    • 2006
  • 우리나라가 21세기 첨단지식기반의 정보화 세계화 사회에서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고급 인적자원을 조기에 발굴하여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보과학영역에서의 영재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국가적인 차원에서 고도의 정보사회에 부응할 수 있게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및 여러 영재교육기관에서 정보과학 영재를 선발하여 교육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대학부설 과학 영재교육원과 다른 영재교육기관에서의 초등정보영재 교육 운영에 대한 제주지역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을 토대로 보다 더 나은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과학 영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창의적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and Average Student's Creative Science Problem Solving Processes and Skills)

  • 심혜진;장신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spc5호
    • /
    • pp.532-547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reative science problem solving (CSPS) process amongst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and average students through the qualitative think-aloud research method,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ir CSP, scientific knowledge, scientific process skills, creative thinking, and finally, the affective domain used in their CSP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wo scientifically-gifted 6th grade students and one average student were selected. The results show that one gifted student with good creative thinking skills exhibited better performance in CSPS than the other gifted student, who had the highest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In the case of the average student, in spite of her high level of factual knowledge, she had difficulty in proceeding in CSPS due to her shallow scientific knowledge along with her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given problem.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factors which influence successful CSPS and which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ducation of scientifically-gifted children. These factors were identified as scientific knowledge, understanding of the scientific process, creative thinking, the affective domain, and science problem solving skills.

  • PDF

정보영재아동의 학년별 차이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ade Comparison Difference Analysis of the Gifted Children in IT)

  • 전우천;홍석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5-32
    • /
    • 2014
  • 현대 지식정보사회에서 한 나라의 경제력은 IT 산업과 기술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대부분의 국가들은 새롭고 혁신적인 IT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IT 산업을 부흥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IT 산업에 있어서는 단지 소수의 뛰어난 인재가 전체 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따라서, 조기에 정보영재를 판별하고 양성하는 것은 IT산업의 육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며 필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의 학년별 학업능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5학년 및 6학년 정보영재아동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영재의 다양한 능력 가운데서 프로그래밍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에 중점을 두었다. 현재까지 정보영재아동의 학년별 차이를 비교하고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시의 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한 정보영재아동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8년 동안의 성적이 분석되었다. 통계처리결과로부터 정보영재아동의 프로그래밍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에 있어서 4학년, 5학년 및 6학년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정보영재교육에 있어서 교육내용, 교육과정 및 법과 제도를 제안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초등학교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 부모의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 활동 지원 정도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upport for Scientific Activities of Scientific Gifted and General Students' Parents in Elementary Schools)

  • 이수진;심봉섭;정진수;강상순;백성혜;이경화;천재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3호
    • /
    • pp.296-30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upport for scientific activities of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 par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parents in elementary school.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99 scientific gifted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433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instruments for the measurement of attitudes toward science included three scales: cognition :About value of science, affection toward science and science learning, and cognitive participation in scientific activities. The instrument to measure parents' support for scientific activities included two scales: indirect support and direct suppor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of scientific gifted elementary students' parents were more positive than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of general elementary students' parents. Also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parents supported many more scientific activities for their children with various methods than the general elementary students' parents. Their preferring support methods for scientific activities included 16 items including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about science education, the record of TV science programs, purchase of scientific books, subscription of periodical publication about science, preparing material for scientific activities, and reading scientific book with children.

  • PDF

초등정보영재아들을 위한 모듈형 교육과정 모델 (A Modular Integrated Curriculum Model for the Gifted Information Children)

  • 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99-307
    • /
    • 2012
  • 일반적인 영재아들에 대한 교육방법론과 교육과정들은 많이 존재하지만 정보영재아들을 위한 교육과정들은 거의 존재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 영재아들을 위한 교육과정을 제안한다. 본 교육과정의 특징은 정보 분야뿐만 아니라 과학, 수학분야를 같이 공부하는 통합되고 모듈화된 교육과정이다. 초등학교에서는 정보를 정규 교육과정으로 운영하지 않기 때문에 이 모델은 타당하다. 또한 정보 과학 분야의 영재성을 발견하기 위해서 여러 영역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은 모둘간의 관계도를 최소화하고 모듈내에서의 깊이를 심도있게 구성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은 3년간 6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듈형 교육과정 모델은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 PDF

문제 해결과정에서 과학 영재아와 일반아의 뇌파 활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EEG Activity Between Gifted and Average Student in Problem Solving Process)

  • 임재근;권석원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1호
    • /
    • pp.113-123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문제 해결과정에서 과학 영재아와 일반아의 뇌파 활성 분석을 통해 그 특징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지역교육청 소속의 영재 교육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으로 6명과 같은 지역의 일반 아동 6명으로 전체 12명으로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뇌파 측정용 과제는 하노이 탑(Hanio tower)으로 문제 해결 과정을 연구하는 효과적인 과제이다. 뇌파 측정 장비는 EEG System 으로 호주에서 개발한 장비를 이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잡파(noise)를 최소화 하였고, 뇌파의 측정 위치는 10-20 System 전극배치를 사용하였다. 뇌파의 분석 방법으로는 독립 성분 분석(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과 상대 파워분석(Relative power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영재아들은 눈뜨고 안정 상태에서도 일반아에 비해 안정도가 뛰어나 학습의 준비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문제 해결을 하기 위한 준비의 정도가 높아 학습의 효과가 뛰어난 결과로 나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도 영재아의 두뇌 활성화의 정도가 높아 전두엽과 후두엽 부위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알파파가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영재아의 뇌를 활성화 정도가 높은 과제를 개발하면 보다 높은 교육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과학 영재 판별과 평가의 타당도를 높이며, 과학영재의 특성과 과학의 본질에 근거한 판별방법의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 PDF

영재 선발의 심층면접에서 인성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 분석 (A study on the teacher's perception of personality area in the in-depth interview process of the selection of gifted children)

  • 장경혜;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81-290
    • /
    • 2019
  • 이 연구는 영재 선발의 심층면접 과정에서 주관적일 수 있고 즉각적인 효과가 약해 자칫 외면되기 쉬운 '인성' 영역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그 반영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영재교사로서의 어려움을 묻는 도입 질문에 대해 전문성과 업무량 과다를 많이 답변한 이들은, 영재 선발 시 심층면접에서 다룰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인성을 꼽았다. 또한 교육의 가장 기본 덕목이자 사회적 공헌을 위해 인성면접은 꼭 필요하다고 인식했으며, 인성면접에서 다룰 하위 요소로는 협동, 배려, 양보의 순으로 꼽았다. 교사관찰추천제의 심층면접에서 사실상 학생 개개인의 역량을 다각도로 평가하고 있는지를 점검하고, 특히 간과되고 있는 인성 영역의 평가가 타당성을 지닌 문항 개발과 캠프나 토론 토의 등의 깊이 있는 관찰로 보완될 필요성을 또한 살폈다. 이러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교사관찰추천제의 보다 세밀하고도 정교한 진행을 위해 심층면접을, 그중에서도 인성면접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이미 선발된 영재들의 인성교육과, 탁월한 영재이지만 인성이 부족한 학생의 경우는 어떻게 지도할 지에 대한 고민도 함께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시행할 필요성이 부각된다.

과학영재교육원 합격 여부가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Affects on Science-Related Attitudes of Children's Pass or Failure for Admission to a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 장명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3호
    • /
    • pp.321-328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교육원 입학 시험 합격자 집단과 불합격자 집단간에 과학 관련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과학영재교육원 합격 여부가 이들 집단의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 지역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지원한 초등학교 4학년 138명이 학생들이 연구에 참가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교육원 입학 시험 당일 실시된 과학 관련 태도 검사에서 합격자 집단 (N=15)이 불합격자 집단(N=119)보다 평균 접수가 약간 높기는 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입학 시험 당일과 합격자 발표 3개월 후 실시된 과학 관련 태도 검사 점수의 비교 결과, 합격자 집단(N=15)과 불합격자 집단(N=42) 모두 합격 여부가 과학 관련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민학교(國民學校) 과학영재(科學英才) 선발(選拔) 준거(準據)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election Criteria of Science Gifted Children)

  • 서형두;정완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2-186
    • /
    • 1993
  • This stady was carried out to define Gifted student for science, model for selection, the tools and methods and related theory for the selection of the Gifted students for the science in primary school level. Also the developed tools and materials are applied to student and analysed the results to generalize the methods for the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for science. The definition of Gifted students for science was carried out by the three-ring conception model by Renzulli(1982) and Lee long-Sung which defined the characteristics as three parts such as above average ability, creativity and tesk comitment. The Gifted students for science upper 2 percent which have three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s, namely overlapping three characteristics. The model for the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consist of four step; such as screeing, selection,differentiation, judgement. The materials for the selection are input at each stage, analysed the results and standard for the selection are made. In the first stage screening, 202 students are selected from the 5060 of 4th and 5th graders according to their achievment, intellecture ability and observation of students activity. In second selection and third differentiation stage, 65 students are seletted according to their achievement In this study it is approved that the Gifted students in science have to be selection by various test such as achievement, intellectual ability, aptitude in science, inquiry activity, manual skill etc, rather rather then simple test such as achievement and intellecture ability. Also it is important to select upper 2 percent who have general abilites overlapping three characteristics mentioned in definition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selections mod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