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rmination experiment

검색결과 528건 처리시간 0.027초

Historical Record of Alexandrium spp. (Dinophyceae) in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

  • Shin, Hyeon Ho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493-498
    • /
    • 2013
  •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record of Alexandrium spp. in southern coastal areas of Korea, two sediment cores were collected from Gamak Bay and Yeoja Bay. Germination experiments revealed that the ellipsoidal Alexandrium cysts isolated from Gamak Bay and Yeoja Bay are morphologically identical to a toxic dinoflagellate A. tamarense. The ellipsoidal Alexandrium cysts in Yeoja Bay appeared from 30 to 32 cm depth upwards (ca. 1980s), and their concentration increased around 10 to 12 cm depth (mid-1990s). Similarly, cyst concentration in Gamak Bay also increased from 40 to 44 cm depth (ca. 1990s). These results coincide with the reports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caused by A. tamarense in 1980s and 1990s along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송류화분(松類花粉)의 아미노산(酸) 조성(組成) 및 화분발아(花粉發芽)에 따른 그 조성(組成)의 변화(變化) (On the Amino Acid Composition in the Pollen of Pines and Changes of the Composition during Germination of Pollen)

  • 홍성옥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3-48
    • /
    • 1967
  • In the present experiment the amino acid composition in the pollen of Pinus taeda and Pinus rigida and methbolic changes of the composition occurring in germinating pollen were examined by the method of paper chromatography.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ature pollen of Pinus taeda and Pinus rigida contained 12.00%, 13.19% crude protein respectively and sixteen protein-constituting amino acids and three unknowns were detected on the chromatogram. 2. Main components of the protein-constituting amino acids were leucines, valine, alanine,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3. The free amino acids such as leucines, valine, tyrosine, alanine and glutamic acid increased evidently during germination of the pine pollen.

  • PDF

땅콩발아시 저장단백질의 변화 (Change in Storage Protein during Germination of Peanut Seed)

  • 김종진;박재욱;신동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64-570
    • /
    • 1994
  • 땅콩 품종에 있어서 종자발아 동안에 단백질의 함량 및 pattern(subunits)의 변화를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땅콩의 저장단백질 패턴이 다른 남대와 대광의 자엽부에 대한 함수율의 변화는 거의 비슷하였으나 배축부에서는 치상 2일과 3일에 남대가 75.0%, 89.1%였고, 대광이 66.0%, 83.5%로서 남대가 다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가용성 단백질의 함량 변화는 남대와 대광 두 품종 공히 자엽부에서는 2∼3일, 배축부에서는 치상 1∼2일 사이에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치상 5일에 자엽부에서는 28∼29%, 배축부에서는 10%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남대와 대광 두 품종의 arachin의 함량은 자엽부, 배축부에서 모두 남대 품종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발아 동안에 생성된 new protein은 자엽부에서 3일, 배축부에서 2일에 최고량을 보였다. arachin type이 상이한 남대와 대광 품종에서 발아동안에 대광의 자엽부에서만 치상 2일경부터 16kD의 band를 나타내었다.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남대와 대광 품종의 자엽부에서는 66, 43, 40, (35.5)kD의 subunit들이 현저히 감소되어 치상 4일경에 소실되었고, 21.5∼23.0kD의 subunits는 완만한 감소로 유지되었으며, 14∼16kD의 low polypeptides는 점차 승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배축부에서도 치상 2일 동안에 자엽부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NaCl 처리에 의한 벼 종자의 발아생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eed germination by treatment of NaCl in rice)

  • 심재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39-242
    • /
    • 1996
  • 수도 내염성(耐鹽性) 품종육성(品種育成)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자포니카인 동진(東津)벼, 만금(萬金)벼, 황금청(黃金晴), 일본청(日本晴) 및 농림(農林) 29호(號)등 5품종을 가지고 발아상(發芽床)($25^{\circ}C$)을 이용하여 대조구와 염농도(鹽濃度)별 0.3, 0.6, 0.9, 1.2 및 1.5%로 종자발아특성을 검정하였던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치상후(置床後) 12일째에 발아조사한 결과 공시품종 모두 0.6% 수준까지는 $92{\sim}100%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2. 염농도(鹽濃度) 1.2% 이상에서 공시품종들의 발아율(發芽率)은 급격히 저하되었다. 3. 염피해(鹽被害)에 대한 회복율(回復率)은 동진(東津), 황금(黃金), 황금청(黃金晴)에서 재치상후(再置床後) 2일째 $92{\sim}98%$ 회복율(回復率)을 보였으나 일본청(日本晴)과 농림(農林) 29호(號)은 $73{\sim}76%$로 저조하였다. 4. 유근장(幼根長모)은 염농도(鹽濃度)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 작아지는 경향이었고 특히 1.2% 이상에서는 공시품종 모두 1cm 이하로 작아지는 경향이었다.

  • PDF

염화알루미늄 처리가 벼 유묘생육 및 체내 성분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luminum Chloride on Growth and Chemical Components of Rice Seedling)

  • 여수갑;김상국;이상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75-280
    • /
    • 1997
  • 본 실험은 벼 종자에 Al을 0, 300, 600 및 900ppm으로 처리하여 발아중 Al에 대한 벼의 초장, 근장, 발아율 등의 생육특성, 엽록소 함량, 전분, 당 및 유리 proline함량 등의 변화를 일품벼와 향미벼 001를 공시하여 검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과 근장은 A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신장이 감소하였는데 뿌리의 신장억제가 보다 현저하였다. 발아율은 일품벼와 향미벼 001 모두 A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아율의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2. 엽록소 함량은 품종간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두 품종 모두 A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식물체의 전분과 당함량은 Al 처리시 대조구에 비해 함량이 감소하였다. 4. 식물체의 중금속과 무기성분의 함량은 일품벼에 있어 무처리보다 A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Al 600ppm까지는 식물체내의 중금속 축적이 증가하다가 Al 900ppm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Ca, Mg, Fe 및 Mn의 식물체내의 함량은 두 품종 모두 Al 처리시 무처리에 비해 Al 처리시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5. 무처리에 있어서는 발아일수별로 proline함량이 차이가 없었으나 Al 처리의 경우 발아후 1일째는 A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리 proline의 함량도 증가하였고 특히 처리 후 3일째에는 급격한 함량의 증가를 보였다.

  • PDF

The Effect of Seed-borne Mycoflora from Sorghum and Foxtail Millet Seeds on Germination and Disease Transmission

  • Yago, Jonar I.;Roh, Jae-Hwan;Bae, Soon-Do;Yoon, Young-Nam;Kim, Hyun-Ju;Nam, Min-Hee
    • Mycobiology
    • /
    • 제39권3호
    • /
    • pp.206-218
    • /
    • 2011
  • The seed-borne mycoflora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collected from different growing areas in South Korea were isolated and taxonomically identified using dry inspection, standard blotter and the agar plate method. We investigated the in vitro and in vitro germination rates of disinfected and non-disinfected seeds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using sterilized and unsterilized soil. The percent recovery of seed-borne mycoflora from the seed components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seeds was determined and an infection experiment using the dominant species was evaluated for seedling emergence and mortality. A higher number of seed-borne fungi was observed in sorghum compared to that of foxtail millet. Eighteen fungal genera with 34 fungal species were identified from the seeds of sorghum and 13 genera with 22 species were identified from the seeds of foxtail millet. Five dominant species such as Alternaria alternata, Aspergillus flavus, Curvularia lunata, Fusarium moniliforme and Phoma sp. were recorded as seed-borne mycoflora in sorghum and 4 dominant species (Alternaria alternata, Aspergillus flavus, Curvularia lunata, Fusarium moniliforme) were observed in foxtail millet. The in vitro and in vitro germination rates were higher using disinfected seeds and sterilized soil. More seed-borne fungi were recovered from the pericarp compared to the endosperm and seed embryo. The percent recovery of seed-borne fungi ranged from 2.22% to 60.0%, and Alternaria alternata, Curvularia lunata and 4 species of Fusarium were isolated from the endosperm and embryo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Inoculation of the dominant seed-borne fungi showed considerable mortality of seedlings. All the transmitted seed-borne fungi might well be a primary source of infection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crops.

인삼재배지의 토양추출물이 종자 발아와 세포의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Cell Viability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n the Cell of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Treated with Soil Extracts)

  • 류태석;권순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24-328
    • /
    • 2008
  • 인삼재배지 180지점으로부터 토양을 채취하여 토양산도, 유기물함량 및 유효인산함량을 측정한 결과 재배년수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채취한 토양의 메탄올추출액으로 상추종자 발아실험을 실시한 결과 $5{\sim}6$년 재배지의 토양에서 종자발아나 유묘생장을 강하게 억제하는 토양추출액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토양 추출액중 발아와 유묘생장을 억제하였던 추출액은 인삼배양세포의 활력을 최대 90%까지 억제하였으나 전해물질의 누출은 증가하지 않았다. 토양추출액으로 세가지 종류의 항산화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superoxide dismutase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상추유묘의 생체중억제형 토양추출액을 처리한 인삼배양세포의 peroxidase의 활성이 현저하게 억제되었고, catalase의 활성은 발아억제형 및 생체중억제형 토양추출액 모두에서 유의한 억제를 보였다.

참당귀(當歸) 종자(種子)의 발아향상(發芽向上)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층적(層積), 침종(浸種) 및 Gibberellin 처리(處理)가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Increase of Germination of Angelica gigas Nakai II. Effects of Stratification, Soaking and Gibberellin Treatment on Germination)

  • 조선행;김기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4-108
    • /
    • 1993
  • 1989년(年)에 건국대학교(建國大學校) 실습농장(實習農場)에서 재배(栽培)하여 채종(採種)한 참당귀(當歸) 종자(種子)를 재료(材料)로 하여 층적(層積), 침종(浸種) 및 Gibberellin처리(處理)한 후(後) 발아상(發牙床)에 넣어 발아율(發芽率), 발아세(發芽勢) 및 발아계수(發芽係數)를 조사(調査)하여 발아율제고(發芽率提高)를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하고자 수행(遂行)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층적처리(層積處理)에 의한 발아율(發芽率)은 무처리(無處理)보다 약(約) 30% 증가(增加)를 보였으며, 저온처리(低溫處理)의 효과(效果)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침종처리(浸種處理)에 의한 발아율(發芽率)은 $20^{\circ}C$, 4일(日) 침종구(浸種區)와 $10^{\circ}C$, 6일(日) 침종구(浸種區)에서 가장 높았으며 환수처리(換水處理)는 무처리(無處理)보다 발아억제물질(發牙抑制物質)의 추출효과(抽出效果)가 컸다. 3. Gibberellin처리(處理)에 의한 발아율(發芽率)은 무처리(無處理)보다 약(約) 20% 증가(增加)를 나타내었으며, 침종구(浸種區)에서 2ppm, 무침종구(無浸種區)에서 5ppm에서 발아율(發芽率)이 가장 높았다.

  • PDF

홍화의 종자 크기별 발아 및 생장특성 분석 (Effect of Seed Size on Seed Germin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i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 임정대;박해일;안태진;임주진;김성협;유보라;김은혜;정일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15-420
    • /
    • 2012
  •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seed weight on different aspect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germin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Quantity of sinapine leaked from seed was greater as the viability of seeds was dropped by the time elapsed of seed aging model and long storage condition i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The cultivar of safflower was Jin-Sun and the seeds that are separated to three different weights of small, middle, and large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Large seeds revealed the highest germination percent, coleoptiles fresh weight, coleoptiles dry weight, radicle fresh weight and 1000 seed weights than other seed weight. Seed weight had little effect on yield while seed number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Interestingly, yield per plant and its major components, number of capsules and capsule weights, revealed a negligible relationship with oil content.

Growth Chamber에서 철분코팅 벼 종자의 발아 및 유묘생육 특성 (Effect of Iron-coated Seed on a Healthy Rice Seedling Raising Nursery in Machine Transplanting)

  • 박광호;김양식;장진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6권1호
    • /
    • pp.17-24
    • /
    • 2014
  • Growth Chamber에서 철분코팅 벼종자와 무처리 볍씨의 발아 및 입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유묘의 입모율, 경시적 입묘양상의 변화, 초장, 엽수, 근장, 근수, 생체중의 특성을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율은 철분코팅 95%, 무처리 95%로 매우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벼 출아소요일수는 출아가 13~14일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철분코팅볍씨가 무처리 볍씨보다 전반적으로 출아가 빠르게 나타났다. 2. 벼 유묘의 초장에서는 철분코팅볍씨 4.9cm, 무처리볍씨 3.4cm로, 엽수는 철분코팅볍씨 3.8개, 무처리볍씨 3.3개로 각각 나타났다. 3. 유묘의 뿌리 철분코팅볍씨 3.8cm로 무처리볍씨 0.4cm보다 9.5배 최장 뿌리 길이가 긴 것으로 나타났으나, 뿌리수는 철분코팅볍씨 6.8개, 무처리볍씨 5.5개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4. 유묘의 생체중은 철분코팅볍씨 107mg, 무처리 볍씨 66mg로 각각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