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rminated barley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1초

맥아의 ${\alpha}-Amylase$ isozyme에 미치는 Red Light의 영향 (Effects of Red light on ${\alpha}-Amylase$ isozymes of the Germinated Barley (Hordeum distichum L.))

  • 김진구;신승렬;김광수;손태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4호
    • /
    • pp.351-355
    • /
    • 1988
  • 이조대맥(Hordeum distichum L. emend Lamark)에 적색광을 조사하여 발아일수에 따른 ${\alpha}-amylase$의 활성 및 isozymes에 미치는 적색광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alpha}-amylase$는 암소에서 비활성도가 발아 3일과 5일에 각각 355.0, 523.7 $units/mg{\cdot}protein$로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적색광조사에 의해서 비활성도가 발아 3일과 5일에 각각 암소에 비하여 48%, 15% 정도 증가하였다. CM-cellulose와 Sephacryl S-200에 의해 2종의 isozyme이 분리되었고 그 중 ${\alpha}-amylase$ I이 주 효소였다. ${\alpha}-amylase$ I, II의 활성비율은 암소에서 발아 3일과 5일에 다 같이 95 : 5 정도였으나 적색광조사구에서는 각각 60 : 40, 90 : 10으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적색광조사에 의해서발아 3일에 ${\alpha}-amylase$ II의 활성비율이 현저히 높았다.

  • PDF

Influence of the Kilning Conditions on Enzymatic Activity of Rice (Oryza sativa) Malt

  • Nguyen, Thach Minh;Nguyen, Xich Lien;Hoang, Kim Anh;Lee, Soo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17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kilning condfition on the diastatic power and activities of protease, $\alpha$-amylase, and $\beta$-amylase in rice malt. Common rice (Oryza sativa) was steeped at $30^{\circ}C$ for 50 h, germinated at $30^{\circ}C$ for 7 days, and kilned at $50^{\circ}C$ for 24 h. The moisture content and enzymatic activities were determined under various kilning times. As a result, the moisture content was reduced from 42.1 % to 3.9% after 24 h of kilning at $50^{\circ}C$. The protease activity of rice malt showed lower value than that of barley malt. All enzymatic activities were decreased during the kilning stage. Results indicated that after prolonged kilning at $50^{\circ}C$, the inactivation of hydrolytic enzymes might be occurred. Even though the amylolytic activity of malted rice showed low value, the rice malt shows the potential characteristics as ingredient for the brewing and cereal industries.

주요식량작물 종자세 개선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actical Methods to Control Seed Vigour in Several Food Crops)

  • 김진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8-138
    • /
    • 1994
  • 발아의 신속성과 균일성을 높이기 위하여 벼, 보리, 콩 종자에 대하여 몇가지 화학물질처리와 종자의 흡습건조처리를 통하여 종자퇴화지연효과를 검토하였다. 처리한 생장촉진제 및 노화지연제간에 경미한 차이는 있었으나 GA$_3$가 벼의 발아율을 높인것 외에는 뚜렷한 종자세 개선의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노화종자를 PEG용액에 흡습건조처리할 경우 용액농도가 높을수록 평균발아일수가 길어지고 발아율이 낮아지는 경향이나 발아율 유지의 효과나 발아균일성향상의 효과는 없었다. 저온, 과습 및 삼투조건 등 불량한 환경에 대한 발아반응도 미미하였다. 어느 처리도 종자세 개선에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GA$_3$ 처리가 전체적으로 발아반응이 그 중 좋은 편이었다.

  • PDF

Phytotoxic Effect of Xanthium occidentale Leaf Extract on Seed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of Alfalfa and Barnyard Grass

  • Chon, Sang-U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0-35
    • /
    • 2004
  • Compositae plants are known to contain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that are allelopathic to agricultural crops as well as weed species. Aqueous extracts from leaves of Xanthium occidentale were assayed against alfalfa (Medicago sativa) to determine their allelopathic effects,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extracts applied onto filter paper significantly inhibited seed germination as well as root growth of alfalfa. Untreated seeds germinated in 60h, but extract concentrations greater than 30g $\textrm{L}^{-1}$ delayed seed germination. The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seed germination of alfalfa, and $\beta$-amylase activity of alfalfa and barley seeds during 24-36 hours after treatment. Aqueous extracts of 40 g $\textrm{L}^{-1}$ from X. occidentale were completely inhibited the hypocotyl and root growth of alfalfa. Aqueous leaf extracts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and followed by root and stem extracts. Early seedling growth of both alfalfa and barnyard grass (Echinochloa crus-galli)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methanol extracts. By means of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hlorogenic acid and trans-cinnamic acid were quantified as the highest amounts from water and EtOAc fractions, respectively. BuOH and EtOAc fractions of X. occidentale reduced alfalfa root growth more than did hexane and water fractions. The findings of the bioassays for aqueous or methanol extracts reflected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extract was closely related to the level of responsible allelochemicals found in plant extracts.

제초제에 의한 답리작맥 약해발생 요인구명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actors Affecting Barley Injury Caused by Herbicides in Drained Paddy Field)

  • 양환승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4권
    • /
    • pp.147-157
    • /
    • 1973
  • I. 보리 발아시 과습조건이 될 때 그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져 건토(LiC) 100g당 30cc, 40cc, 50cc, 60cc의 비율로 물을 가하여 수분함량을 각각 다르게 한 조건을 만들어 Check에 대비하여 Machete(Butachlor), TOK(Nitrofen)을 각각 150g, ai/10a 비율로 처리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리 발아시 수분함량이 포장용수량 이상의 과습이 유지될 때는 무처리구에 있어서도 발아율이 급감하거나 발아되지 아니하며 일단 발아된 후에도 근신장 및 생육이 제대로 되지 못하였다. 2. Machete, TOK 등 약제처리구에 있어서도 1)과 경향은 같으나 무처리구 보다는 그 해가 더욱 증대되였다. II. 토성이 다른 4종류의 토양을 대상으로 하여 Machete (제형별 180 g ai/10a), TOK (약량별 150g, 200g ia/10a), saturn(150g ai/10a), HE314, (250g ai/10a)의 4약제를 사용하여 1cm 복토심하에서 완주 봄보리에 대한 약해차이실험을 실시하였든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Machete 제형별(180g ai/10a 수준) 약해는 토양의 종류에 따라 심한 차이가 있었으며 식양토에서는 제형에 관계없이 거의 안전하나 사질 식양토<화산회양토<사양토 순위로 약해가 증대되었다. 유제의 약해의 입제의 약해보다 더욱 심하였다. 2. TOK 수화제 150g-200g ai/10a Machete와 거의 동일의 경향이며 약량이 높을 때 약해는 더욱 심하였다. 3. Saturn 150g ai/10a 토성에 따른 약해차이가 있기는 하나 그 차가 심하지는 아니하였다. 4. HE314. 250g ai/10a 250g 시용수준에서는 토성에 따른 약해차가 거의 없었다. III. 2종류의 토양을 대상으로 9개약제(TOK. MO. HE314, Machete, Saturn, Simetryne, Simazine, Gesaran Lorox)을 사용하여 복토심별(4단계)로 약해발생차이를 구명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식ㅌ조건 : 1) Check에 있어서 복토심별 생육상황은 1cm>1.5cm>0.5cm>0cm의 순위였으며 0-0.5cm 복토구에 있어서는 보리 생육이 매우 불량하였다. 2) 약제처리구에 있어서도 0-0.5cm구에 있어서는 심한 해를 나타내고 있으며 1cm 이상의 복토가 유지될 때 보리에 비교적 안전한 약제는 Saturn, Machete, MO, TOK의 100-150g ai/10a, HE314 375-205g ai/10a구 등이었다. 3) 1.5 cm 복토에 있어서도 징해를 나타낸 약제는 Simazine, Lorox, Simetryne 등이었다. 2. 사질토조건 : 1) Cheick에 있어서 생육상황은 1.5cm>0.5cm>0.5cm>3cm>5cm의 순위이었다. 2) 약제처리구에 있어 MO는 1.5 cm 구에서 안전하였고 TOK의 약해는 1.5cm인때 가장 가벼운 편이다. 3) 3cm이상 복토가 될 때 비교적 안전한 약제는 Machete, Saturn 100g ai/10a, HE314 250g ai/10a 이었다. 4) 복토심에 구애없이 불안전한 약제는 Simazine, Lorox, Simetryne Gesaran 등이었다.

  • PDF

뚝새풀(Alopecurus aequalis Sobol. var. amurensis (Kom.) Ohwi.)의 생리생태적(生理生態的) 특성(特性) 및 방제(防除) - 1. 발아(發芽) 및 출아(出芽) 특성(特性)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Alopecurus aequalis Sobol. var. amurensis (Kom.) Ohwi. - 1. Gernmination and Emergence Under Several Environmental Conditions)

  • 임일빈;이선룡;허상만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39-244
    • /
    • 1994
  • 뚝새풀의 발생(發生)에 있어서 온도(溫度), 광(光), pH, 염농도(鹽濃度) 등(等) 환경(環境)의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뚝새풀의 종자(種子)는 휴면성(休眠性)이 있었으며 휴면타파(休眠打破)는 $30^{\circ}C$ 건조처리(乾燥處理)에서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다. 2. 발아율(發芽率)은 $15^{\circ}C$ > $10^{\circ}C$ > $20^{\circ}C$ > $5^{\circ}C$의 순(順)으로 높았으며, $25^{\circ}C$ 이상(以上)에서는 발아율(發芽率)이 극히 낮았다. 3. 뚝새풀의 발생(發生)에는 광(光)이 크게 관여(關與)하지 않았으며 암상태(暗狀態) 하(下)에서 더 양호(良好)한 편이었다. 4. 실온보존(室溫保存) 종자(種子)는 건조종자(乾燥種子)를 $30^{\circ}C$에서 1일(日) 처리(處理)로도 80% 이상(以上) 발생(發生)되었으며, 30일(日) 이상(以上) 처리(處理) 시(時)는 50% 이하(以下), 60일(日) 처리(處理) 시(時)는 전혀 발생(發生)되지 않았다. 5. 간척지(干拓地)에서 염농도(鹽濃度) 0.25% 이상(以上)의 포장(圃場)에서는 발생(發生)이 극히 적었다. NaCl 농도(濃度) 0.5% 이상(以上)의 용액(溶液)에서는 발아(發芽)가 저조하였으나 0.7%에서도 70% 정도(程度) 발아(發芽)되었다. 6. pH 2.0에서는 발아(發芽)되지 않았으며, pH 6.0-pH 12.0 범위(範圍)에서는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이 거의 없었다. 7 답전윤환답(畓田輪換畓)에서 대두(大豆) 3년(年) 연속(連續) 재배시(栽培時) 발생량(發生量)은 현저(顯著)히 낮아졌다.

  • PDF

잡초와 작물에 대한 알팔파 잔유물의 Allelopathy 효과 (The Allelopathic Effect of Alfalfa residues on Crops and Weeds)

  • 유창연;전인수;정일민;허장현;김이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1-140
    • /
    • 1995
  • 본 실험은 allelopathic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알려진 alfalfa식물을 이용하여 주요 특용작물과 잡초의 발아 및 생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던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lfalfa 건조분말의 토양혼화시 건조분말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작물, 들깨, 도라지 및 잡초(바랭이, 강아지 풀, 털진득찰, 개비름, 까마중)의 발아율 및 줄기와 뿌리생육이 억제되었으며, 건조분말농도가 10% 이상일때는 80% 이상 발아 및 생육의 억제를 가져왔다. 2. Alfalfa의 생체추출물도 작물(알팔파, 보리, 호밀, 참깨) 및 잡초(피, 강아지풀, 쇠비름)의 발아 및 뿌리와 줄기생육을 억제하였으며 억제정도는 생체추출 농도, 작물 및 잡초의 종류에 따라 반응의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생체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잡초 및 작물발아 및 뿌리와 줄기생육을 억제하는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3. 알팔파 건조분말 추출물질도 알팔파, 도라지, 보리, 참깨 및 잡초(바랭이, 털진득찰, 강아지풀, 쇠비름, 피) 등의 발아율, 줄기 및 뿌리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억제정도는 추출농도, 작물 및 잡초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건조분말 농도가 10% 이상이었을때 털전득찰, 쇠비름 등의 발아가 전혀 안되었으며 강아지폴은 15%만 발아가 되었다. 4. Gas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석한 알팔파가 함유한 phenol compounds 중 salicylic acid가 전체 phenol compounds의 70% 정도 차지하고 있어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syringic acid, ferulic acid가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 PDF

생강뿌리썩음병균 Pythium myriotyrum의 병원성 및 균학적 특성 (Pathogenicity and My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ythium myriotylum Causing Rhizome Rot of Ginger)

  • 김충회;양성석;박경석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2-159
    • /
    • 1997
  • 병든 생강으로부터 분리한 6개 Pythium 균주들은 여러 가지 형태적, 생리적 특성에서 Pythium myriotylum Drechsler로 동정되었다. 이 균들은 생강 지하부의 싹, 근경, 뿌리, 땅가줄기 뿐만 아니라 지상부 잎, 줄기 전부분에 걸쳐 병원성이 강하였다. 이 균들은 오이, 수박 등 10개 작물 혹은 잡초의 어린 묘를 부패시켰으며 보리, 옥수수 등 공시한 3개 작물 유묘의 지상부 생장이나 뿌리 생장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이 균들의 생육 최고, 최적, 최저온도는 각각 39~45$^{\circ}C$, 33~37$^{\circ}C$, 5~7$^{\circ}C$였으며 생육최적 pH는 6~7이었다. 이 균들의 균사생장은 V-8 juice 배지에서 가장 빨랐으나 기중균사량은 PDA와 옥수수전즙배지에서 가장 많았다. 유주자낭과 장난기는 V-8 juice 배지에서 가장 잘 형성되었으며 유주자낭 형성 최적온도는 균주에 따라 20~35$^{\circ}C$, 장난기 형성은 15$^{\circ}C$의 저온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 PDF

식혜제조과정 중 밥알의 형태 변화 (Morphological Changes of Cooked Rice Kernel During Saccharification for Sikhe)

  • 전은례;김경애;정난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1-96
    • /
    • 1998
  • 맥아제조(15$^{\circ}C$)시 amylase 활성이 가장 높은 1.5배~2.0배(1.20 cm-1.95 cm)의 잎눈 길이는 9일 째에 관찰되었고, 엿기름의 추출시간에 따른 총당과 환원당은 3시간 30분에 2.33%, 1.61%로 가장 높았고 4시간에는 다소 감소하였으며, 굴절당도계로 측정한 당도와 amy- lase 활성도 3시간 30분에 3.4 brix(%), 28,332 units로 같은 양상을 보였다. 당화과정 중 당화초기에서 8시간까지 변화를 보면 총당은 멥쌀의 경우 3.90%에서 9.27%로, 찹쌀의 경우 4.19%에서 11.91%로 증가하였고 환원당도 멥쌀의 경우 3.30%에서 7.61%로, 찹쌀의 경우 3.31%에서 9.11%로 각각 증가하였다 Brix도 멥쌀의 경우 3.6 brix(%)에서 10.8 brix(%)로, 찹쌀의 경우 3.6 brix(%)에서 12.8 brix(%)로 당화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amylase 활성은 당화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pH는 서서히 감소하다가 4시간 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식혜밥알의 형태는 당화시간이 증가할수록 가수분해되어 전분립이 빠져 나와 구멍이 점점 크게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 PDF

식물성 식이조성물이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흰쥐의 체중, 배변량, 체지방 및 혈청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toplant Diets on Body Weight, Feces Production, Body Fat, and Serum Lipid Levels in High-fat Diet-induced Hyperlipidemic Rats)

  • 김성수;성기승;이옥환;이종석;이영택;김상현;한찬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77-48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흰쥐에게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6주간 급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한 후, 현미, 발아현미, 보리, 맥아, 대두, 흑두 등이 혼합된 식물성 식이조성물을 각각 다른 비율로 6주간 급여하면서 체중감량, 배변량, 체지방 및 혈청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일당증체량은 식물성 식이조성물군이 HFCD 대조군과 비교할 때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배변량은 증가하고 장 통과시간은 HFCD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내장지방 중 신장주변지방패드(RFP)와 정소상체지방패드(EPF)는 일반식이 대조군에 비하여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HFCD 대조군에서 증가하였으며, 식물성 식이조성물군에서는 HFCD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첨가로 인하여 HFCD 대조군에서 간 무게가 증가하였고, 반면, 식물성 식이조성물군은 HFCD 대조군에 비하여 간조직의 무게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해 증가된 혈청 지질 중 TC, TG, LDL-콜레스테롤 농도가 식물성 식이조성물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동맥경화지수 역시 감소하였다. 이상에서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에게 발아현미, 흑두, 검정깨, 다시마, 녹차 등의 식이조성물 첨가식이를 급여했을 때 체중감소, 배변량 증가, 체지방함량 저하, 혈청 중 TC, TG 감소의 유의한 감소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앞으로 이들 혼합조성물의 적절한 처방으로 다이어트와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는 고지혈증 개선 효능이 있는 생식제품 개발시 원료의 레시피 선정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