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metric mean diameter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5초

공기연소 분위기와 순산소 연소 분위기에서 입자 크기와 습도가 $CaCO_3$ 흡착제 입자의 반응특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Particle Size and Humidity on Reaction Characteristics of $CaCO_3$ Sorbent Particle under Air and $O_2/CO_2$ Atmospheric Conditions)

  • 정성하;이강수;길상인;윤진한;김상수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5-82
    • /
    • 2014
  •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of $CaCO_3$ sorbent particles in air and $O_2/CO_2$ atmospheric conditions in order that an in-furnace desulfurization technique can be applied to oxy-fuel combustion system. In this study, rate of change of GMD(geometric mean diameter) and specific surface area of $CaCO_3$ sorbent particles reacted in DTF(drop tube furnace) experimental setup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le size and humidity on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of them. In air atmospheric condition, calcination process occurs actively within shorter residence times as the particle size increases. On the contrary, in $O_2/CO_2$ atmospheric condition, a calcination process is delayed as particle size increases. The increment of humidity accelerates calcination process in an air atmospheric condition and increase rate of calcination in an $O_2/CO_2$ atmospheric condition.

양액재배용 팽연화 왕겨 배지의 이화학적 특성 구명 (Evaluation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Expanded Rice Hulls as Hydroponic Culture Medium)

  • 김경희;임상현;남궁양일;유근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3-7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유기물 재료로 구득이 쉽고 수량이 풍부하며 재료의 균일성이 좋은 왕겨를 팽연화 하여 양액재배용 배지 재료 사용하기 위해 적합한 조건을 탐색해 보았다. 팽연화 왕겨의 물리성은 CEC 37.0cmol.kg-1, 가비중 0.19g.㎤, -0.1 bar 상태에서 보수력 271.0으로 펄라이트보다 우수하였으나 흡수속도는 펄라이트에 크게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팽연화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보수력, 흡수속도 등 수분관련 물성이 좋아지는데 반해 입도가 작아지고 부숙속도가 빨라지는 변화가 있었고 재배중 부숙이 진행됨에 따라 급액 15일 이후부터 pH가 상승되며 15~20일 사이에 NO3 부족이 심화되어 작물에 스테레스를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ERH a처리에서 당도가 펄라이트에 비해 약 1.0 。Brix정도 높고 수량의 유의성은 없었으므로 틈새간극 8mm, 날높이 3mm에서 생산된 팽연화 왕겨의 물성이 양액재배용 배지 재료로 사용하기에 적정하였다.

  • PDF

일부 밀폐형 무창계사에서 발생하는 PM10 및 엔도톡신의 특성 및 연관성 분석 (Relationship and Characteristics of PM10 and Endotoxin Concentrations in Windowless Poultry Houses in South Korea)

  • 김효철;신소정;김경수;정원건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31-341
    • /
    • 2021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centrations and relationships of coarse particles with a diameter of 10 ㎛ (PM10) with endotoxins according to the time of measurement in windowless poultry houses. Methods: In this study, measurement was performed on ten windowless poultry houses with a vertically integrated system from July to November. PM10 was measured using personal environmental monitors an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filters with a 4 L/min-calibrated pump in selected sampling locations (two near the door and two near an exhaust fan). The endotoxin on PTFE filter was analyzed by the LAL turbidimetric method. Results: The range of geometric mean concentrations of PM10 and endotoxins for each of the 38 samples were 0.12-3.30 mg/m3 and 11.9-3553.66 EU/m3, respectively. PM10 and endotoxin concentrations varied by farm, increasing with the decrease in ventilation. The range of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between PM10 and endotoxin was 0.0009-0.9249. As the atmospheric temperature de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PM10 and endotoxin increased because the volume of ventilation was decreased. Conclusions: Endotoxins were more affected by time of measurement and ventilation than PM10, which means that endotoxins could be an important indicator for intervention programs for improvement of indoor environments.

고농도 초미세먼지 출현 시 발전소 주변 대기 입자 성장 및 화학조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Particle Growth and Chemical Composition of High Concentrated Ultra Fine Dusts (PM2.5) in the Air around the Power Plant)

  • 강수지;성진호;엄용석;천성남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8권2호
    • /
    • pp.103-110
    • /
    • 2022
  • Ultrafine Particle number and size distributions were simultaneously measured at rural area around the power plant in Dangjin, South Korea. New Particle formation and growth events were frequently observed during January, 2021 and classified based on their strength and persistence as well as the variation in geometric mean diameter(GMD) on January 12, 21 and 17.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mechanisms of new particle growth based on measurements using a high resolution time of flight aerosol mass spectrometer(HR-ToF-AMS) and a 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SMPS). On Event days(Jan 12 and 21), the total average growth rate was found to be 8.46 nm/h~24.76 nm/hr. These growth rate are comparable to those reported for other urban and rural sites in South Korea using different method. Comparing to the Non-Event day(Jan 17), New Particle Growth mostly occurred when solar radiation is peaked and relative humidity is low in daytime, moreover enhanced under the condition of higher precusors, NO2 (39.9 vs 6.2ppb), VOCs(129.5 vs 84.6ppb), NH3(11 vs 4.7ppb). The HR-ToF-AMS PM1.0 composition shows Organic and Ammoniated nitrate were dominant species effected by emission source in domestic. On the other hand, The Fraction of Ammoniated sulfate was calculated to be approximately 16% and 31% when air quality is inflow from China. Longer term studies are needed to help resolve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each precusor species on new particle growth characteristics.

전지 대부분의 유지산화에 미치는 인자 (Factors Affecting Lipid Oxidation In Full-fat Soy Flour)

  • 김철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32-738
    • /
    • 1991
  • Corsoy 79 대두를 8-와 24-mesh 입자 크기의 전지 대부분으로 분쇄하였다. 입자크기 분석으로 8mesh 전지 대부분은 기하학적 평균 크기 와 표준편차가 24 mesh 전지 대두분 보다 켰다. 분포계수는 두 전지 대두분 모두 동일하여서 거의 완벽하게 원하는 입자 크기로 분쇄됨을 알 수 있었다. 대두의 분쇄 시작부터 그 후 24시간의 짧은 저장기간 동안 두 전지 대부분에서 유지를 추출하여 가수분해와 산화에 의한 유지의 변패를 측정하였다. 유지의 과산화물가나 conjugated diene의 증가는 없었으며, 수분함량 10.7%, 이하에서 hexanal 함량증가도 없었다. 수분함량 14.9% 이상에서 유지산패는 수분함량과 저장기간의 증가로 그 값이 증가하였다. 대두의 수분함량이 4%에서 18%로 증가함에 따라서 가수분해에 의한 산패 즉 유리지방산가는 0.06%만이 증가하였으므로 실질적으로 분쇄후 24시간 저장동안 전지대부분 변질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원료대두의 수분함량이 11%이하이면 전지 대부분으로 분쇄하고 그 후 24시간동안 저장하여도 유지나 향미의 변패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못함을 발 수 있었다.

  • PDF

PM10 질량농도 측정을 위한 시료채취기의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Aerosol Samplers for PM10 Mass Concentration Measurement)

  • 박주면;구자건;정태영;권동명;유종익;서용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3-160
    • /
    • 2009
  • PM10(공기역학 직경${\leq}$10 ${\mu}m$) 시료채취기는 사람이 부유 먼지에 잠재적으로 노출되는 정도를 정량화하고 정부의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연구는 동일한 PM10 분리한계 직경을 가지지만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미국 환경청의 PM10 시료채취 기준과 미국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유럽표준위원회/국제표준기구의 흉곽성 PM10 시료채취 기준을 이론과 실험을 통해 비교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미국 환경청의 기준을 따르는 4개의 PM10 시료채취기와 흉곽성 PM10 기준과 일치하는 1개의 RespiCon 시료채취기를 비교 평가 수단으로 사용하였으며, 1개의 DustTrak 측정기를 PM10의 실시간 질량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6개 시료채취기를 다양한 크기 분포를 가지는 비산재를 이용하여 입자 발생 챔버안에서 실험하였다. 이론적 질량농도는 측정된 비산재의 입자크기 분포 특성(기하평균 = 6.6 ${\mu}m$, 기하표준편차= 1.9)을 각 시료채취 기준에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챔버 실험을 통하여 측정된 질량농도 결과는 흉곽성 PM10 시료채취 기준을 가지는 RespiCon 시료채취기가 미국 환경청의 PM10 기준을 가지는 PM10 시료채취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질량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이론적 질량농도와 일치하였다. 전체적 챔버 실험 결과는 PM10 시료채취기를 기준 시료채취기로 사용하였을 때, (1) RespiCon 시료채취기는 PM10 시료채취기로 포집된 PM10 먼지 질량농도에 비해 평균 60% 정도 낮게 측정한 것을 의미하는 정규화계수 1.6으로 나타났으며 (2) PM10 유입구를 사용한 DustTrak 실시간 채취기는 2.1의 보정계수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새로운 날개단면을 이용한 KD-프로펠러 씨리즈 개발 (Development of KD- Propeller Series using a New Blade Section)

  • 이진태;김문찬;안종우;김호충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52-68
    • /
    • 1991
  • 캐비테이션 특성이 우수하고 넓은 받음각에서 양력-향력비가 큰 새로운 날개단면(KH18 단면)을 사용하여 체계적인 방법으로 기하학적 형상을 변화시켜 설계된 새로운 계열 프로펠러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새로운 계열 프로펠러의 형상을 설계함에 있어 기존의 계열 프로펠러와는 달리 선택된 반류분포의 회전방향 평균 반류분포를 입력자료로 하여 반경방향 부하분포와 코오드 방향 부하분포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피치 및 캠버의 형상을 결정하였다. 또한 코오드 길이, 두께, 스큐 및 레이크 분포와 같은 형상은 최근 실적선 프로펠러의 형상 특성을 정형화하여 선택되었기 때문에 초기설계시 설계된 형상이 최종 설계 프로펠러의 형상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어 초기성능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게 하였다. 설계된 계열 프로펠러는 날개수 4개인 프로펠러를 대상으로 날개 전개면적비 4개($A_{E}/A_{O}$=0.3, 0.45, 0.6, 0.75)에 대하여 각 전개면적비에서 평균피치비를 5개(P/D=0.5, 0.65, 0.8, 0.95, 1.1)로 변화시켜 총 20개의 프로펠러로 구성되었으며 KD-프로펠러 씨리즈(KRISO-DAEWOO Propeller Series)라 명명하였다. 설계된 계열 프로펠러들에 대하여 단독특성시험, 캐비테이션 관찰시험, 변동압력 계측시험을 수행하였다. 프로펠러 단독특성 시험결과의 회귀해석결과로 부터 $B_{P}-\delta$ 곡선을 도출하여 초기설계 단계에서 최적 프로펠러 직경등을 쉽게 결정할 수 있게 하였다. 기준으로 선택된 반류분포(2700TEU 콘테이너선의 반류) 후류에서 프로펠러 추력계수 및 캐비테이션 수를 체계적으로 변화시킨 상태에서 캐비테이션 관찰시험 및 변동압력계측시험을 수행하였다. 양력면이론에 의한 비정상 프로펠러 성능해석에 의해 계산된 최대 국부양력계수 ($C^{max}_{l,0.8R}$)와 국부캐비테이션 수(${\sigma}_0=\frac{p-p_v}{\frac{1}{2}{\rho}V^2_{0.8R}}$)를 기준으로 캐비테이션 관찰시험 결과를 정리하여 KD-캐비테이션 챠트를 도출하였다. 기존의 캐비테이션 챠트는 균일류중의 시험 결과를 정리하여 작성되었으나 KD-캐비테이션 챠트는 반류분포중에서 시험된 프로펠러 관찰시험 결과로 부터 도출되었으므로 초기설계 단계에서 보다 정확한 캐비테이션 발생량 추정이 가능하리라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