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logy investigation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26초

고자기학(古磁氣學)연구를 위한 자성광물론(磁性鑛物論) (Magnetic Mineralogy in Palaeomagnetism)

  • 김인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16권3호
    • /
    • pp.223-243
    • /
    • 1983
  • palaeomagnetism is a major implement to define tectonic provinces and to estimate their past relative position quantitatively. In this sort of investigation it is tacitly assumed that the magnetization of the rocks under study was acquired at the time of their formation. However,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secondary alteration and/or replacement of magnetic minerals, this assumption is not always legitimate. To secure reliable palaeomagnetic data it is therefore fundamental to identify the carrier mineral of magnetization. This paper reviews magnetic mineralogy relevant to palaeomagnetism of terrestrial rocks. Under the heading of each mineral its genesis, crystal structure, magnetic properties, criteria for ore microscopic determination and secondary alteration are summerized. This paper should also be helpful in application of magnetic mineralogy to geothermometry and oxygen barometry in igneous petrology, diagenesis and provenance study in sedimentary petrology, metamorphic temperature determination and genesis study of ore deposits.

  • PDF

지구 통계학적 방법에 의한 충남 탄전 지역 하상퇴적물의 미량원소 오염조사 (Investigation of trace element contamination in steam sediments in the Chungnam coal mine area using geostatistical approach)

  • 황춘길
    • 자원환경지질
    • /
    • 제32권1호
    • /
    • pp.63-72
    • /
    • 1999
  • In order to examine the contamination levels of trace elements in stream sediments in the Chungnam coal mine area, stream sediment and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race elements. The pH of stream water was neutral or weak-alkaline and the mobility of metal in stream sediments was supposed to be low. From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non-polluted sampling stations can be distinguished from polluted sampling stations influenced by mining activities. The trace element concentrations in sediments from non-polluted zone were considered to be the natural backround concentrations of this area. The trace element concentrations in sediment samples from the mining area were higher than those from non-polluted area, and contaminated area of enriched trace element levels need to be properly managed. From the results of discriminant and regression analyses, concentrations of Cd, Cu, Pb AND zN and predicted values of Be, Mo, and Ni in Chungnam coal mine area were found to be lower than those in metal mining areas in Korea.

  • PDF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 Nighttime Temperature of Potential Caves on Mars

  • Park, Nuri;Hong, Ik-Seon;Jung, Jongil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9권4호
    • /
    • pp.141-144
    • /
    • 2022
  • By providing an environment where energetic particles and micrometeorites can not penetrate, caves on Mars may serve as a human shelter in future Mars explorations. More than 1,000 cave entrance candidates have been detected; however,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that can be utilized in detecting more candidates have not been explored in detail.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nighttime temperature of 100 cave entrance candidates and their surrounding areas to investigate 1) the nighttime temperature tendencies relative to their surrounding areas and 2) the extent of these temperature differences. We find that 79% of the cave entrance candidates exhibit higher temperatures than the surrounding areas, and 59% show a temperature difference over 20K, suggesting that the cave entrances may generally show higher temperatures than the surrounding areas during the nighttime.

지질학적 심지층 처분지 내 천연방벽의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장기 처분 안전성 평가를 위한 지질학적 인자 분석 (Geological Factor Analysis for Evaluating the Long-term Safety Performance of Natural Barriers in Deep Geological Repository System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 이형목;정지호;박재성;이수비 ;소수완 ;정진아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5호
    • /
    • pp.533-54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심지층 처분장을 구성하고 있는 천연방벽의 장기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Feature), 사건(Event), 및 공정(Process)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여 FEP 목록을 작성하였다. FEP 목록 작성을 위해 NEA (Nuclear Energy Agency)의 IFEP 목록 3.0이 기초 자료로 활용되었으며, 국외 선도국에서 수행된 지질 조사 및 연구 결과들이 추가적으로 참고되었다. 천연방벽의 성능과 관련하여 총 49개의 FEP 목록이 작성되었으며, 각 인자에 대한 정의, FEP 분류, 장기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국내 여건에서의 중요도, 정량화 가능 여부 측면에서의 결과가 작성되었다. 또한, 작성된 FEP 목록을 기반으로 처분시설의 장기 안전성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총 3가지의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각 시나리오에 있어 천연방벽의 처분 성능에 영향을 주는 지질학적 인자들을 선별 및 관계를 가시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FEP 목록과 시나리오별 인자간 상호관계 가시화 결과는 심지층 처분장의 장기 안전성을 정량 평가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 개발에 있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인자를 선별 및 구성하는데 중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방폐물 처분장 부지확정을 위한 천연방벽의 주요 성능과 관련된 기준안을 마련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사목적별 기준에 부합하는 오염부지 조사방법의 최적화 방안에 관한 연구 (Optimization of Contaminated Land Investigation based on Different Fitness-for-Purpose Criteria)

  • Jong-Chun Lee;Michael H. Ramsey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3호
    • /
    • pp.191-200
    • /
    • 2003
  • 중금속으로 오염된 폐광산 주변부나 유류누출로 인한 토양오염 등과 같은 오염토양부지에 대한 조사를 위해서는 우선 조사의 목적과 상황에 알맞은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조사방법을 설계하여야 한다. 이러한 상황별 조사방법은 조사결과의 질적 수준 뿐만 아니라 모방결합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그 수준을 제한하는 요인으로는 보통 총 조사비용, 관련규제법이 요구하는 조사수준, 그리고 전문적 경험에 의한 주관적 기준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사 목적에 따라 달리하는 각 기준(fitness-for-purpose criteria)을 만족시키게끔 조사방법을 설계하는 예를 들어보았다. 먼저, 경제적 요소와 측정된 자료의 질적 수준을 참고하는 방법을 고안하여 보았다. 이를 위해 측정불확도(measurement uncertainty)로 평가되는 측정결과의 질적 수준이 의사결정의 오류에 영향을 미치는 확률을 확률적손실계산식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이를 이용하여 비용경제적인 측면에서 조사를 최적화하는 방안을 고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위해성 평가를 위한 부지의 평균오염도수준 산출의 예와 같이 의사결정의 오류에 의한 손실보다는 측정된 평균값의 오차와 측정에 요구되는 비용을 최소화 해야 하는 경우와, 또한 측정값에 대한 일정한 질적 수준이 요구되는 경우의 조사방법, 그리고 제한된 비용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시료수와 분석수의 최적비율 등을 도출하는 방법을 다루었다. 각 방법은 영국의 두 오염지역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평가하여보았다.

연약 파쇄 지반내 터널의 굴착.보강 설계 및 안정성 분석 (Excavation Support Design and Stability Analysis of Shallow Tunnel in Heavily Fractured Rock Mass)

  • 신희순;신중호;박찬;한공창;최영학;최용기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7-92
    • /
    • 2000
  • In excavation of tunnels especially located in shallow depth, it is not rare to meet geological change in excavation progress worse than expected in the initial design stage. This paper present a case study on the re-design of excavation and support system of a shallow tunnel under construction where it meets the unexpected bad geological condition during excavation. The detailed geological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rock mass is heavily weathered and fractured with RMR value less than 20. Considering this geological condition, the design concept is focused on the reinforcement of the ground preceding the excavation of tunnel. Two design patterns, LW-grouting & forepoling with pilot tunnelling method and the steel pipe reinforced grouting method, are suggested. Numerical analysis by FLAC shows that these two patterns give the tunnel and roof ground stable in excavation process while the original design causes severe failure zone around the tunnel and floor heaving. In point of the mechanical stability and the degree of construction, the steel pipe reinforced grouting technique proved to be good for the reinforcement of heavily fractured rock mass in tunnelling. This assessment and design process would be a guide in the construction of tunnels in heavily weathered and fractured rock mass situation.

  • PDF

긴 전극을 사용하는 전기비저항 탐사 (Resistivity Survey Using Long Electrodes)

  • 조인기;이근수;김연정;김래영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9권1호
    • /
    • pp.45-50
    • /
    • 2016
  • 일반적으로 전기비저항 탐사에서는 편의상 점 전원을 사용한다. 만약 철제 케이싱과 같이 긴 전극을 사용한다면 전기비저항 탐사의 탐사 깊이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긴 전극을 사용하여 회득된 전기비저항 탐사 자료는 통상적인 자료 해석 프로그램으로 처리할 수 없다. 이는 긴 전극에 의해 생성된 1차 전위가 점 전원에 의한 1차 전위와는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긴 전극을 여러 개의 연속된 점 전원으로 대치하는 새로운 전기비저항 탐사 자료 처리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에 의한 전위 분포를 해석적/수치적 해와 비교한 결과, 유한 차분법이나 유한 요소법에 의한 긴 전극을 사용하는 전기비저항 탐사 모델링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2차원 및 3차원 전기비저항 탐사를 이용한 제당 누수 조사 (Dam seepage investigation using two- and three-dimensional resistivity surveys)

  • 이명종;김정호;송윤호;정승환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0년도 정기총회 및 특별심포지움
    • /
    • pp.41-53
    • /
    • 2000
  • 제당의 누수부위 조사를 위하여 전기비저항 탐사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바, 전기비 저항 탐사를 이용한 누수부위의 파악은 주로 제체 내 불균질대의 규명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당의 누수부위 탐지를 위한 전기비저항 탐사의 3차원 유한요소 수치모델링을 수행하고 이 결과를 이용하여 제당 누수부위 조사를 위한 2차원 및 3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방법론 및 자료의 해석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제체의 형상과 전기비저항 구조는 근본적으로 3차원이므로 종래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에 비하여 비록 격자상의 측선 배열을 적용할 수 없더라도 3차원적으로 탐사를 수행하고 이를 해석함으로써 좀 더 정확한 제체하부의 영상화가 가능함을 보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Ground-Penetrating Radar (GPR) Radargrams with Variable Antenna Orientation

  • Yoon Hyung Lee;Seung-Sep Kim
    • 자원환경지질
    • /
    • 제57권1호
    • /
    • pp.17-23
    • /
    • 2024
  •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survey is a geophysical method that utilizes electromagnetic waves reflecting from a boundary where the electromagnetic property changes. As the frequency of the antenna is about 25 MHz ~ 1 GHz, it is effective to acquire high resolution images of underground pipe, artificial structure, underground cavity, and underground structu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nge of signals reflected from the same underground object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ransceiver antennas used in ground penetrating radar survey. The antenna used in the experiment was 200 MHz, and the survey was per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ross the sewer and the parallel direction along the sewer to the sewer buried under the road, respectively. A total of five antenna array methods were applied to the survey. The most used arrangement is whe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are all perpendicular to the survey line (PR-BD). The PR-BD arrangement is effective when the object underground is a horizontal reflector with an angle of less than 30°, such as the sewer under investigation. In this cas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antennas perpendicular to the survey line (PR-BD) are the most effective way to show the underground structure.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XPOL), no specific reflected wave was observed in both experiments measured across or parallel to the sewer. Therefore, in the case of detecting undiscovered objects in the underground, the PR-BD array method in which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are align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vey line taken as a reference and the XPOL method in which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re all used, it can be effective to apply both of the above arrangements after setting the direction to 45° and 135°.

탄성파 속성 분석을 위한 탄성파 자료 무작위 잡음 제거 연구 (Study on the Seismic Random Noise Attenuation for the Seismic Attribute Analysis)

  • 원종필;신정균;하지호;전형구
    • 자원환경지질
    • /
    • 제57권1호
    • /
    • pp.51-71
    • /
    • 2024
  • 탄성파 탐사는 지하자원 개발, 지반 조사, 지층 모니터링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구물리탐사 방법으로 정확한 지층 구조 영상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지층의 지질학적 특성 해석에 필수적으로 활용된다. 일반적으로는 탄성파 구조 보정 영상을 시각적으로 분석하여 지질학적 특성을 해석하지만 최근에는 탄성파 구조 보정 자료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원하는 지질학적 특성을 정확하게 추출하고 해석하는 탄성파 속성 분석이 널리 연구되고 있다. 탄성파 속성 분석은 탄성파 자료에 기반한 지질학적 해석에 정량적인 근거를 제시해줄 수 있기 때문에 석유 및 가스 저류층 분석, 단층 및 균열대 조사, 지층 가스 분포 파악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탄성파 속성 분석은 탄성파 자료 내 잡음에 취약하므로 속성 분석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서는 중합 후 탄성파 자료에 대한 추가적인 잡음 제거가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합 후 탄성파 자료에 대한 무작위 잡음 제거 및 및 탄성파 속성 분석 정확도 개선을 위해 4가지의 잡음 제거 방법을 적용하고 비교한다. FX 디콘볼루션, DSMF, Noise2Noiose, DnCNN을 각각 포항 영일만 고해상 탄성파 자료에 적용하여 탄성파 무작위 잡음을 제거하고 잡음이 제거된 탄성파 자료로부터 에너지, 스위트니스, 유사도 속성을 계산한다. 그리고 각 잡음 제거 방법의 특성, 잡음 제거 결과, 탄성파 속성 분석 결과를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분석한 후, 이를 기반으로 탄성파 속성 분석 결과 향상을 위한 최적의 잡음 제거 방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