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chemical record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1초

Transgressive Geochemical Records in the East China Sea: A Perspective with Holocene Paleoceanography

  • Hyun Sangmin;Lim Dhong-il;Yoo Hai-Soo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1호
    • /
    • pp.53-61
    • /
    • 2006
  • Geochemical and sedimentological analyses of sediment piston core were used to trace paleoceanographic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East China Sea. The analytical results revealed three lithostratigraphic units (I, II, and III) corresponding to a highstand stage, a transgressive stage, and a lowstand stage, respectively. Accelerator mass spectrometry (AMS) $^{14}C$ dated the boundaries between the units as 7 ka and II ka. That is, Unit I extended from the present to 7 ka, Unit II occupied a transitional episode from 7 to 11 ka, and Unit III was older than 11 ka. The transitional episode was characterized by sudden fluctuations in various geochemical proxies. Most strikingly, there was a gradual upward increase in both carbonate and total organic carbon (TOe) contents post-7 ka, during which time the ${\delta}^{l3}C$ values of organic material increased to a constant value. The gradual upward increase in the TOC and $CaCO_3$ contents in Unit I were accompanied by slight variations in grain size that probably reflect a stable modern oceanographic environment. Within Unit II (7 to 11 ka), the geochemical signals were characterized by abrupt and steep fluctuations, typical of a transgressive stage. Vertical mixing may have provoked an increase in productivity during this interval, with large amounts of terrigenous organic matter and/or freshwater being supplied by neighboring rivers. The geochemical signals remained stable throughout Unit III but exhibited different patterns than signals in Unit I. The high terrigenous organic matter content of Unit III suggests correspondence to a lowstand stage.

Records of Holocene Environmental Changes in Terrestrial Sedimentary Deposits on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A Critical Review

  • Tatur A.;Valle R. Del;Barczuk A.;Martinez-Macchiavello J.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531-537
    • /
    • 2004
  • In this study we discuss some problems that emerged from paleolimnological and paleontological investigations of terrestrial Holocene ecosystems on King George Island (South Shetland Islands) conducted by an Argentine-Polish research group. Biological and geochemical markers commonly used in standard analytical procedures are considered insufficient in tracing overlapping records of past environmental changes preserved in peat banks, lake sediments and ornithogenic remnants. Records that might be explained by predictable natural events (related to glacio-isostatic uplift of land), roughly predictable events (ecological succession), or unpredictable events (volcanic eruptions or accidental destruction of aquatic moss) may overlap or interfinger one with another providing that signals of regional and/or global climatic changes, are hardly identifiable. A more sophisticated and more selective methods are recommended to do discrimination between records of local and regional/golbal processes in studies on Holocene climatic history of the South Shetland Islands.

한강 하천수 중 용존이온의 지구화학적 특성과 기원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Dissolved Ions in the Han River Water)

  • 김규한;심은숙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6호
    • /
    • pp.539-553
    • /
    • 2001
  • 한강수계분지 내의 한강 하천수와 한강 하천으로 유입되는 지천 수의 용존 이온 농토의 특성과 그 기인을 연구하였다. 북한강 하천수의 용존 이온농도는 Ca)Na>K>Mg, HCO$_3$>NO$_3$>SO$_4$>Cl 순이며 이들 원소들의 농도는 주로 누계분지 내에 분포하고 있는 화강암과 편마암비 화학적 풍화의 영향을 받고 있다. 한편, 남한강 하천수의 주요 이온농도는 Ca>Mg)Na>K, HCO$_3$>SO$_4$>NO$_3$>Cl 순으로 감소한다. 이는 수계분지 내에 분포하고 있는 탄산염안의 영향과 태백산 지역의 탄광과 금속광산에서 발생한 광산 폐수의 유입 때문으로 해석된다. 한강본류 하천수는 Na, Cl, SO$_4$(Ca>Na>K)Mg, HCO$_3$>SO$_4$4>Cl>NO$_3$) 농도가 놀게 나타나 서을 도심의 인간 환동에 의한 오염 영향을 받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1981년부터 1999년 사이에 한강 하천수의 SO$_4$와 NO$_3$이온농도는 헌저히 증가하여 산성광산 폐수와 생활하수에 의한 오염의 증가를 반영하고 있다.

  • PDF

Sedimentary Excess Barium from a Core of the Northwest Pacific Ocean: Geochemical Proxy

  • Suk, Bong-Chool;Park, Chan-Hong;Taira, Asahiko;Hyun, Sang-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5권2호
    • /
    • pp.98-108
    • /
    • 2000
  • A geochemical study on a hemipelagic core sediment taken from the northwest Pacific Ocean (eastern edge of the Shikoku Basin) was conducted to use of excess barium (Ba(ex)) for evaluate the paleoceano-graphic changes. Also, the excursion of sedimentary Ba(ex) was compared with those of biogenic opal, carbonate and organic carbon content in the sediment during the last glacial and interglacial periods. The calculated Ba(ex) derived from the major and minor element shows a distinctive glacial-interglacial variations, and the mass accumulation rate (MAR) of Ba(ex) shows coincident variations with the MARs of biogenic fractions. Especiall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r$^2$=0.85) between the MAR of Ba(ex) and the MAR of biogenic carbonate is recognized. Based on the strong positive correlation(r$^2$=0.85) between the MAR of Ba(ex) and the MAR of carbonate content, we estimated the degree of carbonate dissolution rate during the glacial and interglacial periods. Assuming the proportional variation and the refractory nature of barium exist between two factors, the variation of index Ca/Ba ratio in sediment indicates the degree of carbonate dissolution. Sedimentary Ca/Ba ratios index clearly show a striking fluctuation between the glacial and interglacial periods with higher positive correlation during glacial and lower correlation during interglacial. This fact indicates enhanced carbonate dissolution during interglacial period. Thus, the sedimentary Ca/Ba ratio in sedimentary records can be used as one of the useful tools for estimation of the relative degree of carbonate dissolution. The excursion of Ba(ex) and the sedimentary Ca/Ba ratio follows the typical pacific carbonate dissolution type(enhanced dissolution during interglacial and reduced dissolution during glacial time) as suggested by previous work (e.g., Wu et al., 1990). Variation in sedimentary Ca/Ba ratio thus strongly supports that glacial-interglacial fluctuation in carbonate dissolution has been prevailed in the northwest Pacific Ocean.

  • PDF

한국 대한해협 대륙붕 표층 퇴적물의 특성과 세립퇴적물의 지구화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bottom sediments from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Korea Strait and some geochemical aspects of the shelf fine-grained sediments)

  • 박용안;김경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3-56
    • /
    • 1987
  • 한국 동남해역의 일부, 남해해역의 일부 및 대한해협의 대륙붕에 관한 해양지 질학적이며 지구화학적 관점의 기초 해양학적 연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해서의 대륙붕은 미세지형도인과 표층 퇴적물의 분포패턴등으로 내 대륙붕과 외대륙붕으로 구분되었다. 즉 내 대륙붕과 외 대륙붕의 경계지형은 약 80m수심의 해서이며 내 대륙붕의 해저는 해안선의 방향과 평행하는 발달 추세를 나타내는 반면 외 대륙붕 의 해저는 한국해협 해곡(KSR)등을 크고 작은 기복지형을 나타낸다. 내 대륙붕의 표층 퇴적물은 이토(mud)와 사질 실트로 구성된 세립질 퇴적상이며 외 대륙붕은 조립질 퇴적물(모래와 자갈)로 구성된 잔류퇴적상(relict sediment facies)을 나타낸 다. 내 대륙붕의 퇴적물은 외 대륙붕의 퇴적물보다 높은 $\varepsilon$$_{A1}$ 보이나 Ni, Cr, Cu 등의 오염영향을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Zn, Pb 등의 원소에 관한한 오염의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 지역의 탄성파층서는 음향기 반암과 강한반사면 R에 의한 3층서단위로 구성된다. 이들은 하부로부터 기반암(음향), 하부퇴적층(B) 및 상부퇴적층(A)이며 상부퇴적층은 현세 퇴적층이며 하부퇴적층은 선 현세(pre-Holocene)퇴적층이다.다.

  • PDF

The Records of Origin and Transport of Sediment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n the Yellow Sea

  • Yi, Hi-Il;Chun, Jong-Hwa;Shin, Im-C.;Shin, Dong-Hyeok;Jou, Hyeong-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9권1호
    • /
    • pp.96-106
    • /
    • 2004
  • A total of 116 surface sediment samples were obtained on the Yellow Sea and analyzed for grain size and geochemical elements in order to interpret the present sediment transportation. Thirty-nine cores and 3,070 line-km shallow seismic profiles are analyzed for sedimentary records of Yellow Sea in the past. Results show that the boundary of sediment transport between Korean side and Chinese side is about between $123^{\circ}E$ and $124^{\circ}E$. The similar result is produced from Shi et al. (in this publication). Two cyclonic patterns of surface sediments are recognized in the northeastern and southwestern Yellow Sea, while the strong front zone of the mud patch and sandy sediments are found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n coasts). The formation of fine-particle sediment packages, called for Northwest Mudbelt Deposit (NWMD), Hucksan Mudbelt Deposit (HSMD) and Jeju Mudbelt Deposit (JJMD), are resulted from eddies (gyres) of water circulations in the Yellow Sea. NWMD has been formed by cyclonic (anticlockwise) eddy. NWMD is composed of thick, homogeneous, relatively semi-consolidated gray clay-dominated deposit. On the other hand, HSMD and JJMD are formed by anticyclonic (clockwise) eddies. They are thick, homogeneous, organic-rich gray, silt-dominated deposit. Both core and surface sediments show that the middle zone across Chinese and Korean side contains bimodal frequency of grain-size distribution, indicating that two different transport mechanisms exist. These mud packages are surrounded by sand deposits from both Korea and China seas, indicating that Yellow Sea, which is the shallow sea and epicontinental shelf, is formed mostly by sand deposits including relict sands. The seismic profiles show such as small erosional/non-depositional channels, sand-ridges and sand-waves, Pleistocene-channelfilled deposits, a series of channels in the N-S major channel system, and thick Holocene sediment package, indicating that more complex sedimentary history exists in the Yellow Sea.

Holocene Variations of Organic Carbon Contents in Lake Langer of King George Island, South Shetland Islands, West Antarctica

  • Khim, Boo-Keun;Yoon, Ho-Il;Kang, Cheon-Yun;Zhao, Junli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507-514
    • /
    • 2004
  • A sediment core drilled from Lake langer on King George Island was analyzed for a variety of textural md geochemical properties along with $^{14}C$ age dates. These data were combined with published records of other cores to provide a detailed history of Holocene variation of total organic carbon (TOC) contents with respect to terrestrial paleoclimate change. The lithologic contrast of the lower diamicton and upper fine-grained sediments shows the glacier activity and subsequent lake formation. Low TOC contents fluctuated during the diamicton deposition whereas the increase of TOC began with the lake formation during the postglacial period that started about 5,000 yr B.p More notable are the distinct TOC peaks that may imply enhanced primary productivity during the warm period. The uniform and low TOC contents may reflect the limited productivity during the evolution of the lake. However, the recent TOC readvance clearly indicates gradual warming on King George Island. However, the paleoclimatic signature in the terrestrial lake environment during the Holocene seems to be subtle and less distinct, compared to the marine environment.

동해 울릉분지 남단 주상퇴적물에 대한 최종빙기-홀로세간의 지화학적 기록 변화: 고해양환경 변화 (Last Glacial Maximum-Holocene Variability in Geochemical Records of a Core Sediment from the Southern Part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Implications for Paleoceanographic Changes)

  • 허식;한상준;현상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6권2호
    • /
    • pp.71-80
    • /
    • 2001
  • 최종빙기와 흘로세 사이의 전이기에 일어난 동해의 고해양환경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울릉분지 최남단 대륙사면에서 얻어진 주상시료(95PC-1)퇴적물에 대한 지화학적 고분해 연구를 하였다. 지화학적 결과는 주요 고행양학적변화가 이 전이기에 뚜렷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주요원소를 분석한 결과 최종빙기와 홀로세 사이에 뚜렷한 퇴적물의 조성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퇴적물의 공급변화가 수반되었음을 지시하고 있다. 퇴적물 중의 $TiO_2/Al_2O_3$는 흘로세와 최종빙기의 퇴적물 조성이 다름을 지시하고 있다. 유기탄소 함량도 약 $0.5{\sim}4%$ 정도의 폭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평균적인 최종빙기와 간빙기(흘로세)의 값과 비교했을 때 각각 $2{\sim}4$배, 2배 정도 증가하여 전이기에 생물생산이 증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대륙기원 유기물의 유입을 지시하는 C/N비도 이 전이기를 중심으로 10이상을 보이고 있어 유기물이 인근 대륙으로부터 유입되었음을 지시하고 있으며, 특히 최종빙기 동안에는 활발하게 대륙으로부터 유기물이 유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탄산염 함량변화는 흘로세 기간동안에는 비교적 안정하여 약 2.5%전후의 값을 보이고 있다가 전이기에 큰 폭의 변화를 보이면서 최종빙기에는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퇴적물의 화학원소에 근거한 풍화지수(CIW)를 조사해본 결과 약 1만년을 경계로 뚜렷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은 유기물과 탄산염에 나타난 전이기와 잘 일치하고 있다. 입도분석 결과 나타난 최종빙기와 흘로세 간의 실트질 퇴적물의 함량차이는 빙기동안에 강해진 기후요소와 밀접히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전이기에 나타나는 지화학적 기록변화는 해수면 상승과 결부된 해양환경변화 및 지역적인 기후변동과도 밀접히 관계되고 있음을 지시한다.

  • PDF

오끼나와 해곡 주장사료 퇴적물에 대한 저서생 유공충의 군집변화와 지역해 고환경변화 (Assemblage changes of benthic foraminifera and regional paleoenvironmental changes in a piston core from the Okinawa Trough, Japan)

  • 현상민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8-55
    • /
    • 2009
  • 오끼나와 해곡 (Okinawa Trough)의 고해양 환경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동 해역에서 얻어진 주상시료(RN88-PC5)를 이용하여 저서성 유공충의 종조성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그 외 퇴적학적, 지화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탁류 퇴적물(turbidite sediment)을 협재한 주상시료는 같은 코아에서 나타나는 퇴적물인 반원양성 퇴적물 (hemipelagic sediment) 특성과는 다른 천해지역 산호초에 서식하는 저서성 유공충 종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다. 이들 천해역 저서성 유공충은 저탁류 퇴적물이 퇴적될 때 동시적으로 재동, 운반되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주상시료 퇴적물에 대한 입도분석 결과는 저탁류퇴적물과 반원양성 퇴적물과의 뚜렷한 입도변화를 보일 뿐만 아니라 두 퇴적물간에는 화학적 조성차이도 잘 보이고 있다. 부유성 유공충에 대한 산소동위원소 기록은 동 연구지역 표증해양이 홀로세에 들어서서 따뜻해지는 범 지구적인 기록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학분석 결과와 기존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고찰하면 연구주상시료의 저탁류 퇴적물은 지역해의 고환경 기록인 저탁류 퇴적물의 주기적인 발생을 잠재적으로 지시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연안 산호초지역에 서식하는 천해성 저서 유공충군집이 저탁류 퇴적층에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지역해에서 지진과 같은 고해양학적 사건이 주기적으로 일어났음을 지시한다.

  • PDF

남극 킹 죠지 섬 에드미럴티 만과 멕스웰 만 시추 퇴적물의 홀로세 후기 고해양환 경 연구 (Late Holocene Paleoceanography from Core Sediments in the Admiralty Bay and Maxwell Bay,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 박병권;윤호일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02-319
    • /
    • 1995
  • 홀로세 후기 킹 죠지 섬 주변 해역의 고해양학적 변화와 기후 변화를 파악하기 위 하여 킹 죠지 섬 주변의 멕스 웰 만과 에드미럴티 만에서 채취한 2개의 해양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퇴적율 측정, 유공충의 분포 및 유공충의 각을 구성하고 있는 산소 및 탄소 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다. 유기탄소 함량은 대체로 시추 퇴적물의 하부층에서 상 부층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탄산염 함량은 그 반대로 하부층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유공충은 총 27종이 감별되었으며, 비교적 우세한 종은 Globocassidurina bior이다. 유공충을 이용한 /SUP 14/C연대 측정치를 기준으로 계산한 퇴적율은 24 cm/kyr에서 237 cm/kyr 범위이나 상부층으로 갈수록 급격히 증가한다. 대표적 유공충인 G. biora 의 산소 및 탄소 동위원소비는 $\delta$/SUP 18/O 값의 경우 0.3$\textperthousand$에서 6.2$\textperthousand$ 범위이고 $\delta$ /SUP 18/C 값은 -0.3$\textperthousand$에서 0.0$\textperthousand$ 범위이다. 시추 퇴적물의 지절연대는 시추심 S-2의 최하부층인 깊이 128 cm에서 3,100$\pm$60 yr B.P이고, 시추심 S-19의 최하부층인 깊이 230 cm에서 7,460$\pm$70 yr B.P., 한랭 온난한 2,600~2,270 yr B.P 및 한랭 온난한 2,380~2,100 yr B.P의 5개 시기로 구분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