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tically modified food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2초

우리나라 식문화의 변천과 향후 대책 (Historical Changes and Future Counterplan of Food Culture in Korea)

  • 최진호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대회지
    • /
    • pp.25-79
    • /
    • 1999
  • To evaluate the historical changes and future counterplan of food culture in Korea . the following were surveyed : the scale of foodseivice industry. the consumer attitude on functional health food. the fancy and using frequency of fastfood in the growing generation, the actual state on use of imported food. consumer opinions in selecting factor of functional and organic foods. the actual state and consumer attitude on the imported foods, long-term prospect of food service industry in futures. the production of food rubbishes and their reusing rates. the production scales and toxicity problems of agricultural medicines including the postharvest agricultural medicine. the consumer anxiety such as potential environmental and human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GMOs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the import state of GMOs, long-term prospect of population increase in world, and aged population of over 65 years and their social index in Korea, self-supporting rate and national security of food in Korea. the prospect for demand and supply of grains in Korea and world. decrease of the farming population and the decrease problem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the problem on the introduction of direct payment system for a farmhouse, and other social problem etc. In cases of 1996, self-supporting rate of food in Korea was the lowest as $26.4{\%}$ in the world but those countries such as USA, UK France, Canada and Denmark were $134.0{\%}\;122.0{\%}$. $190.0{\%}$. $179.0{\%}\;and\;134.0{\%}$, respectively. in 1997 Therefore. our food security appeared as a very serious problem in a viewpoint of the national security That's why this very important Symposium will be held by agriculture-related three Societies to see the last year of 1999 out and the new millennium in.

  • PDF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관리 및 품질관리 실태조사 (Food Purchasing and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in School Food Service)

  • 김경아;곽동경;이경은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2권4호
    • /
    • pp.329-341
    • /
    • 2006
  •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food purchasing management practices and to assess dietitians' awareness on food quality standards, use of food purchasing guidelines(food quality guidelines, supplier selection criteria), and organizational collaboration related to purchasing at school food service. A total of 400 dietitian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in Kyunggi Province were surveyed and 247 responses were returned. Excluding responses with significant missing data, 240 responses(6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Compared to the previous reports, competitive bidding and shorter contract periods were preferred for purchasing food supplies. A dietitian, school staff, and food service staff participated in receiving and inspection together at 58.4% of the schools. An average score of the dietitians' awareness on the food quality standards was 3.28 based on a 5-point scale(1:strongly disagree, 5:strongly agree). Their awareness scores for the quality standards related to the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foods, organic foods, and pesticide residues were the lowest. The awareness scor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ir age(p<.001). In general, the food purchasing guidelines were used well at the schools ; the usage levels of the food quality guidelines and supplier selection criteri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length of operation(p<.05) and dietitians' age(p<.05), respectively. The dietitians' perception score of the organizational collaboration related to purchasing was rated 3.46 and differed significantly by dietitians' educational background(p<.05). For improving food procurement management, standardized food quality and purchasing criteria need to be developed. As the demands on high quality food supplies increase for school food service, the dietitians should improve their knowledges on the food quality standards and implement effective and creative purchasing methods.

  • PDF

가공조건에 따른 GM corn Bt11의 유전자 변화와 모니터링 (Changes in DNA Fragments in Bt11 Corn Caused by Processing Conditions and Their Monitoring)

  • 이철수;김영찬;황순욱;강상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99-305
    • /
    • 2004
  • 유전자재조합 옥수수 Bt11을 이용하여 가공조건에 따른 유전자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직접 가열하여 탄화 혹은 갈변 되거나 수분을 함유한 멸균조건에서는 내재유전자 및 삽입유전자는 완전히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탕처리나 건조상태의 멸균, 단순 건조 등의 방법으로는 유전자의 많은 양이 보존됨을 알 수 있었다. 당화효소를 이용한 효소처리에서는 유전자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제 가공생산 공정에서도 전분당의 생산공정에서 효소처리 단계에서는 영향이 없었고 이후 당화액을 여과하는 과정에서 유전자가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모의 실험결과를 토대로 가공식품을 65종 모니터링 분석한 결과 13.6%인 9종에서 유전자재조합 옥수수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콘칩 등의 과자류에서 사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산 옥수수 분말을 사용한 율무차, 쇠고기 수프, 옥수수 수프, 식빵믹스 등에서 GM옥수수의 검출빈도가 높았으며, 옥수수통조림, 전분당, 식용유, 팝콘류 등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Multiplex PCR Detection of the GT73, MS8xRF3, and T45 Varieties of GM Canola

  • Kim, Jae-Hwan;Kim, Tae-Woon;Lee, Woo-Young;Park, Sun-Hee;Kim, Hae-Ye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104-109
    • /
    • 2007
  • A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ethod was developed to simultaneously detect three varieties of genetically modified (GM) canola. The construct-specific primers were used to distinguish the following three varieties of GM canola; GT73, MS8xRF3, and T45, using multiplex PCR. The FatA (fatty acyl-ACP thioesterase) gene was used as an endogenous canola reference gene in the PCR detection. The primer pair Canendo-FIR containing a 105 bp amplicon was used to amplify the FatA gene and no amplified product was observed in any of the 15 different plants used as templates. The GT73-KHUF1/R1 primer recognized the 3'-flanking region of GT73, resulting in an amplicon of 125 bp. The Barstar-F1/MS8xRF3-R primer recognized the junction region of bars tar and the NOS terminator introduced into MS8xRF3, resulting in a 162 bp amplicon, and the T45-F2/R2 primer recognized the junction region of PAT and the 35S terminator introduced into T45, resulting in an amplicon of 186 bp. This multiplex PCR allowed for the detection of construct-specific targets in a genomic DNA mixture of up to 1% GM canola containing GT73, MS8xRF3, and T45.

WTO체제에서 유전자변형식품의 표시제도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 GM식품 표기의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Labelling for GM foods under the WTO system: Focused on improvements for Korean GM food labelling)

  • 양정미
    • 무역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179-201
    • /
    • 2018
  • 각 국은 소비자의 알 권리와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 식품표시제도를 의무화한다. 그리고 이러한 각국의 식품표시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국제협약 또는 협정에 가입되었다면 이는 모든 서명국에 부과되는 의무라는 복잡한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또한 식품표시제도는 국제무역에 비관세장벽으로 적용할 수 있어 각 국이 식품표시제도를 도입함에 있어 다자적 조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GATT 20조, SPS, TBT 협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GM식품(Genetically Modified foods)의 안전성과 관련하여서는 여전히 논란이 여전히 끊이지 않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가 GMO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라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GM식품의 유해성을 차치하더라도 GM식품 관련 표시제도의 명확화 및 GM식품의 혼입기준에 대한 명확한 제시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식품 선택에 있어 혼란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GM식품에 대한 다자적·국내법적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국내법에서 인용가능한 GM식품관련 법 및 주요 무역국의 국내법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GM식품 표시방법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한다.

제초제 내성 유전자 변형 옥수수 중 PAT단백질에 특이한 단크론성 항체의 생산과 특성 확인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to PAT Protein Expressed in Genetically Modified Herbicide-Resistance Maize)

  • 김솔아;이정은;심원보;강성조;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3-19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변형 옥수수(GM 옥수수)에 특이한 단크론성 항체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특성을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먼저 형질전환 대장균으로부터 PAT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확립하였고, 재조합 PAT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여 항원으로 사용하였다. 준비된 항원을 면역한 결과 재조합 PAT 단백질의 항원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세포융합과 클로닝을 통해 12 종의 hybridoma를 확립하였고 western blot 결과 10 종의 hybridoma가 재조합 PAT 단백질과 강한 반응성을 나타내었다. 10종의 hybridoma가 생산하는 항체가 실제 GM 옥수수에 반응하는지를 추가의 western blot으로 분석한 결과 2종의 단크론성 항체(PATmAb-7 and PATmAb-12)가 재조합 PAT 단백질뿐만 아니라 실제 GM 옥수수 중 PAT와 반응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체를 대량 생산하고 정제한 후 2종의 항체는 SDS-PAGE 상에서 대표적인 항체의 분리패턴(heavy와 light chain)을 나타내었고, 전형적인 $IgG_1$${\kappa}$ type으로 확인되었다. 정제된 단크론성 항체는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른 GMO에서 발현될 수 있는 재조합 단백질과 non-GM 옥수수 추출물에는 반응성이 없고 PAT 단백질에만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TmAb-7 를 이용한 간접효소면역분석법의 검출한계는 0.3 ng/mL 수준으로 기준의 유전자변형 콩 면역분석법과 비교했을 때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개발된 2종의 항체(PATmAb-7 and PATmAb-12)는 GM 옥수수에서 발현되는 PAT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로 확인되었고, 2종의 항체를 이용한 면역분석법과 바이오센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PCR 방법과 면역학적 분석법을 이용한 두부와 비지에서 GM 콩의 검출법 (Dete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in Tofu and Biji using PCR and Immunological Methods)

  • 김묘영;김재환;김해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77-81
    • /
    • 2005
  • GM 콩으로 제조된 두부와 비지 등 콩 가공제품들의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위하여 GM 콩이 0%, 1%, 3%, 5%, 100% 함유된 두부와 비지를 제조하여 이들의 삽입유전자인 5-enolpyruvylshikimate-3-phosphate synthase(epsps)를 검출하기 위한 PCR 방법과 EPSPS 발현 단백질 검출을 위한 western blotting과 lateral flow strip을 사용하여 검출 감도를 비교하였다. PCR 결과 산물의 크기가 큰 600 bp의 증폭에서 두부의 경우에는 100% GM으로 제조된 두부에서만 확인이 가능하였고, 비지에서는 5%, 100%에서 확인이 되었다. 크기가 작은 123 bp가 생성되는 실험에서는 0%를 제외한 모든 두부와 비지에서 검출되었다. Western blot 결과는 100% 두부, 비지에서만 검출이 되었고, lateral flow strip test에서는 100% 비지에서만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GM 콩 가공식품 검출은 면역학적 방법보다는 PCR이 더 높은 민감도가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가공식품에서 효율적인 GMO 검출을 위해서는 100 bp 정도의 작은 크기의 PCR 산물을 이용해야 민감한 검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AtCYP78A7 과발현 환경스트레스 내성 형질전환 벼의 단백질 진단 키트 개발 (Development of a Kit for Diagnosing AtCYP78A7 Protein in Abiotic-tolerant Transgenic Rice Overexpressing AtCYP78A7)

  • 남경희;박정호;백인순;김호방;김창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835-840
    • /
    • 2018
  • 본 연구는 시토크롬 P450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애기장대 유래의 AtCYP78A7을 과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로부터 AtCYP78A7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단일큰론 항체의 제조와 그 항체를 AtCYP78A7 단백질과 접촉시켜 항원-항체 복합체 형성을 검출함으로써 AtCYP78A7 단백질을 효소면역학적(ELISA) 방법으로 검출하는 진단 키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재조합한 GST-AtCYP78A7 단백질을 항원으로 사용하여 단일클론 항체를 분비하는 융합세포주를 제조한 후 비오틴화 및 페어링 테스트를 통해 포획항체와 검출항체를 선정하였으며, GST-AtCYP78A7 정제 단백질을 기준으로 일품벼, 화영벼, AtCYP78A7 과발현 벼(10B-5, 18A-4)의 용해물을 검출항원으로 사용하여 product test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AtCYP78A7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4개의 단클론 항체(mAb 6A7, mAb 4C2, mAb 11H6, mAb 7E8)를 생산하였고, 포획항체 mAb 4C2와 검출항체 mAb 7E8-biotin의 조합으로 ELISA 키트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ELISA 키트를 이용한 벼 시료의 분석 결과 AtCYP78A7 과발현 벼는 전체 단백질 대비 AtCYP78A7 단백질의 비율이 0.1% 이상인 양성으로, 일품벼와 화영벼는 0.1% 미만인 음성으로 나타나 키트를 이용한 AtCYP78A7 단백질의 검출이 가능하였으며, 따라서 본 키트는 향후 AtCYP78A7를 과발현하는 형질전환 작물을 대상으로 하는 환경 모니터링 또는 인체 위해성 평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도시 주부들의 웰빙에 대한 인식과 식생활유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Well-being Related Awareness and Dietary Life Pattern in Urban Housewives)

  • 박영심;명춘옥;이기완;남혜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74-583
    • /
    • 2005
  •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well-being related dietary life pattern such as purchasing food materials, food habits and eating out, a survey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 and 5-point Likert score in Seoul and Gyeonggi-Do, September, 2004 and April, 2005. The responses of 732 housewives who were over 40 years were analyzed by SPSS package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st of them were 40-49 years(74.4%), graduated highschool (66.6%) and their family type was nuclear family type(81.4%). Almost half of them had full-time job (37.1%) and part time job (15.4%). The average importance score of 'food habits', 'purchasing food materials' and 'eating out' were $4.15{\pm}0.91,\;4.06{\pm}0.96\;and\;3.25{\pm}1.01$ respectively. But the average practice score of 'food habits' was greater($3.58{\pm}1.06$) than 'purchasing food materials ($3.19{\pm}1.19$)' and 'eating out($2.54{\pm}1.05$)'. Among 5 types of 'food habits', the type of 'cut down on eating fast food' had the greatest score of importances ($4.31{\pm}0.97$) but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ractice was greatest(0.94). Also 'consume home-made food rather than processed or ready to food' showed great scores in importance ($4.28{\pm}0.87$) and practice($3.87{\pm}1.04$). 'Consume fruits and vegetables rather than meats' and 'avoid heavy use of oils' had the importance score of $4.04{\sim}4.19$. But the practice score of 'avoid heavy use of oils' was the lowest($3.39{\pm}0.97$). Among four types of purchasing of food materials, 'purchase domestic agricultural food' was greatest($4.37{\pm}0.78$) and 'don't purchase genetically modified food' 'purchase organic food' and 'purchase whole grain products' were also great ($3.92{\sim}3.99$). But the practice score of 'purchase organic/low chemical foods($2.77{\pm}0.98$)' and 'don't purchase genetically modified food($2.99{\pm}1.41$)' were lowest. 'Go to well being restaurant' in three types of 'eating out' showed greatest in importance($3.35{\pm}0.96$) but the practice score($2.47{\pm}0.10$) was lower than the importance score. Also 'choose menu with comparing calories' had the lower score in practice($2.45{\pm}1.06$) rather than importance score($3.22{\pm}1.03$). In regarding to 'food habits', the importance score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ype of food expense (p<0.05) and health status (p<0.05). The importance score of 'purchase food material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type of food expense (p<0.001), type of residence(p<0.05), and self assessment of weight(p<0.05). Monthly income, especially more 400 million won, was the commonly significant effector in practice score of 'purchase food materials' and 'eating out'.

형광단백질 발현 유전자변형 누에(Bombyx mori )의 환경위해성 평가연구 (The Study of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for Fluorescent Genetically Modified Silkworms)

  • 김현정;정철의;구태원;이훈복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99-207
    • /
    • 2014
  • 곤충(초파리, 모기, 누에)은 해충방제, 유용물질생산, 의학연구 등을 위해 유전자변형 곤충으로 개발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 유전자변형 곤충에 대한 환경위해성 평가 등이 거의 실시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유전자변형 누에의 환경위해성 평가를 3가지 항목(이동성, 생존능력, 산란 및 부화율)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기본 사육 절차에서의 탈출가능성(이동성), 둘째, 사육환경으로부터 탈출시 생존 가능성(8개의 극한 환경조건; 고온, 저온, 건조, 습함, 먹이의 유무), 셋째, 비유전자변형 누에♀ ${\times}$ 비유전자변형 누에♂, 비유전자변형 누에♀ ${\times}$ 유전자변형 누에♂, 유전자변형 누에♀ ${\times}$ 비유전자변형 누에♂, 유전자변형 누에♀ ${\times}$ 유전자변형 누에♂으로부터 나온 산란 및 부화율을 비교 하였다. 유전자변형 누에와 비유전자변형 누에의 이동성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산란 및 부화율 또한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다만, 비유전자 변형 암수쌍에서 산란된 알의 부화율보다 유전자변형 누에♀와 비유전자변형 누에♂에서 산란된 알의 부화율이 통계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극한환경에서의 생존율 실험에서 상대적으로 유전자변형 누에가 비유전자변형 누에보다 생존율이 낮았으며, 특히 고온조건의 환경에서 통계적으로 생존율이 낮은 결과를 보였다. 저온 조건의 경우 누에 유충의 동면으로 인해 실험결과를 명확하게 얻을 수 없었다. 유전자변형 누에와 비 유전자변형 누에가 일부의 차이를 보였으나 모든 실험에서 유전자변형 누에의 값이 비유전자변형 누에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결과적으로 이번 연구에서는 유전자변형 누에의 위해성은 비유전자변형 누에보다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