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l science

검색결과 13,778건 처리시간 0.038초

GROWTH AND FEED UTILIZATION IN BLACK BENGAL GOATS ON ROAD SIDE GRASS BASED DIET SUPPLEMENT WITH FISH MEAL AND UREA MOLASSES BLOCK

  • Huq, M.A.;Akhter, S.;Hashem, M.A.;Howlider, M.A.R.;Saadullah, M.;Hossain, M.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9권2호
    • /
    • pp.155-158
    • /
    • 1996
  • Seventy two Black Bengal goats on road side grass based diet were fed on 0, 20, 40, 80, 100 or 120 g of fish meal (FM)/goat/day with or without ad libitum access to urea molasses block(UMB). The purpose was to assess the interaction of undegradable protein (UDP) and fermentable nitrogen(N) supplementation on feed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and growth of goats. Live weight gain of goats increased linearly with the increasing of dietary fish meal as an undegradable protein source. With the increasing level of fish meal the live weight gain(g/day) was 17, 23, 46, 48, 48 and 52 with urea molasses block and 12, 21, 31, 49, 47 and 47 without urea molasses block. It was concluded that the beneficial effects of urea molasses feeding to accelerate the dry matter intake, TDN intake and nutrient digestibility observed could not be exploited in terms of live weight gain.

과학영재 중학생들과 일반 중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 비교: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 중심으로 (The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Science-related Career Between General and Scienc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신세인;이준기;하민수;이태경;정영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673-696
    • /
    • 2015
  • 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은 이공계 직업동기와 과학학습동기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미래의 국가 과학기술발전의 핵심 동력인 과학영재학생들이 지속적으로 과학을 하는데 있어 과학관련 직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하여 중학교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과 관련된 직종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구조화 한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두 집단의 인식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과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네트워크를 비교분석한 결과, 첫째, 과학영재들은 일반학생들에 비하여 과학과 관련된 직업의 종류에 있어 다양했으며, 직업명의 구체성이 있었다. 둘째, 물질과학자와 의사는 과학영재와 일반학생 모두의 과학관련 직업 인식망에서 가장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또한 교수, 컴퓨터 및 수학 관련 직업은 과학영재의 인식망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중심성을 나타낸 반면, 일반학생의 인식망에서는 낮은 중심성을 보이며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셋째, 기술적 직업은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인식망의 외곽에 위치하여, 학생들은 기술적 직업을 과학과 관련된 직업으로 쉽게 떠올리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과학영재 학생들의 진로 지도를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과학기술이슈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분석: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원자력발전 사례 (How does the General Public Understand Science and Technology Issues?: A Case on the Nuclear Power Issue Using Topic Modeling Approach)

  • 최현도;안종욱
    • 기술혁신연구
    • /
    • 제23권4호
    • /
    • pp.151-175
    • /
    • 2015
  • 과학기술 수용자는 과학기술 변화과정을 결정하는 중요한 이해관계자이다. 하지만 이들이 과학기술이슈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기존의 방법들은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토픽모델링을 활용해 온라인 토론장에 게시된 글을 분석하여 한국인의 원자력발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것은 거시이슈들이 일반 과학기술 수용자 인식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변화된 인식구조의 지속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빅데이터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특정 과학기술이슈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을 파악한다면, 과학기술 수용자(일반인)와 공급자(전문가) 집단 사이의 인식간극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afety Assessment of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Trastuzumab in 100ml Saline for the Treatment of HER2-Positive Breast Cancer Patients

  • Abe, Hajime;Mori, Tsuyoshi;Kawai, Yuki;Tomida, Kaori;Yamazaki, Keiichi;Kubota, Yoshihiro;Umeda, Tomoko;Tani, Tohr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8호
    • /
    • pp.4843-4846
    • /
    • 2013
  • Background: The infusion rate is considered to affect incidence and severity of infusion reactions (IRs) caused by protein formulations. Trastuzumab (TRS) is approved for 90-minute infusion as the initial dose followed by 30-minute infusion with 250 ml saline. In the study, we evaluated the safety of TRS intravenously administered over 30 minutes with 100 ml saline to reduce burden of patients, safety of infusion with 250 ml saline already being established. Materials and Methods: Women with HER2 positive breast cancer, ${\geq}18$ years and ${\geq}55%$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VEF), were registered in the study. Patients received 8mg/kg of TRS 250 ml over 90 minutes followed by 6mg/kg of TRS 100ml over 30 minutes in a three-week cycle. Results: A total of 31 patients were recruited, 24 for adjuvant therapy and seven with metastases. The median age was 59 years (range 39 to 82). The total number of TRS doses ranged from 5 to 17 with the median of 15. Mild IR occurred in two patients at the first dose. However, no IR was observed after reducing to 100 ml saline. No decrease of LVEF, increase of serum brain natriuretic peptide or any other adverse events were reported. Conclusions: Intravenous infusion of TRS with 100 ml saline over 30 minutes in breast cancer patients can be considered safe based on results from the study. It can be given on an outpatient basis as with the currently recommended dilution in 250 ml saline.

초등과학 영재교사와 일반교사의 과학교육에 대한 신념 비교 (Comparison of Beliefs in Science Education of Elementary Teachers for the Gifted and General Teachers)

  • 전혜린;여상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2호
    • /
    • pp.240-249
    • /
    • 2011
  • 이 연구는 과학의 본성, 과학교수. 과학학습에 대한 초등과학 영재담당교사와 일반교사의 신념을 비교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초등과학 영재담당교사 88명과 초등학교 일반교사 90명을 대상으로 과학의 본성, 과학교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교사의 최종학력, 심화전공에 따른 과학교육의 본성과 그 하위 영역에 대한 신념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등과학 영재담당교사와 일반교사 사이에는 과학의 본성과 과학교수에 대한 신념의 차이는 없었으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에서는 영재담당교사가 더 구성주의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의 본성, 과학교수, 과학학습의 하위 영역에 대한 최종학력과 심화과정에 따른 두 집단 간의 신념에서는 일부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재교사의 선발, 영재교사를 위한 연수에 대한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 PDF

THE ZEROTH-ORDER GENERAL RANDIĆ INDEX OF GRAPHS WITH A GIVEN CLIQUE NUMBER

  • Du, Jianwei;Shao, Yanling;Sun, Xiaoling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28권3호
    • /
    • pp.405-419
    • /
    • 2020
  • The zeroth-order general Randić index 0Rα(G) of the graph G is defined as ∑u∈V(G)d(u)α, where d(u) is the degree of vertex u and α is an arbitrary real number. In this paper, the maximum value of zeroth-order general Randić index on the graphs of order n with a given clique number is presented for any α ≠ 0, 1 and α ∉ (2, 2n-1], where n = |V (G)|. The minimum value of zeroth-order general Randić index on the graphs with a given clique number is also obtained for any α ≠ 0, 1. Furthermore, the corresponding extremal graphs are characterized.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과학태도와 신뢰도가 아동의 과학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Influences of Parental Science Attitudes and Trust Perceived by Children on Their Science Self-Efficacy)

  • 강버들;유병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3호
    • /
    • pp.870-878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nfluences of parental science attitudes and trust perceived by children on their science self-efficacy. In o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quant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elementar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using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children's science self-effic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al science attitudes and trust perceived by both gifted and general children. Secondly, in the case of gifted children, their science self-efficacy was meaningfully affected by mother's trust, mother's science attitudes, and father's science attitudes perceived by them in that order. On the order hand, general children's science self-efficacy meaningfully affected by mother's trust and mother's science attitudes perceived by them.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문제 발견력,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성향, 과학 탐구 능력 비교 (Comparison of Problem Find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Tendency, Science Process Skill between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 고유미;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4호
    • /
    • pp.624-63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roblem find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tendency, and science process skill between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For this study, problem finding ability test, integrating creativity test, and science process skill test were conducted to the elementary gifted students (n=95) in science and the general students (n=149) at the same school distri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ean scores of problem finding, creative thinking, creative tendency, and science process skill of the gifted students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general students. The problem finding ability had partially weak correlation with sub-domains of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tendency, and science process skill. Findings suggest that there are needs of further study about factors affecting problem finding and considering the degree of structure of problem sit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