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der microaggress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여성 직장인의 직장 내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괜찮은 일의 관계: 조직의 성차별 문화로 조절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 and Decent Work of Women Employess: The mediation effet of career adaptability moderated by medi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gender prejudice on career adaptability)

  • 전소영;심예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3호
    • /
    • pp.353-372
    • /
    • 2022
  • 본 연구는 일의 심리학 이론을 기반으로 한국 여성 직장인의 직장 내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괜찮은 일의 관계에서 개인내적 변인인 진로적응성과 맥락적 변인인 조직의 성차별 문화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 여성 직장인 21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직장 내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괜찮은 일과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와 조직의 성차별 문화에 의해 조절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Mplus 7.0 프로그램을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직장 내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괜찮은 일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직장 내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괜찮은 일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는 조직의 성차별 문화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일상 속 성차별 경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veryday Gender Microaggression Scale)

  • 김은하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4호
    • /
    • pp.593-61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간접적이고 미묘한 차별을 의미하는 마이크로어그레션(microaggression)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일상에서 여성들이 경험하는 성차별을 측정하는 척도, '일상 속 성차별 경험 척도(Everyday Gender Microaggression Scale; EGM)'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기존 척도를 고찰하고 설문지와 개인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17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이 후 성인 여성 18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2요인, 14문항을 도출하였다. 또한 다른 성인 여성 표본 219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확인된 2요인과 14문항이 적합함을 재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EGM의 수렴 및 준거관련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성차별 경험을 측정하는 기존의 성차별척도, 우울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EGM의 학문적 의의, 활용방안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