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 absorbent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19초

김치 저장성에 미치는 가스 흡수제의 영향 (Effects of Gas-absorbent on the Storage of Kimchi)

  • 윤경영;강미정;신승렬;윤광섭;김순동;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63-367
    • /
    • 1998
  • 본 연구는 김치의 저장방법을 개선하고자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을 가진 수산화칼륨을 가스흡수제로 사용하여 저장중 pH, 산도, 이산화탄소함량 및 젖산균수 그리고 총균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pH는 저장 8일째 수산화칼륨처리 김치에서 4.02로 가식이 가능했지만 무처리 및 수산화칼슘처리 김치에서는 4.0이하로 감소하여 가식이 불가능했다. 산도는 저장 2일째에 수산화칼륨처리 김치가 수산화칼슘 및 무처리 김치에 비해 다소 낮았으며, 이후 모든 김치에서 급격한 증가하였다. 이산화탄소의 발생은 저장중 가스흡수제를 처리한 김치가 처리하지 않은 김치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총균수는 저장 6일째에 무처리 및 수산화칼슘처리 김치에서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수산화칼륨처리 김치는 저장 8일째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젖산균수의 변화는 모든 김치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젖산균수는 저장 10일째에는 가스흡수제를 처리한 김치가 처리하지 않은 김치에 비해 많았다.

  • PDF

벤토나이트를 활용한 산화마그네슘 경화체의 친환경성 및 열저항 특성 (Eco-Friendly and Thermal Conductivity Properties of Magnesium oxide Matrix Utilizing Bentonite)

  • 권오한;임현웅;이동훈;이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64-65
    • /
    • 2016
  • This study that prevent cancer using absorbent to inflow Radon gas in the room existing soil and rock is making board to absorb the Radon gas as a fundamental study. So, we use bentonite as a absorbent. So, we use bentonite as a absorbent. Bentonite is a 'clay mineral' composed to montmorillonite of main component that volcanic ash denatured to a clay mineral. Bentonite has fine microparticle of nano level, abundant mineral 66 of kinds, adsorbability, swelling, a positive ion(heavy metal adsorption reaction) as a bentonite's property. Using magnesia cement for oxide of magnesiuma and magnesium chloride as a main binder, we measure Radon gas absorbent efficiency and thermal conductivity.

  • PDF

PVDF 중공사막 제조 및 벤치규모 기-액 접촉기를 이용한 SO2 흡수특성 (Preparation of PVDF Hollow Fiber Membrane and Absorption of SO2 from Flue Gas Using Bench Scale Gas-Liquid Contactor)

  • 박현희;조항대;김인원;이형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3호
    • /
    • pp.521-528
    • /
    • 2008
  • 중공사막 접촉기에 적절한 PVDF 중공사막을 상전이 공정에 의하여 제조하였으며, SEM 과 기체투과도에 의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벤치규모 중공사막 접촉기에서 $SO_2$ 제거를 위한 흡수제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기체는 shell side, 액체는 lumen side로 흐르는 counter-current로 실험하였으며, 흡수제의 농도, 기체의 유속, 액가스비, 유입 $SO_2$ 농도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수학적 모델링에 의해 막 물질전달계수($k_m$)를 측정하였다. 흡수제의 농도와 액기비가 증가함에 따라 기-액 계면에서 충분한 알칼리도가 제공되므로, 액체막 저항이 감소하며, 총괄물질전달 용량계수는 증가하였다. 기체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기체막저항은 감소하게 되므로 총괄물질전달 용량계수는 증가하였다.

Performance improvement of countercurrent-flow membrane gas absorption in a hollow fiber gas-liquid membrane contactor

  • Ho, Chii-Dong;Sung, Yun-Jen;Chen, Wei-Ting;Tsai, Feng-Chi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8권1호
    • /
    • pp.35-50
    • /
    • 2017
  • The theoretical membrane gas absorption module treatments in a hollow fiber gas-liquid membrane contactor using Happel's free surface model were obtained under countercurrent-flow operations. The analytical solutions were obtained using the separated variable method with an orthogonal expansion technique extended in power series. The $CO_2$ concentration in the liquid absorbent, total absorption rate and absorption efficiency were calculated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with the liquid absorbent flow rate, gas feed flow rate and initial $CO_2$ concentration in the gas feed as parameters. The improvements in device performance under countercurrent-flow operations to increase the absorption efficiency in a carbon dioxide and nitrogen gas feed mixture using a pure water liquid absorbent were achieved and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current-flow operation. Both goo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greements were achieved between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theoretical predictions for countercurrent flow in a hollow fiber gas-liquid membrane contactor with accuracy of $6.62{\times}10^{-2}{\leq}E{\leq}8.98{\times}10^{-2}$.

Air-lift 반응기내 황화수소제거시 식물정유추출물의 역할 (Role of Plant Extracts to Remove Hydrogen Sulfide in the Air-Lifter Reactor)

  • 박종우;박영규;김정인
    • KSBB Journal
    • /
    • 제25권5호
    • /
    • pp.421-428
    • /
    • 2010
  • 본 논문은 복합흡수제를 이용하여 유해가스를 처리하기 위해 식물정유의 주요구성성분을 파악한 식물정유로 황화수소가스의 처리효율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복합흡수제와 황화수소가스에 의한 제거반응을 위한 적정조건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1) 황화수소가스는 중화반응으로 처리하고 져 할 경우, 식물정유의 화학구조에서 알코올기, 알데히드기, 에스터기 등이 중화반응에 관여한다. 실험결과 앞서 언급한 화학작용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아민계열의 2-아미노에탄올 및 식물정유의 복합흡수제와 황화수소 가스와의 중화반응으로 염을 형성하여 유해가스 제거효율이 98%에 도달한다. 2) 황화수소가스를 제거하는 중화반응의 경우에 온도와 pH에 따라 처리효율이 크게 달라졌다. 높은 온도보다는 낮은 온도에서 제거효율이 거의 98%이상 나타났다. 적정 pH는 중성영역에서 비교적 처리효율을 확인하였다. 3) 황화수소가스의 처리효율은 초기농도에 따라 처리효율이 크게 차이가 나타났다. 황화수소의 초기농도가 1,100 ppm 이상인 경우에 처리효율은 40%로 나타났다. 반면, 240 ppm 이상인 경우에는 10분이내에 황화수소 가스 처리 효율이 90%이상 처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노에탄올아민 흡수제의 열화특성 분석 (Degradation of Aqueous Monoethanolamine Absorbent)

  • 조영민;남성찬;윤여일;문성준;백일현
    • 공업화학
    • /
    • 제21권2호
    • /
    • pp.195-199
    • /
    • 2010
  •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방법은 알카놀아민인 모노에탄올아민(MEA) 용매를 이용한 가역적 화학흡수이다. 이러한 MEA 용매는 $CO_{2}$와 반응성이 우수한 반면 다른 흡수제에 비해 연소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이산화탄소, 산소 및 기타 산성가스들에 의한 흡수제의 성능저하, 부식 및 열화현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유공정의 스팀 리포밍공정으로부터 열화된 MEA 시료를 이용하여 연구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흡수제인 MEA 용매와 열화된 용매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MEA 30 wt% 흡수제와 열화물(DP) 20 wt% + PZ 10 wt% 흡수제의 경우 흡수용량이 각각 $0.5365mol_{CO2}/mol_{absorbent}$$0.5939mol_{CO2}/mol_{absorbent}$로 증진제(PZ)에 의해 흡수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흡수속도는 MEA 30 wt% 흡수제가 $1.1610kg_{f}/cm^2{\cdot}min$로 열화물(DP) 20 wt% + PZ 10 wt% 흡수제의 $0.5310kg_{f}/cm^2{\cdot}min$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열화물 30 wt%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0.3525kg_{f}/cm^2{\cdot}min$보다는 향상되었다. 따라서 적합한 증진제의 선정을 통해 열화물도 $CO_{2}$ 흡수제로서 재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SEWGS 공정용 CO2 흡수제들의 흡수능력에 미치는 조업변수들의 영향 (Effects of Operating Variables on Sorption Capacity of CO2 Absorbents for SEWGS Process)

  • 류호정;김효성;이승용;이동호;김재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6호
    • /
    • pp.994-1001
    • /
    • 2012
  • SEWGS 공정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두 종류의 $CO_2$ 흡수제(PKM1-SU, P4-600)에 대해 가압 회분식 유동층 반응기를 사용하여 각 흡수제의 반응성에 미치는 조업변수의 영향을 측정 및 해석하였다. PKM1-SU 입자와 P4-600 입자 모두 흡수-재생 반복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흡수능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CO_2$ 흡수능력 측면에서는 PKM1-SU 입자가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으나 재생반응온도와 재생반응속도 측면에서는 P4-600 입자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PKM1-SU 입자는 스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O_2$ 흡수능이 증가하였으나 P4-600 입자의 경우 스팀농도 5%에서 10%로 증가함에 따라 $CO_2$ 흡수능이 증가한 후 거의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두 흡수제 모두 최종 재생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CO_2$ 흡수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PKM1-SU 입자의 경우 15 bar 이상에서는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CO_2$ 흡수능력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라돈 흡착형 경화체의 시험 조건에 따른 흡착특성 (Properties Adsorption According to Test Condition of Radon Adsorption-type Matrix)

  • 임현웅;김헌태;권오한;이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09-110
    • /
    • 2016
  • This study is a absorbing Radon gas to occur indoor or outdoor. As a absorbent Radon gas, making cementless abso rbent matrix that accomplish experiment. In other to accomplish this experiment, Confirming Radon gas release ratio and accurating absorption, reduction of a half-life that 3,8 days from Radon gas source, we need to decide Radon absorbent experiment method. So, we accomplish to find Radon measurement method considering properties and a half-life that 3,8 days from Radon gas source. As the experimental factors, After stabilizing of Radon gas source and so on, we accomplish the experiment that is there or not and seal of Radon source.

  • PDF

흡수제 내부순환형 탈황장치의 SO2 제거성능 특성 (SO2 Removal by Internal Circulation of de-SOx Absorbents)

  • 박영옥;박현진;김용하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72-680
    • /
    • 2011
  • Three new granular absorbents were prepared from calcium hydroxide, and applied to an FGD process with internal circulation. The aim of the study was finding the most efficient of the these three applied absorbents for the $SO_2$ removal at high flue gas temperatures. The absorbent is fed to the testing unit at high operation temperature and fluidized inside the FGD system where the sorbent particles react with the $SO_2$ gas. The rate of $SO_2$ decomposition was high in C-type absorbent which had the large surface area. De-SOx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absorbents appeared to be similar to the other conventional agents in this fluidized bed combustor. In particular, the optimum de-SOx condition could be achieved at high mole ratios of Ca to S which can reduce the residual $SO_2$.

철 산화법을 이용한 합성가스내 산성가스 제거 특성 (Acid Gas Removal Characteristics for Syngas using Fe Oxidization Process)

  • 이승종;황상연;유영돈;윤용승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04-807
    • /
    • 2007
  • The acid gas removal (AGR) system was designed and installed to remove $H_2S$ in coal syngas in the pilot-scale coal gasification system for producing chemicals like Dimethyl Ether(DME). The syngas from the coal gasification at the rate of $100{\sim120$ $Nm^3$/hr included pollutants such as fly ash. $H_2S$, COS, $NH_3$, etc. The designed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AGR system are below 50oC and 8 kg/$cm^2$. Fe-chelate was used as an absorbent. $H_2S$ was stably removed below 0.5 ppm in the AGR system when the concentration of $H_2S$ was $150{\sim}450$ ppm. The pH of Fe-chelate solution was also stably maintained between $8{\sim}9$. FeMgO absorbent was also tested to remove $H_2S$ in the lab-scale AGR system and $H_2S$ was also removed below 0.5 ppm in the initial ope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