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lic oleoresi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66초

향신재료를 이용한 Oleoresin제조에 관한 연구 3. 마늘 Oleoresin의 속성제조 (Studies on Oleoresin Product from Spices 3. Rapid Processing of Garlic Oleoresin)

  • 배태진;강훈이;김현주;최옥수;하봉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3-77
    • /
    • 1993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lvents, particle size of a sample, sample to solvent ratio, temperature and time on the extraction of garlic oleoresin. Among eleven solvents used for oleoresin extraction from garlic, the optimal solvent was methyl alcohol. The most appropriate particle size of garlic, extracting temperature and mixing ratio of garlic to methyl alcohol were 20mesh, $25^{\circ}C$ and 1 to 3(w/w),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yield in oleoresin extraction, optimum extracting time was about 4 hours. The yield of oleoresin under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was 21.3%. "L" and "b" as color appearance were decreased, whereas "a"was increased slightly during 60 days storage at 5$^{\circ}C$, $25^{\circ}C$ and 4$0^{\circ}C$. Changes in the pyruvate content showed close relation to pH value. During storage pyruvate content of garlic oleoresin was decreased as increasing storage temperature.

  • PDF

마늘 Oleoresin의 제조 및 저장안정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Keeping Quality of Garlic Oleoresin)

  • 조길석;김현구;권동진;박무현;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46-851
    • /
    • 1990
  • 마늘의 이용성 증진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마늘로부터 oleoresin을 제조하고, 아울러 저장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물, 인산, 마늘 extract 및 poly sorbate를 혼합하고 antifoam agent인 KM-72을 가하여 거품의 생성을 방지한다. 여기에 lecithin을 첨가한 후 온도를 $50{\sim}55^{\circ}C$에서 7분간 유지한 다음, 다시 온도를 $25^{\circ}C$ 이하로 냉각하고, 최종적으로 TBHQ 및 마늘 정유물을 혼합하여 마늘 oleoresin을 제조하였다. 마늘 oleoresin 제조를 위한 적정 조성은 정유물 1.0%, extract 10.5%, poly sorbate 10.0%, KM-72 0.01%, lecithin 18.0%, TBHQ 0.05%, 인산용액 0.15% 및 물 60.0% 였다. 저장 60일 동안 thiosulfinate과 pyruvate 함량 및 관능검사를 기준으로 마늘 oleoresin의 품질을 판정할 때 $55^{\circ}C$ 저장 처리구의 품질저하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25^{\circ}C$ 저장의 경우는 크게 일어났다.

  • PDF

마늘 Oleoresin 추출조건의 최적화 및 저장 중 품질변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Garlic Oleoresin and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Oleoresin during Storage)

  • 김유풍;이길우;오훈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19-226
    • /
    • 2006
  • 마늘의 일시 대량 처리가 가능하고, 맛과 향미의 임의 조절이 가능하여 향신료의 품질을 균일화 및 표준화 시킬 수 있으며 유효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가공형태인 oleoresin을 제조하기 위하여 마늘의 ethanol 추출 조건에 의한 oleoresin의 최적 수율 및 thiosulfmate의 함량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시료 중량에 대한 용매의 적정 혼합 비율은 1:2(w/v)이었으며, 추출 온도와 시간은 각각 $30^{\circ}C$, 3 시간으로 조사되었으며 추출 횟수는 3번씩 추출하였을 때 oleoresin의 최적 수율 및 thiosulfinate의 함량은 각각 14.52%와 $209.93{\mu}mol/g$였다. 또한 위 조건 하에서 제조된 oleoresin의 향기 성분 분석 결과 diallyl disulfide, methyl allyl trisulfide, 3,4-dihydro-3vinyl-1,2-dithiin, 2-vinyl-4H-1,3-dithiin, diallyl trisulfide 등의 5종류의 마늘의 주요 향기 성분인 휘발성 황화합물이 검출되었다. Oleoresin의 저장시 품질 특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4^{\circ}C$$25^{\circ}C$에서 30 일간 저장한 결과 thiosulfinate 함량이 $4^{\circ}C$에서는 $32.37{\mu}mol/g$으로 측정되었으나 $25^{\circ}C$ 저장시에는 거의 측정되지 않았다. 갈색도 및 탁도는 $25^{\circ}C$에서 저장하였을 경우 $4^{\circ}C$ 저장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산도의 경우 저장 온도에 관계없이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아 $4^{\circ}C$에서 저장시 마늘 oleoresin의 품질 특성이 좋게 나타났다.

향미성 Natto의 Nattokinase, ${\gamma}-GTP$, Protease 활성도와 관능적 평가 (Nattokinase, ${\gamma}-GTP$, Protease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of Natto Added with Spice)

  • 김복란;이상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8-233
    • /
    • 1995
  • 일본의 전통 발효 식품인 Natto의 맛 개선을 위한 연구 목적으로 증자대두에 Bacillus natto(NN-1)를 접종하고 마늘 2%와 고추 oleoresin 0.2%를 각각 첨가한 후, $40^{\circ}C$에서 24시간 발효시켜 제조한 Natto에서의 nattokinase 활성은 전 시험구에서 발효 12시간 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4시간 발효하였을 때의 활성은 마늘과 고추 oleoresin 첨가에 의해 활성도가 약간 낮았다. ${\gamma}-GTP$ 활성은 24시간 발효하였을 때 전 시험구간에 활성도가 비슷하였으며 마늘 2%와 고추 oleoresin 0.2% 첨가에 의해 ${\gamma}-GTP$ 활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Protease 활성은 마늘 첨가구에서 발효 8시간에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 24시간에는 전 시험구간에서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맛에서는 oleoresin 첨가구와 마늘, 고추 oleoresin 첨가구가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므로 Natto를 제조할 때 고추 oleoresin 0.2%와 마늘 2%, 고추 oleoresin 0.2%를 혼합하여 Natto를 발효시키는 것이 한국인의 입맛에 적합한 Natto의 맛 개선에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향미성 Natto 제조과정중 당류 및 아미노산 함량 변화 (Changes of Saccharides and Amino Acids in Natto Added with Spice during Fermentation)

  • 김복란;박창희;윤복만;정민철;이상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4-120
    • /
    • 1995
  • Natto is a Japanese traditional food made from whole soybenas by fermentation of Bacillus natto.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mprove the taste of Natto. Natto was compared with the changes in the various chemical properties after it had been produced by the addition of garlic and red pepper oleoresin. the remained content of total sugar fo Natto added with red pepper oleoresin decreased than other groups during 24hours fermentation. The remained content of reduced sugar of Natto added with garlic, red pepper oleoresin increased than other groups. The amount of total free sugar showed almost no differences in the case of garlic and red pepper oleoresin added. Amino type nitrogen content increased gradually after 24 hour fermentation in all samples. Free amino acid content increased in conventinal Natto.

  • PDF

박피마늘 뿌리부분을 이용한 Oleoresin의 제조 및 저장조건 (Preparation and Storage Conditions of Oleoresin from Root Portion of Peeled Garlic)

  • 김상균;차보숙;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21-1326
    • /
    • 1998
  • 박피마늘 제조과정 중 폐기되는 마늘 뿌리부위의 이용을 위해 oleoresin의 제조 및 저장 조건을 검토하였다. 여러 가지 용매를 사용하여 $30{\sim}50^{\circ}C$에서 추출하였을 때 ethanol과 methanol이 $27{\sim}37%$의 높은 고형분 수율을 보여주었고 추출시간은 2시간이 적절하였다. 진공 또는 질소충진 조건에서 저장하였을 때 공기존재하에서 저장한 것보다 pH와 총산도, 색, thiosulfinate의 변화가 현저히 적었다. Thiosulfinate의 함량은 저장중 모든 저장조건에서 감소함을 보였다. 질소충진하에서 저장 중 glucose와 sucrose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유기산은 감소하였다. Oleoresin에 ascorbic acid와 cysteine의 첨가는 저장 중 마늘향기를 보존하는데 유익하였다.

  • PDF

마늘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특성과 갈변억제 효과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Browning Inhibitory Effects of Fresh Garlic by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 강덕순;정승원;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91-297
    • /
    • 2000
  • 마늘을 MAE방법에 의하여 물과 에탄올로 추출한 후 기능성과 갈변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에탄올, 물 추출물의 수율은 5분 동안 추출한 경우 각각 12.9% 및 12.7%이었고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Polyphenol 함량은 5분 추출물이 각각 574.3mg% 및 569.0mg%로 가장 높았다. 에탄올과 물 추출물의 전자공여작용은 20분 추출물의 경우 각자 17.0% 및 20.7% 수준으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 1.2일 때 5분 동안 추출한 추출물이 각각 98.9% 및 99.7%로 가장 높았으며 pH가 증가할수록 효과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저해 효과는 물 추출물의 경우 5분 추출물이 83.1%로 가장 높은 것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은 87.1%로 20분 동안 추출 하였을 때 그 값이 제일 높았다. Tyrosinase 저해효과는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30%이하로 매우 낮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15분 에탄올 추출물은 60%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들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 대해 0.1% ascorbic acid, citric acid 및 cysteine으로 10일 동안 갈색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 비해 0.1% cysteine이 가장 높은 갈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0.1% ascorbic acid는 cysteine보다는 낮은 갈변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0.1% citric acid는 대조구와 비슷한 갈변화 진행을 나타내었다. 갈색화 억제 상승 효과는 0.1% cysteine과 ascorbic acid를 첨가한 실험구가 citric acid를 첨가한 실험구에 비해 효과적인 갈색화 억제를 나타내었다.

  • PDF

마늘 Oleoresin 제조시 휘발성성분에 관한 추출용매효과 (Effect of Extraction Solvent on Volatile Compounds of Garlic Oleoresin)

  • 정은주;김종필;조지은;이재우;이양봉;김우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33-1037
    • /
    • 2001
  • 마늘의 이용성 증진에 관한 기초자료와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마늘 oleoresin 제조과정 중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알기 위해 휘발성 향기성분을 4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농축한 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 분석 검출기 (mass selective detector)를 이용하여 polar(Supelcowax-$10^{TM}$)와 nonpolar capillary column(HP-5)에서 각각 분리, 동정하였다. 용매에 따른 oreoresin 추출을 보면 methanol을 사용하여 추출한 경우가 가장 peak area가 높았고 그외 acetone, methy acetate, hexane을 사용한 경우는 비슷하였다 Polar capillary column에서 총 41종이 분류되었고, pyran 및 그 유도체 물질 13종, 황화합물이 11여종, furan 및 그 유도체들이 6종, alcohol류 2종 분류되었고 그밖에도 2종의 heterocyclic compound가 각각 확인되었다. Nonpolar capillary column에서는 32종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고, pyran및 그 유도체물질이 11종, 황화합물 11여 종, acid류 5종, pyran 및 그 유도체들이 3종 그밖에 eugenol 등이 나타났다. Nonpolar 보다 polar에서 휘발성성분의 다량 검출되었으며, 대부분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극성이 강한 methanol에서 잘 추출되었지만 마늘의 주요휘발성 성분인 황화합물 즉, 3,3'-thiobis 1-propene, methyl 2-propen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di-2-propenyl -trisulfide, 2-thiophenecarboxylic acid는 비극성용매인 methyl acetate와 hexane에서 잘 추출되었다.

  • PDF

향미성 Natto의 향기성분, 지방산 및 유기산 함량 분석 (Flavor Component, Fatty Acid and Organic Acid of Natto with Spice Added)

  • 김복란;박창희;함승시;이상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19-227
    • /
    • 1995
  • Natto is a Japanese tradiational food made from whole soybeans by the fermentation of Bacillus natto.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mprove the taste of Natto, garlic(2%) and red pepper oleoresin(0.2%) were added. Conventional Natto(N-1), garlic Natto(N-2), red pepper oleoresin Natto(N-3), garlic and red pepper oleoresin Natto(N-4) were prepared. Volatile flavor components, fatty acid, organic acid, pH and titratable acdity in all samples were investigated.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e presence of 62 volatile components in conventional Natto. Among there, the major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to be 2, 5-dimethylpyrazine, trimethyl-pyrazine, 2, 6-bis91, 1-dimethylethyl) phenol. Seventy-one volatile compounds were detected in N-2, and major compounds were identified to be methyl-2-propenyl disulfide, 2, 6-bis(1, 1-dimethylethyl)phenol and 2, 5-dimethylpyrazine. The amounts of volatile compounds, 2-methyoxyphenol and 1, 2-benzenedicarboxylic acid increased by addition of garlic, where as, 1,2 -propanediol, 1-hexanol and 2, 5-dimethylpyrazine decreased. The compounds, 4, 5-dihydroxy-5-propyl-1H-pyrazole, 1, 1, 3-trimethylcyclopentane were identified in N-3. The compounds, such as trimethylpyrazine, 3-ethyl-2,5-dimethylpyrazine increased by addition of red pepper oleoresin, whereas 1,2-propanediol, 1-hexanol and 2,5-dimethylpyrazine decreased.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mainly consisted of linoleic acid(43.66~55.89%) and followed by oleic, palmitic, linolenic, stearic, arachidic, myristic acid. The organic acids we4re identified to be citric(28.2~30.6), acetic(50.0~73.3) and pyroglutamic acid(2.1~3.7).

  • PDF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공정에 의한 마늘의 올레오레진 함량 및 기능적 특성 (Oleoresin Content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Fresh Garlic by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 김현구;권영주;곽희진;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29-335
    • /
    • 1999
  • 마늘을 MAE 방법과 CE 방법에 의하여 각각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고 추출조건에 따른 올레오레진 수율과 기능성을 비교하였다. 추출조건을 달리하였을 때 추출방법에 따른 올레오레진 함량의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최적 추출시간이 CE의 경우 2시간인 반면 MAE에서는 5분 내외로 추출시간이 크게 단축되었다. 전자공여작용은 물 추출의 경우 두 가지 추출방법에서 모두 64% 이었고 에탄올 추출의 경우는 CE 및 MAE에서 각각 63%와 51%로 모든 추출물에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모든 추출물에서 PH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pH 1.2의 경우 90% 이상의 높은 소거작용을 보였으며 추출방법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Tyrosinase 저해작용은 물 추출물의 경우 CE 및 MAE에서 각각 47% 및 60%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은 이와 비슷하거나 낮은 45%와 39%의 저해작용을 나타내었다. ACE 저해작용은 CE보다 MAE 추출물의 경우 더욱 강한 활성을 나타냈으나 효소와의 반응시간에 따른 뚜렷한 증가현상은 없었다. 또한 pyruvic acid 함량에서는 물 추출물의 경우 CE와 MAE 각각 마늘 1 g당 44.8 및 $36.0{\mu}moles$이었고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이보다 낮은 28.6과 $32.0{\mu}moles$을 나타내어 추출방법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