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lic bulbs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9초

저장 마늘의 녹변현상에 관한 연구 (On the Development of Flesh Greening of the Stored Garlic)

  • 김동만;김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0-55
    • /
    • 1990
  • 녹변현상을 나타내는 마늘의 주요 구성성분의 함량을 건전한 마늘과 비교하였고 녹변의 진행에 관련한 몇 가지 인자의 영향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늘에 함유된 유기산 중 피르브산 및 숙신산, 아미노산 중 아르기닌, 지방산 중 리놀레산 및 리놀렌산은 녹변이 발생하는 마늘이 건전한 마늘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으며 전기영동에 의한 단백질의 양상에 있어서는 45-66.2kd 부근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한편 마늘의 녹변반응은 pH, 온도, 반응시간 및 에틸알콜농도에 의존성을 보였으며 pH 5.5의 완충용액에 현탁시켜 $50^{\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시 녹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습식 마늘박피 시스템 개발 (II) - 다수의 노즐이 배열된 원통형 챔버를 이용한 박피 실험 (Development of a Garlic Peeling System Using High-Pressure Water Jets (II) - Garlic peeling by cylindrical chamber with drilled nozzles -)

  • 양규원;배영환;백성기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9권3호
    • /
    • pp.225-232
    • /
    • 2004
  • A new type of garlic peeling chamber has been developed which separates and peels garlic cloves using high-Pressure water Jets. The cylindrically-shaped chamber was fabricated with stainless steel plate and has a number of drilled holes, which function as solid-stream spray nozzles, on its interior wall. The chamber wa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ection so that water can be applied at different pressures from each section. Three chambers of similar design were tested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s according to various pressure levels. The stronges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pressure difference(lower-upper) and the proportion of unseparated and completely-peeled garlic cloves. Hanji-type garlic required higher or pressure difference to separate cloves from garlic bulbs than nanji-type garlic. On the other hand, protective leaves(skin) from the cloves were peeled more easily in case of hanji-type garlic. As a result of three consecutive peeling operations, the proportion of completely-peeled garlic cloves changed in the order of 80.1, 82.6, 84.1% in case of hanji-type, and 19.6, 29.1, 40.2% in case of nanji-type garlic.

First Report of Bulb Canker of Garlic Caused by Embellisia allii in Korea

  • Lee, Hyang-Burm;Kim, Chang-Jin;Yu, Seung-Hun
    • Mycobiology
    • /
    • 제30권4호
    • /
    • pp.240-243
    • /
    • 2002
  • Embellisia allii causing bulb canker of white garlic(Allium sativum) has been observed on harvested or stored garlic bulbs. Identification of the fungus was determined based on the symptom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n in vitro potato dextrose agar(PDA) and malt extract agar(MEA). Colonies were effuse, blackish brown to black, velvety or powdery. Conidia were solitary, almost straight, most commonly ellipsoidal(or subcylindrical) to ovoid, mid to dark brown, smooth, with very dark 1 to 6 transverse(commonly $3{\sim}4$) and occasionally 1 or 2 oblique or longitudinal septa, and $30.4{\times}13.4{\mu}m$(av.). Conidiophores were simple or branched, straight or flexuous, up to 80 ${\mu}m$ long and $5.1{\sim}10.2{\mu}m$ thick. Chlamydospores were developed through enlargement and repeated cellular division of several adjacent hyphal cells to form a complex of thickwalled cells. The conidial measurements of garlic isolates closely matched the previous description of E. allii.

도입(導入) 마늘구(球)의 인편(鱗片) 특성(特性) (Clove Characteristics of Bulbs of Introduced Garlic Strains)

  • 이우승;이하윤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9권
    • /
    • pp.1-9
    • /
    • 1991
  • 도입(導入) 마늘인 상해조생(上海早生)과 스페인계(系)를 대상으로 1990년산(年産)을 시장(市場)에서 구입(購入)하여 구중(球重)의 크기별로 나누어 구(球)의 해부적(解剖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였고 이들을 포장(圃場)에서 재배(栽培)하여 수확후(收穫後) 역시 구중(球重)을 크기별로 나누어 구(球)의 해부적(解剖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1. 구형(球型)은 두 계통(系統) 다같이 구(球)가 큰것 일수록 편평형(扁平形)을 나타내었다. 2. 구당(球當) 인편수(鱗片數)는 구(球)가 큰것 일수록 인편수(鱗片數)는 증가(增加)하였으며 동일(同一) 크기의 구(球)에서도 스페인계(系)는 상해조생(上海早生)에 비하여 구(球)당 인편수(鱗片數)가 많았다. 3. 외층(外層)과 내층(內層)의 인편수(鱗片數)의 비교(比較)에서는 상해조생(上海早生)은 1990년산(年産)의 외층(外層)에 착생(着生)된 인편(鱗片)이 많았으나 1991년산(年産)의 구중(球重) 35g 이하에서는 내층(內層)의 인편수(鱗片數)가 많았다. 스페인계(系)에서는 1990년산(年産)의 구중(球重) 40g 이상에서는 내층(內層)의 인편수(鱗片數)가 많았으나 1991년산(年産)에서는 구(球)의 크기에 관계없이 외층(外層)의 인편수(鱗片數)가 많았다. 공시(供試) 두계통(系統) 다같이 구(球)가 큰것일수록 외층(外層)에서나 내층(內層)에서 착생(着生)된 인편(鱗片)의 수(數)가 증가(增加)하였다. 4. 일차인편수(一次鱗片數)와 총인편수(總鱗片數)의 차이(差異)는 두 계통(系統) 다같이 매우 적어 이차생장(二次生長)은 매우 적었으나 상해조생(上海早生)은 스페인계(系)보다 이차생장(二次生長)이 많은편 이었다. 5. 스페인계(系)와 상해조생(上海早生)의 1990년산(年産)에서는 외층(外層)의 인편중(鱗片重)이 내층(內層)의 그것보다 뚜렷이 무거웠으나 상해조생(上海早生)의 1991년산(年産)에서는 이러한 경향(傾向)이 뚜렷하지 않았다. 6. 두 계통(系統) 다같이 소구(小球)에서는 인편(鱗片)의 크기의 범위가 좁고 대구(大球)에서는 인편(鱗片)의 크기의 범위가 넓었다. 구(球)당 인편(鱗片)의 크기별 수의 빈도(頻度)는 구(球)의 크기에 관계없이 중간 크기의 인편(鱗片)에서는 그 빈도(頻度)가 많았으며 대구(大球)일수록 큰 인편의 수가 많았다. 동일(同一) 크기의 구(球)에서는 상해조생(上海早生)이 스페인계(系)보다 인편(鱗片)이 컸다.

  • PDF

스마트팜 생산 새싹마늘의 부위별 및 생육 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arts of garlic sprouts produced by smart farms during growth)

  • 최유리;김수환;이채미;이동훈;이채윤;조형우;정재희;오임경;하호경;김정실;허창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72-28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팜에서 생산된 새싹마늘의 부위별과 생육기간별의 품질을 비교하였다.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과 조회분의 경우 생육기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생육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모든 시료구에서 주요 유리당은 fructose로 나타났으며, 주요 유기산은 oxailc acid와 citric acid로 나타났다. 새싹마늘의 총유리당과 유기산은 생육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무기성분은 모든 시료구에서 K와 P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났으며, 새싹마늘의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새싹마늘의 유리아미노산은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새싹마늘의 어린잎(SL)을 제외한 다른 시료구들의 argine은 감소하였으며, glutamic acid는 새싹마늘의 뿌리(SR) 시료구를 제외한 모든 시료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lliin은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total thiosulfinate는 일반 마늘 89.24 mmol g-1, 새싹마늘 71.16-82.36 mmol g-1으로 나타났다. 총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분석 결과 총폴리페놀 함량은 생육기간에 길어짐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플라보노이드는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새싹마늘의 DPPH와 ABTS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및 SOD 유사 활성은 각각 37.45-65.47%, 59.12-89.81% 및 89.52-98.59%로 일반 마늘 대비 발아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새싹마늘은 일반 마늘 대비 발아에 의해 기능성 성분과 생리활성이 향상되었으며, 최적 생육기간은 20일로 나타났다. 이는 기능성 및 식품 가공 소재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통마늘 세척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ashing System for Garlic Bulbs)

  • 김종훈;권기현;이충호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5-302
    • /
    • 2003
  • 마늘(Allium sativum L.)은 독특한 풍미로 옛날부터 우리 식생활에 중요한 향신료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마늘은 백합과(Lil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채소로서 우리나라 채소류 중 재배면적으로 볼 때 배추, 무, 고추 다음으로 많이 재배되는 주요 작물이며, 최근 여러 가지 약리작용과 항균작용, 항산화 작용 등이 밝혀지면서 생리활성식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중략)

  • PDF

마늘의 경정배양에서 기내인경구 대량생산을 위한 2단계 배양의 도입 (Introduction of two-step culture method for multiple seed bulb development from shoot tip culture of garlic (Allium sativium L.))

  • 황혜연;이영복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75-80
    • /
    • 2008
  • 마늘의 경정을 기내배양하여 대량의 기내종구를 생산하기 위한 다신초의 유기 및 기내구의 비대조건을 찾고자 배지의 당의 농도를 다르게 하고 또한 생장조절물질을 첨가하여 신초의 대량발생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대형배양용기를 이용하여 대량생산을 하기 위한 tank배양에서 신초의 분화와 기내구의 발달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경정배양에서의 shoot 발생이나 기내구 형성 모두 3% sucrose 첨가 MS고체배지에서 8% 보다 양호하였으며, 생장조절물질의 효과는 2 mg/L 2iP와 0.2 mg/L IAA의 혼합처리에서 shoot 발생과 bulb의 형성수가 양호하였다. 이 처리구에서 발생한 shoot와bulb의 수는 각각 3.3 및 2.7개로 나타났다. 다신초를 유도할 수 있는 조건의 배지에서 경정을 2개월 동안 배양하여 다신초를 분화시킨 후, 20 L water tank를 이용하여 sucrose 농도를 3%와 8%로 설정한 MS액체배지에 옮겨 45일간 배양한 후에 bulb형성을 조사하였을 때 유식물체의 생육에 있어서는 3% sucrose 첨가조건에서 8% 첨가배지보다 양호하였다. 그러나 기내구의 형성이나 생장에 있어서는 sucrose의 농도가 8%일 때 보다 효과적이었다. 경정배양에서의 다신초의 초기생산에는 3% sucrose조건에서 양호한 효과를 보이고 있으므로 마늘의 인경구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신초의 생산과 구비대 과정을 구분하는 2단계 배양법을 도입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Tank배양시 배지에 0.2 mg/L BA, 0.02 mg/L NAA를 첨가한 처리에서 양호하였으며 NAA 농도가 높을 수록 유식물체의 생육이나 구비대의 효과는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국내 재래종 마늘의 인편 특성 (Bulb and Clove Characteristics Local Garlics in Korea)

  • 최재을;김정선;장원석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1-5
    • /
    • 1997
  • 마늘의 육종의 기초자료를 얻고져 주요산지 4지역에서 국내 지방종의 구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방종의 인편수는 4에서 15쪽까지 널리 분포하였으나 6-8 쪽마늘이 70%이상을 점하였다. 국내수집종의 인편무게는 1에서 7.6g까지 넓게 분포하였으나 대부분은 3g이상이 60%이상을 차지하였다. 국내수집종의 인편 평균무게는 수집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대부분이 6-8쪽 마늘에서 가장 무거웠다. 국내수집종의 구중은 인편수가 증가할수록 무거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