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lic, extract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2초

Antioxidant mechanism of black garlic extract involving nuclear factor erythroid 2-like factor 2 pathway

  • Ha, Ae Wha;Kim, Woo K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1권3호
    • /
    • pp.206-213
    • /
    • 2017
  • BACKGROUN/OBJECTIVES: Although studies have revealed that black garlic is a potent antioxidant, its antioxidant mechanism remains unclea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black garlic's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ssible antioxidant mechanisms related to nuclear factor erythroid 2-like factor 2 (Nrf2)-Keap1 complex. METHODS/MATERIALS: After four weeks of feeding rats with a normal fat diet (NF), a high-fat diet (HF), a high-fat diet with 0.5% black garlic extract (HF+BGE 0.5), a high-fat diet with 1.0% black garlic extract (HF+BGE 1.0), or a high-fat diet with 1.5% black garlic extract (HF+BGE 1.5), plasma concentrations of glucose, insulin,homeostatic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were determined. As oxidative stress indices, plasma concentrations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8-isoprostaglandin $F2{\alpha}$ (8-iso-PGF) were determined. To measure antioxidant capacities, plasma total antioxidant capacity (TAC) and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in plasma and liver were determined.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antioxidant related proteins such as Nrf2, NAD(P)H: quinone-oxidoreductase-1 (NQO1), heme oxygenase-1 (HO-1), glutathione reductase (GR),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lpha 2 (GSTA2) were examined. RESULTS: Plasma glucose level, plasma insulin level, and HOMA-IR in black garlic supple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P < 0.05) lower than those in the HF group without dose-dependent effect. Plasma TBARS concentration and TAC in the HF+BGE 1.5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HF group. The activities of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were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in the HF+BGE 1.0 and HF+BGE 1.5 groups compared to those of the HF group.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hepatic Nrf2, NQO1, HO-1, and GSTA2 were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in the HF with BGE groups compared to those in the HF group. CONCLUSIONS: The improvements of blood glucose homeostasis and antioxidant systems in rats fed with black garlic extract were related to mRNA expression levels of Nrf2 related genes.

마늘장아찌의 휘발성 함황화합물 (Volatile sulfur compounds in pickled garlic)

  • 김미리;모은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3-139
    • /
    • 1995
  • Solvent extract of homogenates of fresh garlic or pickled garlic was subjected to GC-MS analysis, which showed 30 volatile sulfur compounds for fresh garlic and 20 compounds for processed one. Maior sulfur compounds from fresh garlic extract were identified to be 3-vinyl-[4H]-1,2-dithiin, diallyl disulfide,3,4-dimethylthiophene and methyl allyl sulfide. Meanwhile, the number of volatile compounds from pickled garlic decreased gradually during storage. Diallyl disulfide, methyl allyl trisulfide and diallyl trisulfide were major volatile sulfur compounds from pickled garlic stored for 50 days. It is appeared that the amount of trisulfides in pickled garlic increased gradually during storage, in contrast to the amount of dithiins and monosulfides in pickled garlic decreased.

  • PDF

흑마늘 추출물이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Extract on Ethanol Induced Hangover in Rats)

  • 양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5-23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숙취용 음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를 대상으로 흑마늘 추출물 130 mg/kg과 260 mg/kg을 각각 40% 알코올(5 g/kg, B.W.) 투여 30 분 전과 30 분 후에 경구 섭취시키고 1, 3 및 5 시간 동안 경시적으로 혈액 중의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간조직 중의 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활성과 간지표 효소인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및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알코올 투여 30 분 전에 흑마늘 추출물을 경구 섭취시켰을 때 혈 중 알코올의 농도는 시간 경과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알코올 투여 후 5 시간 경과 시 알코올 투여 대조군에 비하여 흑마늘 추출물 투여군이 28.5%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혈 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는 알코올 대조군에 비하여 흑마늘 추출물 투여군이 매우 감소하였다. 알코올 투여 30 분 후 흑마늘 추출물을 투여한 것은 알코올 투여 30 분 전의 실험군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 조직중의 ADH 활성은 정상군과 흑마늘 추출물 투여군 모두 큰 변화는 찾아 볼 수 없었으나 ALDH의 활성은 약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혈청 ALT, AST 활성은 대조군과 흑마늘 추출물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흑마늘 추출물의 섭취가 간 기능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로 보아 안전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흑마늘 추출물을 첨가한 화장품의 기능성 평가: Tyrosinase와 Elastase 저해 활성 및 산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중심으로 (Physiological Effects of Formulations Added with Black Garlic Extract on Skin Care: Oxidative Stress, Tyrosinase and Elastase Activities)

  • 정은영;홍양희;김선희;서형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62-668
    • /
    • 2010
  • 본 연구는 흑마늘을 함유한 화장품 시료에 대해 in vitro에서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활성과 hairless 마우스를 이용해 in vivo에서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흑마늘 화장품은 대조 화장품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피부 투과율을 나타내었으며(p<0.05, p<0.01) 흑마늘 화장품은 대조 화장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tyrosinase(p<0.05, p<0.01, p<0.001)와 elasetase(p<0.01) 활성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UVB로 증가된 피부조직내 지질 과산화물과 과산화수소의 생성에 대해 대조 화장품에 비해 흑마늘 화장품은 더 높은 억제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흑마늘이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의 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마늘추출물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검사 (Sensitivity Test on the Food Poisoning Bacteria of the Garlic Extract)

  • 윤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39-349
    • /
    • 2009
  • 마늘은 오랫동안 그 가치가 높이 평가되고 있으며 약용, 항균 및 살균효과적인 특성으로 인해 실제로 사용되어오고 있다. 본 연구는 마늘추출물의 천연식품보존제 개발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어졌으며 신선한 마늘추출물과 이를 증류수로 희석한 마늘추출물들을 사용하여 6종의 식중독균 즉, S. aureus, E. coli, S. typhimurium, V. parahemolyticus, B. subtilis, L. monocytogenes들에 대한 감수성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그람양성균 치료에 사용되는 Vancomycin과 그람음성균 치료에 사용되는 Imipenem을 대조로하여 이들 균주에 대한 항균력과 비교하였다. 마늘추출물에서 6균주 모두에 대해 강한 감수성을 보이거나 혹은 중등도의 감수성을 보였는데 V. parahemolyticus만은 마늘추출물의 원액에서만 항균력이 나타났고 희석한 농도에서는 항균력이 없었다.

화장품 소재로서의 흑마늘 추출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 -1차 피부자극 실험 및 감작성 중심으로- (Safety Evaluation of Black Garlic Extract for Development of Cosmeceutical Ingredients -Skin irritation and Sensitization Studies-)

  • 이현순;김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213-1219
    • /
    • 2010
  • 본 연구는 흑마늘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그 기능성을 in vitro에서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피부노화에 관여하는 두 효소의 활성을 모두 저해하였다. 흑마늘 추출물을 hartley계 기니픽 수컷을 사용하여 피부 1차 자극 실험을 실시한 결과 1차 피부자극지수(P.I.I.)가 0.23으로 practically non-irritation(비자극성)에 해당하는 자극으로 피부 자극이 거의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Maximization test법으로 피부 감작성을 확인한 결과 시험물질에 의한 홍반과 부종 등이 전혀 유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흑마늘 추출물에 대한 기니픽의 피부 감작율은 0%로, 피부에 대한 피부 감작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흑마늘 추출물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기능성과 안전성확보된 소재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Sclerotirum cepivorum에 대한 마늘 재배종의 저항성 검정 (Screening for Resistance of Garlic Cultivars to White Rot Caused by Sclerotium cepivorum)

  • 이용훈;이왕휴;이두구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94-597
    • /
    • 1998
  • The optimal quantity of inoculum was determined to screen resistance of garlic cultivars against Sclerotium cepivorum and 30 cultivars was tested. The growth of the pathogen in detached roots, Disease incidence was increased when the inoculum density was raised form 10 to 100 sclerotia. The optimal inoculum density to differentiate resistance or susceptibility of garlic cultivars was seemed to be 50 sclerotia. The cultivars collected from England, Japan, Nepal and Turkey, and cultivars such as common red, PI1356104 and PI135693 were less than the other cultivars in their disease incidence. The growth of S. cepivorum in detached roots varied from 23 to 33 mm according to garlic cultivars.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disease incidence and the growth in detached roots. The sclerotial germinatio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root extract was extract was added. The addition of only distilled water resulted in 13% germination, but the addition of 0.25 g of root extract in 100 ml distilled water resulted in more than 85% germin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timulation of sclerotial germination among cultivars which showed different resistance.

  • PDF

Effects of Garlic and Thyme Extract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Broiler Chicks

  • Amouzmehr, Anvar;Dastar, Behrouz;Nejad, Jalil Ghassemi;Sung, Kyung-Il;Lohakare, Jayant;Forghani, Fereidou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3호
    • /
    • pp.185-190
    • /
    • 2012
  • A total of 800 one-day-old chickens (Cobb 500) were obtained from a local hatchery and allocated randomly to five dietary treatments. This study conducted for 42 d. Treatment groups included 1) CON (control), 2) T0.3 (0.3% of thyme extract), 3) T0.6 (0.6% of thyme extract), 4) G0.3 (0.3% of garlic extract) and 5) G0.6 (0.6% of garlic extract). Thyme extract included $90{\mu}g/ml$ Carvacrol and 400 mg/ml thymol while garlic extract included 100 mg/ml elastin.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among the treatments on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over the entire trial.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CON group and other treatments in plasma parameters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HDL) and hematocrit. Sex of chickens had no effect on blood parameters. Supplementation of herb extracts did not affect carcass characteristics including carcass yield, breast, thigh and abdominal f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in carcass characteristics between males and females fed with different levels of herb extracts.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garlic and thyme extracts as feed additives at two levels of 3 and 6% in the present study did not improve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of broiler chicks.

흑마늘 추출액의 첨가가 식빵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lack Garlic Extra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 왕숙자;이정훈;이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283-1289
    • /
    • 2013
  • 식빵 제조 시 흑마늘 추출액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품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제품의 부피 및 비용적, 수분활성도, crumb 조직감 및 색도, 관능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부피 및 비용적은 대조구가 가장 컸고 흑마늘 추출액 첨가량이 많을수록 작아졌다. Rheometer에 의한 경도, Max. G, 검성 및 응집성 모두 대조구에 비하여 흑마늘 추출액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높아져 부드럽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의 경우 5% 첨가구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색도 측정에서 L값은 흑마늘 추출액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아졌고, a와 b값은 높아져 어두운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 흑마늘 추출액 5% 첨가구가 향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대조구 및 다른 시험구들에 비교하여 높은 점수를 얻어 흑마늘 추출액 5%까지는 첨가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중 지용성 성분의 암세포증식 억제효과 연구 (A Study on the Cytotoxic Activity of Garlic(Allium Sativum) Extract Against Cancer Cells)

  • 손흥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2호
    • /
    • pp.135-147
    • /
    • 1990
  • 본 연구는 유기용매로 추출한 마늘의 항암성 성분을 in vitro에서 흰생쥐의 백혈병성 임퐈모 세포인 L$_{1210}$과 P${388} 및 인체 직장암 세포인 HRT-18과 인체 결장암 세포인 HCT-48과 HT-29 또한 invivo에서 흰쥐 복수 육종암세포인 sarcoma-180세포를 대상으로 선별 시험한 것이다. S-180을 제외한 각 암세포는 in vitro에서 마늘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시험하였다. 암세포의 증식억제효과는 마늘의 석유에텔추출물이 알코올추출물보다 높았다. 마늘의 지용성 성분은 in vitro에서 흰생쥐의 백혈병성 임퐈모 세포, 인체 직장암 및 결장암 세포에 대해 항암효과물을 나타내었다. 각 암세포의 증식률은 첨가한 마늘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한 영향을 보였다. Petroleum ether/ethyl ether/acetic acid(90:10:1, v/v/v)의 전개용매로 사용한 TCL에서 분리한 유효한 활성성분의 Rf치는 0.18이었고, 정제하지 않은 마늘추출물보다 L$_{1210}$세포에 대해 2.3배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S-180 암세포로 유발한 흰생쥐에 마늘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 투여하지 않은 군보다 생존 기간이 1.5내지 2배 가량 연장효과를 보였다. S-180 암세포를 함유하고 있는 흰 생쥐에 마늘추출물(3ug/head)을 복강내 주사하고 3시간 후에 관찰한 결과 S-180 암세포의 뚜렷한 형태변화를 관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