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rrow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7초

기관피부누공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Tracheocutaneous Fistula)

  • 이형석;김현수;심봉택;태경;박철원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42-145
    • /
    • 1995
  • The tracheocutaneous fistula(TCF) may develop infrequently as a complication after tracheostomy. Prolonged tracheostomy tube dependence increases the risk of TCF developing, and in growth of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lines the furrow connecting the tracheal mucosa and the skin, accounting for persistence of the fistulous tract. Such fistulas are a nuisance and create nursing and social problems including poor hygiene, aspiration, difficulty with speech, and depletion of pulmonary reserve. Surgical closure has generally been successful by primary closure, fistulectomy with primary closure, and closure by secondary intention following excision of the tracheocutaneous fistula. No large series compares the efficacy of these techniques and each has its own merits. Recent literature has purposed to minimizing complications. For ten years, from January 1985 to December 1994, the authors experienced 25 cases of TCF which were analyzed in respect to incidence and interval of cannulation, duration between decanulation and fistular closure, precedent disease, closure methods, and complications of TCF repair.

  • PDF

자외선에 의한 양서류 수정난의 발생 결함 (Developmental Lesions in Amphibian Embryos Induc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of the Fertile Egg)

  • Chung, Hae-Moon;George M. Malacinski;Kim, Byeong-Gee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9-122
    • /
    • 1977
  • 양서류 수정난의 식물반구를 제 1난할 전에 자외선 조사를 하면 신경관 형성에 독특한 변형을 유발한다. 자외선에 대한 감응도는 수정에서 제 1난면이 나타나기까지의 2/3시기에 급격히 저하된다. 주사 전자현미경 사진은 자외선을 받은 배아의 표피세포들의 크기가 감소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외배엽 교환이식 실험은 자외선을 받은 배아의 외배엽이 아직도 완전히 정상적인 신경조직과 표피를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위의 사실들은 낭배기간중 함입능력의 저하와 일차형성체의 유도능력의 감퇴와 관련시켜 설명하였다.

  • PDF

Aspergillus cumulatus sp. nov., from Rice Straw and Air for Meju Fermentation

  • Kim, Dae-Ho;Kim, Seon-Hwa;Kwon, Soon-Wo;Lee, Jong-Kyu;Hong, Seung-Beo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3호
    • /
    • pp.334-336
    • /
    • 2014
  • A new species named Aspergillus cumulatus sp. nov. is described in Aspergillus section Aspergillus (Eurotium state). The type strain (KACC $47316^T$) of this species was isolated from rice straw used in meju fermentations in Korea, and other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air in a meju fermentation room. The species is characterized by growth at a wide range of water activities and the formation of aerial hyphae on malt extract 60% sucrose agar (ME60S) that resemble a cumulus cloud. Furthermore, A. cumulatus produces yellow ascomata containing small lenticular ascospores (5.1-5.7 ${\mu}m$) with a wide furrow, low equatorial crests, and tuberculate convex surface. The species is phylogenetically distinct from the other reported Aspergillus section Aspergillus species based on multilocus sequence typing using rDNA-ITS, ${\beta}$-tubulin, calmodulin, and RNA polymerase II genes.

Stereo image를 이용한 Skin furrows에 대한 연구 (Evaluation of Skin Furrows using Stereo image)

  • 안혜정;김민기;문종섭;오칠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6-40
    • /
    • 1996
  • There are two prevailing techniques, mechanical and optical profilometers, to measure 3-dimensional configurations of the human skin furrows. The methods have some limitations such as, accuracies or resolutions of the acquired 3-dimensional data and consistencies according to the repeated experiments. We devised an optical profilometer that is called stereo image optical profilometer (SOP) based on stereo image processing techniques. A stereo image is a pair of images that obtained from two cameras which have different angles. From the digital stereo images, the clinical informations for skin can be obtained by som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3-dimensional graphical visualizations of the structures and state of the skin furrows by solving the corresponding problem from the left and right pairs of the stereo images.

  • PDF

2조형(條型) Combine의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Utilzation of Two Furrow Combine)

  • 이상우;김성래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95-104
    • /
    • 1976
  • 도입(導入)된 2조용(條用) Combine으로 통일(統一) 및 밀양(密陽) 15호(號) 수도품종(水稻品種)에 대(對)한 포장수확작업(圃場收穫作業)을 실시(實施)하여 Combine의 작업정도(作業精度) 작업성능(作業性能) 기계적(機械的)인 적응성(適應性)을 파악(把握)하고 한국(韓國)에서의 보급전망(普及展望)을 분석검토(分析檢討)한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장간종(長稈種)인 밀양(密陽)15호(號)에 대(對)한 Combine 수확작업(收穫作業)은 수확적기(收穫適期)로 부터 13일(日) 경과후(經過後)까지 5회(回)에 걸쳐 시기별(時期別)로 수확작업(收穫作業)을 실시(實施)한바 완숙도(完熟度)에 관계(關係)없이 수확작업(收穫作業) 양호(良好)하였으며 포장손실율(圃場損失率) 1% 미탈곡율(未脫穀率) 1%로 양호(良好)한 편(便)이었다. 2. 단간종(短稈種)인 통일(統一)에 대(對)한 Combine 수확작업(收穫作業)은 완숙기(完熟期)로 부터 수확시기(收穫時期)가 경과(經過)될 수록 포장손실(圃場損失)이 Fig 1과 같은 경향으로 5.13%에서 10.34%로 증가(增加) 하였으며 통일(統一)벼 수확(收穫)을 위(爲)하여는 기계적(機械的)인 개선(改善)이 많이 요망(要望)되었다. 3. 공시(供試)된 Combine은 장간종용(長稈種用)의 기종(機種)이어서 벼 이삭의 높이가 균일(均一)치 못한 단간종(短稈種) 통일(統一)벼는 탈곡부(脫穀部)의 공급(供給) Chain과 급실(扱室)과의 거리가 커서 급동(扱胴)의 급치(扱齒)에 못미치는 부분(部分)이 있어 미탈곡립율(未脫穀粒率)이 평균(平均) 1.6%이었다. 4. Combine 탈곡부(脫穀部) 급동(扱胴)의 회전수(回轉數)(240~350R.P.M)와 동할미(胴割米)의 관계(關係)는 통일(統一) 및 밀양(密陽)15호(號) 양품종(兩品種) 모두 동할율(胴割率)이 1% 미만(未滿)으로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5. 통일(統一)벼는 벼 이삭이 잎속에 들어 있어 탈곡시(脫穀時) 검불의 양(量)이 많으며 특(特)히 생탈곡시(生脫穀時)는 검불량이 더 많이 생기므로 양곡부(揚穀部) 및 배진구(排塵口)에서 폐쇄현상(閉鎖現像)이 자주 일어남으로 선별(選別) 및 배진장치(排塵裝置)의 개선(改善)이 요망(要望)된다. 6. Combine의 접지압(接地壓)은 $0.19kg/cm^2$로 Fig3과 같은 약(弱)한 지내력(地耐力)의 토양(土壤)에서 Combine의 Track이 25cm 침하(沈下)하여도 Combine의 주행(走行)은 가능(可能)하였다. 그러나 지내력(地耐力)은 지점(地点)에 따라 균일(均一)치 않아 침하(沈下)의 깊이가 균일(均一)치 못함으로 침하(沈下) 5cm정도(程度)에서는 예취(刈取) 높이의 조정(調整)없이 수확작업(收穫作業)이 가능(可能)할 것으로 인정(認定)된다. 7. 관행수확작업(慣行收穫作業)과 Combine 수확작업(收穫作業)의 경제성(經濟性)을 검토(檢討)한바 수도맥작(水稻麥作)의 연간(年間) 사용일수(使用日數)를 40일(日)로 하고 작업일수율(作業日數率) 60% 포장작업효율(圃場作業效率) 56%로 할 때 작업속도(作業速度)를 0.273m/sec로 하여 분석(分析)한바 1일작업시간(日作業時間)을 8시간(時間)으로 할 때 연간부담면적(年間負擔面積)이 4.7ha로 ha당(當) 수확작업비용(收穫作業費用)이 관행수확작업비용(慣行收穫作業費用)과 일치(一致)함으로 통일(統一)벼 수확작업(收穫作業)에 이용(利用)될 수 있도록 Combine의 기계적(機械的)인 보완개량(補完改良)이 뒤따르면 Combine의 흡착(吸着)은 경제적(經濟的)으로 타당(妥當)하다고 인정(認定)된다. 8. 장간종(長稈種)의 현(現) Combine을 통일품종수확(統一品種收穫) 작업(作業)에 이용(利用)키 위(爲)하여는 전면측방(前面側方)의 divider가 벼이식에 닿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게 하고 급동(扱胴)과 feed chain의 간격(間隔)을 좁히고 배진장치(排塵裝置)를 개량(改良)하고 수도간장(水稻稈長)에 따라 기계전후조정범위(機械前後調整範圍)를 넓히고 배수불량(排水不良)한 답(畓)에서의 이용(利用)을 위(爲)하여 Track의 폭(幅)을 넓히는 등(等)의 개량(改良)이 요망(要望)된다.

  • PDF

대맥의 파종양식 및 파종밀도가 몇가지 재배조건하에서의 수량 및 주요실용형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eding Pattern and Rate on the Yield and Agronomic Characters of Barley Under Different Cultural Conditions)

  • 임병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6-179
    • /
    • 1976
  • 우리바라 연대별 26개 대맥 대표품종을 공시하여 파종양식 및 밀도에 대한 반응을 보고 그 중에서 선발된 특성차가 있는 4개품종과 기타 1개품종을 추가 공시하여 시비량, 재배지역, 재배시기등 조건이 상위한 경우 파종 양식 및 밀도가 대맥의 수량 및 주요 형질에 미치는 영향과 양식, 시비량, 지역, 시기에 대한 재현도등에 관한 지견을 얻고저 72~74년의 맥작기간중 수원, 대전, 진주등지에서 일련의 시험을 수행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 및 주요형질 1) 초장 및 간장은 밀파 및 차광, 증비, 재배지역의 남하등으로 증대되고 드릴파 및 만파로 감소되었다. 2) 개체의 분얼수, 건물중, 주간엽수, 엽경비, 유효경비율, RGR, NAR, $R_{A}$ 등은 증비, 박파, 휴폭감축 및 드릴파로 증대되었다. 3) RGR, NAR는 최근 품종일수록 향상되었고 밀파시에는 NAR가 큰 품종이 유리하였으며, 다수성품종들이 NAR가 컸다. 4) $1m^2$당 경수는 밀파, 휴폭감축, 드릴파 및 증비로 증가되었다. 5) 엽장, 엽폭은 증비 및 박파로 증대되고 드릴파로 감소되었다. 6) 휴간부 투광율 및 지표온도는 증비, 밀파, 드릴파로 저하되었고 올보리가 투광율이 현저하게 높았다. 7) 도복저항지수는 증비 및 휴폭감축으로 증대되었고 밀파로 낮아졌으며 파종량이 동일할 경우에는 드릴파로 증대되었다. Haganemugi와 Samchio 36호$\times$부흥은 탁월한 내도복성을 지니고 있었고 올보리와 동산피49호도 현저하게 도복에 강하였다. 8) 출수는 증비 및 휴폭감축으로 늦어졌고 밀파 및 드릴파에 의하여 빨라지는 품종이 많았고, 성숙일수는 밀파 및 휴폭감축으로 짧아지는 품종이 많었았나 품종에 따라 반응 양상이 전연달랐다. 9) 재배조건에 따른 출수 및 성숙의 차이에 비하여 품종간 차가 컸고 출수일수와 성숙일수간에는 부의 상관이 있었다. 출수 및 성숙은 재배지역의 북상과 만파에 의하여 늦어졌고 조생 품종은 만파하여도 만생품종의 적기재배시의 출수성숙보다 빨랐다. 만생군과 조생 군간의 출수성숙의 차는 남하할수록 커졌다. 2.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1) 고간중 및 종실수량은 밀파, 휴폭감축, 드릴파 및 증비로 증가하였고 차광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드릴파의 증수 효과는 만파에서 컸고 증수를 위한 밀파 한계는 관행양식에시는 15ι, 드릴파에서는 25ι로 나타났다. 어느 조건에서나 Haganemugi는 현저한 다수를 보였고 올보리도 비교적 다수를 나타내었으며 재배 지역의 남하로 증수하고 만파로 감소하였다. Samchio 3006$\times$부흥은 만파에 의한 감수가 적고, Haganemug의 만파시의 수량은 수원18호, 부흥, Samchio 3006$\times$부흥의 적기 재배시 수량보다 많았고 올보리의 만파수량은 수원18호 및 부흥의 적기수량을 약간 상회하였다. 2) 어느 재배 양식과 밀도에서도 NAR와 수량과는 정의 상관을 보여 다수성품종이 동화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수수는 밀파, 휴폭감축, 드릴파 및 증비등으로 증가하는데 수수 증가 효과는 드릴파와 밀파에서 컸고 증비의 수수 증가 효과는 적었다. 지역적으로는 진주보다 수원과 대전에서 많었고 시기별로 보면 만파로 감소하였다. 4) 1수립수는 증비 및 휴폭 감축으로 증대하고 드릴파와 밀파및 차광으로 감소하였다. 지역적으로 보면 수원에서 가장 많았고 대전에서 가장 적었다. 드릴파에 의한 1수립수의 감소는 북상할수록 컸다. 시기별로 보면 만파로 감소되는데 올보리는 만파시에 오히려 많았다. 5) 1,000립중은 만파로 증가하고 밀파, 차광 및 드릴파로 감소하였다. 수원에서는 증인에 의하여 1,000립중이 증가하였으나 대전과 진주에서는 증비에 의한 1,000립중의 증가가 인정되지 않았다. 지역별로는 수원에서 가장 컸고 대전에서 가장 적었다. 6) 등숙비율은 드릴파 및 증비로 증가하고 밀파 및 차광으로 감소하였다. 7) 수량, 수수 및 고중의 증가율은 밀파에 의하여 가장크게 나타나고 휴폭감축에 의하여 가장 적게 나타났다. 입수 및 1,000립중의 감소율은 밀파에 의하여 가장 크게 나타나고 휴폭 감축에 의하여 가장 적게 나타났다. 품종별 양식 및 밀도반응은 다양하여 일정한 경향을 찾을수 없었다. 8) 관행박파구와 드릴파구에서는 수수와 수량간에 정상관이 있어 수수형 품종이 유리하였고 밀파시는 1,000립중과 수량과의 정상관이 높아서 수중형 품종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비량, 파종시기 및 재배지역을 달리했을 경우에 수량에 가장 크게 영향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수수이었으며 품종이나 지역에 따라 입수도 비교적 크게 영향하는 경우도 볼 수 있었다. 1) 생육일수의 Respeatability는 대체로 지역과 시비량에 대하여는 높고 시기와 양식에 대하여는 낮았다. 간장의 Respeatability는 양식에 대하여는 극히 높고 시비량에 대하여도 비교적 높았으며 지역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낮았다. 수량의 Respeatability는 지역 및 양식에 대하여서는 일반적으로 높고 시기에 대하여는 품종에 따라서 높은 것도 있었으며 시비량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높은데 Haganemug게서 만을 낮았다.

  • PDF

거들 착용에 따른 의복압과 신체치수 변화 및 거들 사이즈 개선 방안 (Distribution of garment pressure and body measurements after wearing a girdle, and suggestions for a girdle sizing system)

  • 천종숙;김옥빈
    • 복식문화연구
    • /
    • 제20권6호
    • /
    • pp.799-810
    • /
    • 2012
  • A girdle is a body-shaping article of clothing. The garment pressure of the girdle is considered an indispensable fa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nges in body size and distribution of garment pressure after donning the girdle. The changes of body size and garment pressure were analyzed by body types. Korean women (n=19) in their 20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ir body typ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four factors: the index value(hip girth-waist girth), and waist, hip, and thigh girths. The garment pressure was measured at 12 poi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ip and thigh girths were reduced mostly after donning the girdle. These values were 2.0~2.8cm and 1.7~2.3cm, respectively. The garment pressure was high at the waist band, the hip joint, and the gluteal furrow region at the back. The subjects whose waists, thighs, or hips were well developed showed great garment pressure in the hip area, but their hip girth decreased very little. The subjects with less developed or slim thighs or hips showed a slimming effect, with moderate pressure in the hip and thigh region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hip and thigh can be slimmed with moderate pressure by donning a thigh-length girdle. High garment pressure is not necessary for the girdle's body shaping effect. The hip area is hard to get body slimming effect with high garment pressure. The current girdle sizing system needs to be revised in order to lower garment pressure in the hip region. The researchers suggest using 3cm size intervals rather than 6cm size intervals for hip girth.

딸기 시설재배지에서 점박이응애의 발생과 분포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Tetranychus urticae Koch (Acarina: Tetranychidae) in strawberry greenhouse)

  • 최용석;황인수;김규상;조효려;서정학;박덕기;이영수;유용만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4호
    • /
    • pp.315-319
    • /
    • 2014
  • Mean densities of two-spotted spider mite (TSM), Tetranichus urticae Koch adults from January to April in 2014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and dispersion pattern of T. urticae on purpose of developing a monitoring method in the strawberry PVC house. Difference of density of T. urticae adult on middle and both side of leaf wasn't significantly. Density of T. urticae in investigation at different furrows and investigating points was the highest at the right and left sides of a furrow in strawberry PVC house. In results of comparing the dispersion incides of Taylor's power law (TPL) with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 TPL described better mean-relationship for the dispersion indieces compared to IPR. Slopes and intercepts of TPL from leaf samples did not differ among surveyed regions. Also, Distribution of T. urticae in a strawberry PVC house was the gravitation of the distribution because b and ${\beta}$ values of TPL and IPR was bigger than 1.

Effect of Flooding and Soil Salinity on the Growth of Yam (Dioscorea batatas) Transplanted by Seedling of Aerial Bulblet in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 Sohn, Yong-Man;Song, Jae-Do;Jeon, Geon-Yeong;Kim, Doo-Hwan;Park, Moo-E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14
    • /
    • 2011
  • The effect of flooding and soil salinity on the growth of yam (Dioscorea batatas) were studied on the experimantal site temporally establish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near Gwanghwal myun, Gimjae-gun, Jellabukdo, Korea). Yam seedlings planted by using aerial bulblet as alternative of sliced tubers, were grown for 20-days and transplanted in black-vinyl mulched ridges (about 20 cm in height) at 70cm interval by $20{\times}60cm$ spacing in the $4^{th}$ of May, 2010. Soil salinity was maintained at lower than 1.2 ds $m^{-1}$ during the growing period and did not result to salt injury in all plants. However, flooding injury very seriously led to plant death and plant mortality rates at $67{\pm}21$ and $82{\pm}9%$ of yam plants in the compost and no compost treatment, respectively, died by heavy flooding during the rainy summer season. The main reasons of the flooding injury included the decreased rainfall acceptable capacity (RAC) after the rising of water table and a slowdown of water infiltration rate after the formation of an impermeable soil crust in the furrow bottom with continuous and heavy downpour during the rainy summer season. The effect of compost treatment was not statistically observed because of the severe spatial difference caused by wet injury, although yam tuber yield was higher at 30 kg $10^{-1}$ in the compost treatment than in the no-compost treatment at 20 kg $10^{-1}$. However, the size of tuber ranged at 1.23 to 1.60 cm in diameter and 3.7 to 5.0 cm in length in all both treatment, which means they are still reproducible for the next cropping season. Conclusively, proper counter-flooding measure and soil salinity control critically important for successful yam production in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traocular Cysticercosis

  • Li, Juan-Juan;Zhang, Li-Wei;Li, Hua;Hu, Zhu-Li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2호
    • /
    • pp.223-229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linical, radiolog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traocular cysticercosis due to Taenia solium metacestode infection. Total 8 patients diagnosed with intraocular cysticercosis at the Red Cross Hospital of Yunnan Province, China were examined retrospectively. Patients with clear dioptic media had undergone fundus chromophotography. All patients underwent B ultrasonography of the ocular region (CT) successive scanning of the orbit and cerebral tissues. Parasites were extracted surgically and then examined pathologically. The fundus chromophotography showed a white and condensing scolex package in the vesicle. The B ultrasonic examination showed a vesicle-like echogenic mass in the vitreous chamber, in which the high-level echo spot was the cysticercus scolex. The pathological examinations showed that the vesicle wall exhibited hyaline degeneration,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neuroglial fiber, and glial cell proliferation layer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e scolex is round and is composed of the outer tissue (the body wall) and the inner furrow tissue; these tissues migrated together. Primordially differentiated sucking discs were found in one case, but no hooklets were found. The inner scolex tissue was folded like a paper flower. The severity of intraocular disease i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pathophysiological processes of the cysticercus worm. 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intraocular lesions can help to evaluate the course of the disease as well as to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effective antiparasitic med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