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gicide residue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1초

Residual characteristics and safety assessments of prochloraz and its metabolites in Aster yomena using QuEChERS and LC-MS/MS

  • Hyeon-Jin Lim;Young-Shin Kim;Chi-Hwan Lim
    • 농업과학연구
    • /
    • 제51권2호
    • /
    • pp.205-216
    • /
    • 2024
  • Although Aster yomena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for its potential anti-cancer, antimicrobial, and immune-boosting effects, there are concerns about residual pesticides because they are consumed in salad-like forms. This study investigated residual characteristics and human dietary risks of the imidazole fungicide prochloraz applied to the herbal medicine Aster yomena with different spray frequency and timing. Residual analysis of prochloraz and its three main metabolites (BTS44595, BTS44596, and 2,4,6-trichlorophenol) in Aster yomena samples was performed using the QuEChERS method and LC-MS/MS. Mean recovery rates of the fungicide and its metabolites were satisfactory in the range of 80.1 ± 1.2% to 108.2 ± 3.8%. The residual concentration of the fungicide calculated as the sum of prochloraz and its metabolites was the highest (4.14 mg·kg-1) in the Aster yomena sample applied three times at weekly intervals with the fungicide until immediately before harvest. The fungicide residue concentration in the Aster yomena was below the method-limit of quantification (MLOQ) when it was applied twice at the interval of 9 day until 21 days before harvest. The theoretical maximum daily intake of prochloraz, calculated based on the daily intake of Aster yomena, mean adult body weight, and the highest residue level analyzed in the this study, was safe at < 80% of the acceptable daily intake of the fungicide (0.01 mg-1·kg·bw-1·day). In conclusion, the triple application method with prochloraz at weekly intervals until the harvest day is recommended to produce safe Aster yomena from the fungicide residues and risks to humans.

Residue Monitoring and Dietary Risk Evaluation of Fungicide Propiconazole in Leafy Vegetables under Greenhouse Conditions

  • Lawal Abdulkareem;Ji-Eun Oh;Se-Yeon Kwak;Sang-Hyeob Lee;Jae-Won Choi;Aniruddha Sarker;Kee Sung Kyung;Tae Hwa Kim;Jang-Eok Kim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93-202
    • /
    • 2023
  • Residue monitoring of propiconazole (PCZ) in cabbage, shallot, and spinach was conducted under multi-trial greenhouse condition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fate of the applied fungicide in these vegetables. Furthermore, the associated health risk of PCZ in leafy vegetables was assessed through dietary risk assessment. Commercially available PCZ (22% suspension concentrate) was administered thrice according to the OECD fungicide application interval guideline. The plant samples were extracted using a slightly modified QuEChERS technique and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The average PCZ recovery was between 84.5% and 117.6%, with a <5% coefficient of variance. The dissipation of PCZ residue in cabbage, shallot, and spinach after 14 days was 96%, 90%, and 99%, respectively, with half-lives of <5 days. Meanwhile, dietary risk assessments of PCZ residues in the studied vegetables using the risk quotient (RQ) were significant < 100 (RQ < 100). Thus, the population groups considered in this study were not at substantial risk from consuming leafy vegetables sprayed with PCZ following critical, good agricultural practices.

신규 살균제 KNF 1002의 오이 및 고추 중 잔류특성 (Residues of a New Fungicide, KNF 1002 in Cucumber and Pepper)

  • 김태화;이재영;유용만;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7-232
    • /
    • 2003
  • Methoxyacrylate계 신규 살균제 KNF 1002의 오이, 고추 및 고춧잎에 대한 잔류 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포장시험을 수행하였다. HPLC-DAB에 의한 KNF 1002의 잔류분석시 최소 검출량은 오이 및 고추에서 2.0 ng 그리고 고춧잎에서는 2.5 ng이었으며, 검출한계는 오이 및 고추에서 0.02 mg/kg 그리고 고춧잎에서 0.05 mg/kg 이었다. 오이에서의 잔류량은 1회 및 2회 처리하여 1일에서 7일 후에 채취된 시료에서 2.0 mg/kg에서 검출한계 미만으로 나타났다. 고추에서의 잔류량은 시설재배지의 경우 최고 0.79 mg/kg에서 0.31 mg/kg수준으로 나타났다. 노지재배의 경우에는 0.47 mg/kg에서 0.11 mg/kg으로 나타나 시설재배의 47% 수준의 잔류량을 보였다. 고춧잎에서는 시설재배지의 경우 최고 25.20 mg/kg에서 7.38 mg/kg으로 나타났으며 노지 재배의 경우에는 1.99 mg/kg에서 0.11mg/kg 수준으로 나타나 시설재배에 비해서 6.2%정도의 잔류량을 보였다.

HPLC-UVD/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Oxycarboxin의 분석 (Determination of Oxycarboxin Residues in Agricultural Commodities Using HPLC-UVD/MS)

  • 정명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7-12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HPLC-UVD/MS를 이용하여 농산물 중 oxanthiin 살균제인 oxycarboxin의 잔류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대표 농산물은 현미, 콩, 배추, 고추 및 사과를 선정하였고 acetone을 가하여 추출된 oxycarboxin 성분을 dichloromethane 액-액 분배법과 Florisil 흡착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HPLC-UVD/MS 분석대상 시료로 사용하였다. Oxycarboxin의 정량적 분석을 위한 최적 분석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정량한계(LOQ)는 0.04 mg/kg 이었다. 각 대표 농산물에 대해 정량한계, 정량한계의 10배 및 50배 수준에서 회수율을 검토한 결과 모든 처리농도에서 78.3~96.1%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반복 간 변이계수(CV)는 최대 4.7%를 나타내어 잔류분석 기준인 회수율 70~120% 및 분석오차 10% 이내를 충족시키는 만족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LC/MS SIM을 이용하여 실제 농산물 시료에 적용하여 재확인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신규 oxycarboxin의 HPLC-UVD/MS 분석법은 검출한계, 회수율 및 분석오차 면에서 국제적 분석기준을 만족하는 신뢰성이 확보된 정량 분석법으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식물후방식재기간(PBI) 시험에 기반한 살균제 Azoxystrobin의 알타리무 중 잔류량 평가 (Evaluation of Residues of Fungicide Azoxystrobin in Radish based on Plant Back Interval Experiment)

  • 윤지현;임다정;김선욱;김인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8
    • /
    • 2022
  • BACKGROUND: The pesticide residue in rotational crop is one of the main concerns to agricultural products because it has the potentiality of violating positive list system (PLS). Thus, the crops used for the rotational cultivation should be considered the pesticide residue patterns to meet the PLS guidelin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sidue patterns of fungicide azoxystrobin in radish based on plant back interval (PBI) experiment. METHODS AND RESULTS: Azoxystrobin was treated onto greenhouse soil at 217 g a.i./10a in two different regions. Radishes were sown onto the soil 30 and 60 days after azoxystrobin treatment. The soil and plant samples were subjected to a modified QuEChERS method and LC/MS/MS analyses to determine the residues of azoxystrobin. The methods were validated to meet the guidelines of the pesticide residue analysis recommend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 Azoxystrobin was dissipated significantly in soil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nd found as a level less than 0.01 mg/kg in radish 30 and 60 days after treatment. Azoxystrobin residues in radish samples were lower than the maximum residue limit (MRL) for root vegetable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30 days as a PBI for rotational cultivation of radish in greenhouse soil that had been treated with azoxystrobin at a level of 217 g a.i./10a.

농약사용 지표설정을 위한 수도용 농약사용량 조사분석 (Survey on Pesticide Usage in Paddy Rice for the Establishment of Pesticide Use Indicator)

  • 권오경;홍수명;최달순;성기석;임양빈;강충길;송병훈;오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5-39
    • /
    • 2000
  • 국내 농업환경 중 농약지표 설정을 위해 16개 지대 29지역 100농가를 대상으로 수도 재배용 농약 실제 사용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농약별 실제 사용량에 따른 잔류 경향을 알아보고자, 조사농가에서 재배된 벼의 현미 및 볏짚 중 농약잔류량을 분석하였다. 수도재배시 용도별 농약 실제 사용량은 살충제 43%, 제초제 29%, 살균제 27%를 나타냈으며, 살충제 중 주요 사용농약은 carbofuran, BPMC, cartap 등이었다. 제초제는 혼합제인 molinate+pyrazosulfuran-ethyl과 butachlor, 살균제의 경우 IBP와 혼합제 isoprothiolan+tricyclazole이 우선적으로 사용되었다. 제형별 농약사용량은 입제농약 위주의 사용경향을 나타냈으며 GR>DP>WP>EC>FG>SP 순이었다. 수도재배 단위면적당(a.i./ha) 농약사용량은 7.13 kg이었으며, 전국 총 사용량을 추산한 결과 8,387 M/T로 추정되었다. 용도별 농약 실제 사용량과 출하량과의 일치도는 살충제 84.3%, 제초제 77.8%, 살균제 94.7%로 나타났고 총 실물량 일치도는 97%이었다. 농약 실제 사용량에 따른 농약잔류성은 살균, 살충제로서 사용 빈도가 높은 농약인 BPMC와 IBP가 $57.7{\sim}94.9%$의 높은 검출빈도를 나타냈으며, 이들 농약의 잔류수준은 허용기준 미만이었다.

  • PDF

표면플라즈몬공명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살균제 Iprovalicarb 잔류물의 검출 (Detection of the Fungicide Iprovalicarb Residues Using a Surface Plasmon Resonance Biosensor)

  • 김운호;조한근;경기성;김기영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4권1호
    • /
    • pp.50-56
    • /
    • 2009
  •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biosensor has been used to detect many biochemical reactions, because this label-free sensor has high sensitivity and rapid response. The reactions are monitored by refractive index changes of the SPR biosensor. Iprovalicarb is protective, curative, and eradicative systemic fungicide introduced by Bayer AG in 1999. It has potential far control of downy mildew infesting onion, cucumber, grape and melon, late blight infesting tomato and potato, and anthracnose infesting watermelon and pepper. It is strictly limited to the maximum residue limit. In this study, the applicability of a portable SPR biosensor (Spreeta, Texas instrument, TX, USA) to detect the iprovalicarb residue was examined. The sensor chip was adopted to detect the reaction of iprovalicarb to immobilized iprovalicarb-antibody. The binding of the iprovalicarb onto the biosensor surface was measured by change of the refractive index (RI).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 chip including specificity, sensitivity, stability, and reusability were analyzed. In calibration test for seven levels of iprovalicarb concentration (0.32 to 5,000 mg/L) with three replications, a Sigmoidal model with Hill function was obtained between relative RI value and the iprovalicarb concentration with R-square of 0.998. It took 30 minutes to complete a set of detecting assay with the SPR biosensor.

살균제 Boscalid의 살포방법에 따른 인삼의 부위별 잔류 양상 (Residue of Fungicide Boscalid in Ginseng Treated by Different Spraying Methods)

  • 황정인;전영환;김효영;김지환;안지운;김기수;유용만;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66-373
    • /
    • 2011
  • 인삼 중 농약 잔류량 조사 결과 부적합율과 검출 빈도가 높은 boscalid 농약에 대하여 부적합 원인을 구명하기 위해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농약을 살포하되, 그 살포방법을 달리하여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인삼은 4년근과 6년근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시 인삼의 뇌두와 몸통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boscalid의 잔류량은 몸통부분보다 뇌두부분에서 더 많은 양이 검출되었으며, 랩 처리구의 잔류 결과로부터 boscalid의 흡수이행 경로를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인삼의 전체부위에 대한 최대 잔류량은 4년근 인삼의 관행 처리구에서 0.76 mg/kg, 토양 처리구에서 0.69 mg/kg, 랩 처리구에서 0.62 mg/kg으로 나타났으며, 6년근 인삼에서의 전체부위에 대한 최대 잔류량은 관행 처리구에서 0.74 mg/kg, 토양 처리구에서 0.40 mg/kg, 랩 처리구에서 0.28 mg/kg으로 나타나 4년근 인삼에서 6년근 인삼보다 더 많은 잔류량을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4년근과 6년근 인삼 모두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제시한 잔류허용기준인 0.3 mg/kg을 초과하였다.

시설재배 딸기와 오이 중 농약잔류에 관한 조사 연구 (A Monitoring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in Strawberries and Cucumbers from plastic Film Houses)

  • 이해근;김영구;박영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93-202
    • /
    • 1988
  • 농작물중 농약 잔류량조사 계획의 일환으로 전국주요시설 재배지에서 채취한 딸기와 오이 각 50점과 서울시 소재 5개 슈퍼마켓에서 시판되는 딸기를 수집, 농약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딸기에서는 일부 시료에서 procymidone, chlorothalonil. captan, diazinon, ${\alpha}-endosulfan$ 등이 미량으로 검출되었으나 조사최대치의 경우에도 잔류허용기준의 1/79~1/2 에 불과하였다. Malathion, Fenitrothion, parthion 등 유기인계 살충제는 전시료에서 불검출되었으며 시판 딸기에서도 이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오이에서는 유기인계 살충제가 전시료에서 불검출되었으며 기타 살균제의 검출빈도는 딸기와 비슷하였으나 잔류수준은 다소 낮은 경향이었다. 딸기와 오이 중 검출 빈도와 잔류수준이 비교적 높았던 농약은 procymidone과 chlorothalonil로서 이들의 조사최대치도 잔류허용기준에 크게 미달되고 있어 현재로서는 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수일에 의한 딸기중 잔류농약의 경감효과는 38~95%로서 상당부분이 제거 되었다. 딸기 잿빛 곰팡이병 방제약으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procymidone이나 dichloflanid에 대한 농약잔류향조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되었으며, 아울러 본 조사연구는 금후 이들 농약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설정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PDF

고추잎 표면에서 5종 살균제의 내우성 (Rainfastness of 5 Fungicides on the Leaf Surface of Hot Pepper)

  • 최윤경;유주현;전재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2권3호
    • /
    • pp.126-132
    • /
    • 2009
  • 살균제 농약의 고추잎 표면에서의 내우성과 수용해 도와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용해도가 다른 5종의 농약 수용액 혹은 농약 현탁액을 고추잎 표면에 점적처리하고 인공강우한 후 고추잎 표면의 농약 잔류율을 상호 비교하였다. 고추잎에 아세톤 수용액으로 점적처리된 살균제 농약은 인공강우량이 증가함에 따라 고추 잎 표면 잔류율이 급속히 감소하다가 점차 둔화되었으며, 인공강우 초기의 내우성은 농약의 수용해도에 반비례하였다. 수용해도가 18mg/L인 dimethomorph는 2.5mm의 강우에도 유효성분 모두가 소실되었다. 수화제 현탁액은 아세톤 수용액보다 내우성이 현저히 작았지만 수용해도가 작은 농약이 역시 내우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입경이 작은 chlorothalonil과 mepanipyrim 액상수화제가 수화제보다 내우성이 컸으며, mepanipyrim 현탁액의 내우성은 입경과 반비례 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시험한 5 종의 살균제 농약의 고추 및 표면 내우성은 강우 초기에는 농약의 수용해도와 깊이 연관되어 있으며 후기로 갈수록 농약의 입경과 관계되는 미지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