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gal virus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8초

NaOH처리에 의한 Agrobacterium이용 팽이균사체 형질전환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Flammulina velutipes with NaOH Treatment)

  • 신동일;박희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35-238
    • /
    • 2011
  • 팽이균사체의 형질전환을 위하여 Agrobacterium 세포를 사용하였다. 특히, Agrobacterium 세포의 감염단계 전에 약한 NaOH용액을 처리하였으며 이로써 균사체 세포들의 표면 상해 발생을 기대하였다. 그 결과, hygromycin 저항성 ($hyg^r$) 균사체는 NaOH 처리를 거친 경우에서만 출현하였다. 형질전환 균사체의 $hyg^r$ 유전자 도입은 PCR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Southern blot hybridization과 western blotting 분석에 의하여 단일 유전자 copy의 삽입과 외래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팽이균사체에 대한 효율적인 Agrobacterium 이용 형질전환수단을 보여주고 있다.

Graft Transmission and Cytopathology of Pear Black Necrotic Leaf Spot (PBNLS) Disease

  • Nam, Ki-Woong;Kim, Kyung-S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6호
    • /
    • pp.301-307
    • /
    • 2002
  • Graft transmission and cytopathological studies of a severe pear disease, pear black necrotic leafspot(PBNL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ausal agent of the disease. No evidence was found that a fungal or bacterial pathogen could be the causal agent of the disease. Attempts to transmit the agent by sap-inoculation to other plants including herbaceous hosts failed. How-ever, the pathogen was readily graft-transmitted from symptomatic diseased pears to healthy pears. Graft transmission of the pathogen was also demonstrated by using an indicator plant, PS-95, developed in the laboratory through various grafting methods. Ultrastructural study of the disease revealed the consistent presence of flexuous rod-shaped virus-like particles (VLP) in the symptomatic leaves of both Niitaka cultivar and indicator pear, PS-95. The particles, approximately 12 nm in diameter with undetermined length, occurred in the cytoplasm of mesophyll parenchyma cells. Cells with VLPs also contained fibril-containing vesicles, which are common in cells infected with plant viruses with ssRNA genome. The vesicles were formed at the tonoplast. Based on the symptomatology, the presence of fibril-containing vesicles, and graft-transmissibility, it is believed that the VLPs that occurred on symptomatic leaves of black necrotic leafspot of pear are viral in nature, possibly those of a capillovirus.

Enhanced and Targeted Expression of Fungal Phytas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LIM, YOUNG-YI;EUN-HA PARK;JI-HYE KIM;SEUNG-MOON PARK;HYO-SANG JANG;YOUN-JE PARK;SEWANG YOON;MOON-SIK YANG;DAE-HYUK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6호
    • /
    • pp.915-921
    • /
    • 2001
  • Phytase improves the bioavailability of phytate phosphorus in plant foods to humans and animals, and reduces the phosphorus pollution of animal waste. In order to express a high level of fungal phytas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various expression vectors were constructed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promoters, translation enhancers, signal peptides, and terminator. Three different promoters fused to the phytase gene (phyA) from Aspergillus niger were tested: a galactokinase (GAL1) promoter,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PD) promoter, and yeast hybrid ADH2-GPD promoter consisting of alcohol dehydrogenase II (ADH2) and a GPD promoter. The signal peptides of phytase, glucose oxidase (GO), and rice amylase 1A(RAmy1A) were included. Plus, the translation enhancers of the ${\Omega}$ sequence and UTR70 from the tobacco mosaic virus (TMV) and spinach, respectively, were also tested. Among the recombinant vectors, pGphyA06 containing the GPD promoter, the ${\Omega}$ sequence, RAmy1A, and GAL7 terminator expressed the highest phytase activity in a culture filtrate, which was estimated at 20 IU/ml. An intracellular localization of the expressed phytase activity in a culture filtrate, which was estimated at 20 IU/ml. An intracellular localization of the expressed phytase was also performed by inserting an endoplasmic reticulum (ER) retention signal, KDEL sequence, into the C-terminus of the phytase within the vector pHphyA-6. It appeared that the KDEL sequence directed most of the early expression of phytase into the intracellular compartment yet more than $60\%$ of the total phytase activity was still retained within the cell even after the prolonged (>3 days) incubation of the transformant. However, the intracellular enzyme activity of the transformant without a KDEL sequence was as high as that of the extracellular one, thereby strongly suggesting that the secretion of phytase in S. cerevisiae appeared to be the rate-limiting step for the expression of a large amount of extracellular recombinant phytase, when compared with other yeasts.

  • PDF

Cryparin 유전자의 promoter 분석을 위한 cryparin 유전자 치환체의 순수 제조 (Construction of a Pure Cryparin-null Mutant for the Promoter Analysis of Cryparin Gene)

  • 김명주;양문식;김대혁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450-457
    • /
    • 1998
  • Cryparin은 Cryphonectria parasitica의 세포벽에 풍부한 소수성 단백질에 속한다. cryparin은 비록 하나의 유전자에 의해 발현되지만 액체배양 후 48시간이 지나면 발현된 전체 유전자중에서 22%를 차지할 정도의 높은 발현 양상을 나타낸다. 또한 cryparin은 RNA mycovirus인 Cryphonectria hypovirus 1의 감염에 의해 발현이 현저히 억제되는 유전자로 알려졌다. 이미 지난 실험(Kim et al., 1999)에서 상동염색체간의 재조합을 이용하여 cryparin 유전자를 항생제 hygromycin B 저항성 유전자로 치환한 치환체를 제조하였다. 발현율이 매우 높으면서도 virus에 의해 밀접하게 영향받는 cryparin 유전자의 promoter 분석을 위하여서는 대상이 되는 유전자 치환을 위한 vector만을 포함하며, 분석에 이용될 여러 유전자 운반체들이 어느 한곳에만 삽입되도록 하는 성질을 가진 균주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난번 실험의 결과 얻어진 cryparin 치환체는 치환용 vector외에도 무작위로 삽입된 vector가 존재하고 나아가 새로운 vector들이 어느 한곳에만 삽입되도록 하는 성질을 갖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cryparin 유전자 치환체와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체인 균주간의 교잡을 이용하여 분석 대상이 되는 유전자의 치환에 이용된 vector만을 포함하며, 분석에 이용될 여러 유전자 운반체들이 genome내의 어느 한곳에만 삽입되도록 하는 성질을 가진 균주를 제조하였다.

  • PDF

빈랑 추출물의 새로운 항바이러스 활성 (The Antiviral Effects of Areca catechu L. Extract)

  • 이도승;부경환;김영천;이진만;강승태;이왕식;류기중;이동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45-248
    • /
    • 2014
  • Newcastle disease virus (NDV) 감염된 baby hamster kidney (BHK) 세포에서 합포체 형성은 세포막 표면으로의 수송된 바이러스 당단백질 hemagglutinin-neuramidase (HN)에 의해 일어난다. HAU 값은 추출물의 농도가 25.0과 $3.2{\mu}g/mL$ 사이에서는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NDV 감염된 HAD (%)는 $25.0{\mu}g/mL$ 농도에서 광범위한 흡착능의 감소를 나타내 바이러스 당단백질의 세포내 생합성은 저해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약용식물인 빈랑 메탄올 추출물이 바이러스 당단백질의 세포막으로의 수송과 함께 합포체 형성을 저해하여 항바이러스 작용을 하였다. 또한 빈랑 추출물의 저해활성을 조사한 결과 ${\alpha}$-glucosidase에 대한 추출물의 $IC_{50}$$10.0{\mu}g/mL$이었으며, ${\alpha}$-mannosidase, ${\beta}$-glucosidase, ${\beta}$-mannosidase에 대한 빈랑 추출물의 $IC_{50}$은 각각 20.0, 40.0, $80.0{\mu}g/mL$로 나타나 ${\beta}$-type glycosidases 보다 ${\alpha}$-type glycosidases에 대한 효소활성 저해능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IC_{50}$농도에서는 세포내에서 당단백질 생합성은 저해되지 않으며 당단백질의 수송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항바이러스 관련 작용기작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동종조직이식술시 전염성질환의 이환가능성에 대한 고찰 II: 동종연조직 (THE REVIEW OF TRANSMISSION OF INFECTIOUS DISEASE IN HUMAN TISSUE TRANSPLANTATION: PHASE II. ALLOGENIC SOFT TISSUES)

  • 이은영;김경원;엄인웅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262-267
    • /
    • 2007
  • Implantation of allografts has increased widely with not only the availability of many allogenic bone but also allogenic soft tissues. The aim of tissue banking is to provide surgeons with safe tissues compatible with their intended clinical application. The incidence of tissue transplant-transmitted infection is unknown and can only be inferred from prospective studies. The possibility of donor-to-recipient disease transmission through soft tissue transplantation can be considered by reviewing the risk associated with other transplanted hard tissues. Viral, bacterial, and fungal infections have been transmitted via transplantation of soft tissue allografts such as skin, cornea, dura, pericardium. fascia lata, and heart valves. Corneas have transmitted rabies, Creutzfeldt-Jakob disease (CJD), hepatitis B (HBV), cytomegalovirus (CMV), herpes simplex virus (HSV), bacteria, and fungi. Heart valves have been implicated in transmitting tuberculosis, hepatitis B. HIV-1 and CMV. CJD has been transmitted by dura and pericardium transplants. Skin has transmitted CMV, bacteria, and fungi. Cadaveric skin, pericardium, dura, and fascia lata have been used in dental patients with intra-oral soft tissue injuries and GBR. This study is review of the considering transmission of infectious disease in allogenic soft tissues and guidelines of reducing the risk. Prior to use, many tissues are exposed to antibiotics, disinfectants, and sterilants, which further reduce or remove the risk of transmitted disease. Because some soft tissue grafts cannot be subjected to sterilization steps,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 transmission remains and thorough donor screening and testing is especially important.

2005년 주요 농작물 병해 발생개황 (Review of Disease Incidences of Major Crops of the South Korea in 2005)

  • 명인식;홍성기;이영기;최효원;심홍식;박진우;박경석;이상엽;이승돈;이수헌;최홍수;김용기;신동범
    • 식물병연구
    • /
    • 제12권3호
    • /
    • pp.153-157
    • /
    • 2006
  • 2005년은 전년에 비해 기온이 낮았고 강수량이 적었다. 벼 흰잎마름병, 세균성벼알마름병, 벼 깨씨무늬병, 벼 이삭도열병, 배나무 겹무늬병 등이 2004년에 비해 증가하였다. 특히 벼 깨씨무늬병은 전년에 비해 4배 이상 병 발생이 증가하였다. 벼 이삭도열병이 전년 0.7%에서 2005년 2%로 증가된 것은 출수기 동안 평균기온은 높았고 강수일수, 강수량 및 습도가 높아 잎도열병균이 이삭으로의 전파를 촉진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기타 조사된 병들은 전년에 비해 감소 혹은 유사한 수준이었다. 벼 잎도열병, 시설참외 시들음증상, 흰가루병 및 노균병은 전년에 비해 크게 감소되었다.

동충하초 열수 추출물에 의한 인체 간암세포 성장억제 및 apoptosis 유발에 관한 연구 (Induction of Apaopotis by Water Extract of Cordyceps militaris (WECM)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 김경미;박철;최영현;이원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04-81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전통 민간의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동충하초(C. militaris)의 항암 작용에 관한 근거 자료의 제시를 위하여 동충하초 열수 추출물(WECM)의 항암 기전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HepG2 인체 간암세포를 사용하였으며, WECM의 처리에 의하여 HepG2 세포의 증식은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매우 억제되었다. WECM 처리에 의한 HepG2 세포의 증식 억제는 암세포의 심한 형태적 변형을 수반하였고, 이는 apoptosis 유도와 연관성이 있음을 DAPI 염색을 통한 apoptotic body 출현의 증가 및 flow cytometry 분석에 의한 sub-G1 기에 속하는 세포 빈도의 증가로 확인하였다. WECM 처리에 의한 HepG2 세포의 증식 억제는 또한 종양 억제 유전자 p53 및 CDKI p21의 발현 증가와도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WECM 처리에 의한 apopotosis 유도에서 pro-apoptotic 인자인 Bax의 발현이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 매우 증가하였으며, caspase-3의 활성이 매우 높게 증가되었다. 특히 caspase-3 특이적 억제제인 z-DEVD-fmk로 caspase-3의 활성을 인위적으로 차단시켰을 경우, WECM에 의한 HepG2 세포의 apoptosis 유발에 caspase-3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WECM의 생화학적 항암기전 해석을 이해하고 향후 수행될 추가 실험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2004년 주요 농작물 병해 발생개황 (Review of Disease Incidence of Major Crops of the South Korea in 2004)

  • 명인식;박경석;홍성기;박진우;심홍식;이영기;이상엽;이승돈;이수헌;최홍수;최효원;허성기;신동범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89-92
    • /
    • 2005
  • 2004년은 전년에 비해 기온이 높았고 강수량이 적었다. 벼 못자리 병, 잎도열병 발생 필지, 잎집무늬마름병, 흰잎마름병과 고추 역병, 탄저병 및 바이러스병, 시설참외의 급성 시들음 증상, 흰가루병 등이 2003년에 비해 증가하였다. 특히 벼잎집무늬마름병과 흰잎마름병은 전년에 비해 2배 이상 병 발생이 증가하였다. 벼 이삭도열병이 전년 $3\%$에서 2004년 $0.7\%$로 감소된 것은 출수기 동안 평균기온은 높았으나 강수일수, 강수량 및 습도가 낮아 잎도열병균이 이삭으로의 전파를 억제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고추역병은 전년에 비해 크게 감소되었다. 그리고 발표하지 않은 다른 병에 의한 피해는 다소 감소 혹은 유사한 수준이었다.

2003년 태안지역에서 황사 부유분진의 미생물학적 동정과 금속 성분 및 농도 (Microbiological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Metal Components in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during Yellow Sand Phenomena at TaeAn Region in 2003)

  • 배강우;김윤섭;김종호;박재석;지영구;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2호
    • /
    • pp.167-173
    • /
    • 2005
  • 연구배경 : 황사는 우리나라에서 주로 3월에서 5월까지 봄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대기오염의 주된 원인으로 사람에게 만성 기관지염을 악화시키고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사기간 중 부유분진 중의 무기이온 성분과 금속성분의 분석에 대한 연구와 천식 등 호흡기 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아직까지 황사의 부유분진중의 미생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황사 현상시 부유분진 중에 박테리아, 진균 그리고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의 검출유무와 종류를 알아보고 금속 성분 및 농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시료의 채취는 충남 태안군 파도리에서 cascade impactor(AN-200, USA)를 설치하여 1시간 동안 얻었으며 채취는 황사현상 기간과 비황사기간중 각각 한번씩 시행하였다. Cascade impactor에 의해 채취된 부유분진중의 미생물 검사는 cascade impactor내에 있는 여과지를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진균, 그리고 바이러스의 배지(4종, influenza, parainfluenza, adenovirus, RSV)에 옮긴 후에 배양하여 분석하였다. 금속 성분의 분석은 XRF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조사 대상 지역의 황사기간과 비황사 기간 중 부유분진의 농도는 각각 80.2, $40.3g/m^3$ 이었다. 부유분진 중 XRF로 분석한 금속성분은 알루미늄과 규소, 황, 칼륨과 칼슘, 철 등 대부분의 금속이 비 황사 기간에 비해 황사 기간에서 농도가 높았다. 미생물 검사 결과상 그람 양성균은 Bacillus species,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가 자랐으며 황사기간보다 비 황사 기간동안 채취한 시료에서 오히려 더 많은 단계의 여과지에서 균이 동정되었으나 두 기 간에서 자라는 균주의 종류에는 차이가 없었다. 진균 배양은 비 황사 기간동안 Mucor species, Cladosporum, Alternaria, Aspergillus, Penicillium, Alternaria등의 진균들이 자랐으며, 황사 기간동안은 Penicillium과 Alternaria, 그리고 다른 mold form fungus들이 자랐다. 바이러스와 그람 음성균은 두 기간 다 자라는 균주는 없었다. 결 론 : 이 연구는 황사 기간동안 대기분진 중에 포함된 미생물에 대한 최초의 연구로 황사 현상시 미생물의 검출 종류는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 개체수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금속 성분의 종류는 차이가 없었으나 농도는 황사 현상시에 더 높은 수치를 보여 황사현상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의 주의와 대기오염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