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damental variables

검색결과 473건 처리시간 0.023초

고등학교 보건교육 관련 교사의 보건교육수행 및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High School Health Education Teachers' Activities and Other Influential Variables)

  • 유재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83-203
    • /
    • 1999
  • High school is regarded as the period when many important physical, mental and social developments occur, and when many health-related behaviors are formed. School health education is one of the major learning resources influencing health potential in the home and community as well as for the individual student. High school health education in Korea has a fundamental systemic flaw however, in that health -related subjects are divided and taught under various subjects at school. In order to achieve quality health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assess the learners' and teachers' educational needs. So far, most of the research projects that had been carried out for improving high school health education were limited to only the learners' educational need. They failed to in elude an educational assessment of the teache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high school health education teachers' needs relating to health educa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a focus on the teachers' health education activity level, health education activity self-efficacy level, and perceived level of importance in health education content. In this study, research instruments these factors were constructed by Yoo(1997) on the basis of the PRECEDE model.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consisting of twenty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s in Seoul and Chongju for a two month period beginning in July, 1996. In analyzing the data, an ANOVA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accomplished using an SPSS - PC+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verage level of health education activity and self-efficacy among high school health edu 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be low. But, teachers' perceived importance of health education contents was high. Teachers' activity and perceived importance concerning sex education were lower than in other health education areas. Health education activity of Military drill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s well as school nurses. But it was not significant. Health education activity self-efficacy of school nurses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teachers(p<.05). Perceived level of importance of health education contents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teachers' health education activity. Health education activity self-efficacy level was not an influential variable in teachers' health education activ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diagnosed the needs of high school health education through the teachers' assessment of a variety of health factors relat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management of an integrated health education, program requiring large changes in the curriculum of health education is necessary.

  • PDF

일-가족 시간배분에 따른 가구유형과 변화 - 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 (Household Types and Changes of Work-Family Time Allocation - Adapting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

  • 김진욱;최영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2호
    • /
    • pp.31-54
    • /
    • 2012
  • 본 연구는 생활시간조사자료를 활용하여 가구 내에서 배분되는 일-가족시간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부부의 유급노동시간과 가족시간에서 차지하는 남성의 비중을 근거로 일-가족 시간 배분을 4개의 모형(전통적 남성생계부양, 이중노동부담, 협조적 적응, 가족친화적 남성생계부양)으로 유형화하였으며, 퍼지셋이상형분석을 통해 각 유형에 소속되어 있는 정도를 점수화한 후, 각 모형의 소속점수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지난 10년간 이중노동부담의 비중이 감소하고 협조적 적응 유형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전체적인 모형별 분포를 보면 전통적인 성분업에 고착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었다. 4개의 시간배분 모형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역시 각 모형별 분석의 유용성을 보여주었으며, 무엇보다 성분업 의식의 역할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가족정책의 논의에 있어 가구내의 미시적 성분업 구조와 일-가족시간의 배분과 관련된 역동성을 좀 더 면밀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점과, 방법론적 함의로 미시자료를 이용한 양적연구에서도 퍼지셋 활용이 방법론적 다양성을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 PDF

TIME-SERIES PHOTOMETRY OF VARIABLE STARS IN THE GLOBULAR CLUSTER NGC 288

  • Lee, Dong-Joo;Koo, Jae-Rim;Hong, Kyeongsoo;Kim, Seung-Lee;Lee, Jae Woo;Lee, Chung-Uk;Jeon, Young-Beom;Kim, Yun-Hak;Lim, Beomdu;Ryu, Yoon-Hyun;Cha, Sang-Mok;Lee, Yongseok;Kim, Dong-Jin;Park, Byeong-Gon;Kim, Chun-Hwey
    • 천문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295-306
    • /
    • 2016
  • We present the results of BV time-series photometry of the globular cluster NGC 288.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to search for variable stars using the Korea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 (KMTNet) 1.6-m telescopes and a 4k pre-science CCD camera during a test observation from August to December, 2014. We found a new SX Phe star and confirmed twelve previously known variable stars in NGC 288. For the semi-regular variable star V1, we newly determined a period of 37.3 days from light curves spanning 137 days. The light-curve solution of the eclipsing binary V10 indicates that the system is probably a detached system. The pulsation properties of nine SX Phe stars were examined by applying multiple frequency analysis to their light curves. We derived a new Period-Luminosity (P-L) relation, ${\langle}M_V{\rangle}=-2.476({\pm}0.300){\log}P-0.354({\pm}0.385)$, from six SX Phe stars showing the fundamental mode. Additionally, the period ratios of three SX Phe stars that probably have a double-radial mode were investigated; $P_{FO}/P_F=0.779$ for V5, $P_{TO}/P_{FO}=0.685$ for V9, $P_{SO}/P_{FO}=0.811$ for V11. This paper is the first contribution in a series assessing the detections and properties of variable stars in six southern globular clusters with the KMTNet system.

아동의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 및 친사회성 간의 구조적 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n Children's Pet Attachment, Empathy Ability and Prosociality)

  • 한아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97-406
    • /
    • 2016
  • 이 연구는 최근 아동의 친사회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로 부각되고 있는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아동의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 및 친사회성간의 구조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애완동물을 기른 경험이 있는 대전광역시 초등학생 209명을 대상으로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 및 친사회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아동의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이 친사회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이 아동의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공감능력이 친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친사회성 사이에서 공감능력이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의 친사회성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은 필수요소임을 시사한다. 또한 아동의 친사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애완동물 기르기 등의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과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 그리고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에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해 준다.

게이미피케이션 요소의 문화적 차이에 대한 한국-오스트리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fferences in Cultural Attributes of Gamification between Korea and Austria)

  • 김종우;김상욱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09-122
    • /
    • 2018
  • 게이미피케이션은 게임의 작동기제가 제공하는 흥미적 요소들을 통해 사용자의 자발적 참여 동기와 몰입을 유도할 수 있는 잠재가치가 상당한 바, 게임 산업뿐만 삶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기법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전의 연구들은 게임요소와 몰입 또는 재미요소와 몰입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등 부분적 시각에 국한되어왔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게임요소와 재미 그리고 몰입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게임요소를 정의하고 재미를 정서적 재미, 인지적 재미, 그리고 사회적 재미로 구분하여 어떤 게임요소가 어떤 유형의 재미에 더 유의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게임은 '재미'를 위한 것이며, '재미'는 문화적 요소와 관계가 있는 일종의 정서라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가 출발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연구와 근본적 차이를 갖는다. 문화적 배경의 차이에 따라 느끼는 재미가 다를 것이며 그 재미에 영향을 미치는 게임요소도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국과 오스트리아를 대상으로 게임요소와 재미 그리고 몰입에 대한 상관관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한국은 사회적 재미가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재미에 영향을 주는 게임요소로는 '관계'와 '보상'으로 나타났다. 한편, 오스트리아는 인지적 재미가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적 재미에 영향을 주는 게임요소는 '스토리'와 '보상'으로 나타났다.

Median polish 기법을 이용한 한국 논의 공간변이 분석 (Analysis of Spatial Variability in a Korean Paddy Field Using Median Polish Detrending)

  • 정선옥;정인규;성제훈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3권5호
    • /
    • pp.362-369
    • /
    • 2008
  • There is developing interest in precision agriculture in Korea, despite the fact that typical Korean fields are less than 1 ha in size. Describing within-field variability in typical Korean production settings is a fundamental first step toward determining the size of management zones an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limiting factors, for establishment of site-specific management strategies. Measurements of rice (Oriza Sativa L) yield, chlorophyll content, and soil properties were obtained in a small (100-m by 30-m) Korean rice paddy field. Yield data were manually collected on 10-m by 5-m grids (180 samples with 3 samples in each of 60 grid cells) and chlorophyll content was measured using a Minolta SPAD 502 in 2-m by 2-m grids. Soil samples were collected at 275 points to compare results from sampling at different scales. Ten soil properties important for rice production in Korea were determined through laboratory analyses. Variogram analysis and point kriging with and without median polishing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variability of the measured parameters. Influence of variogram model selection and other parameter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data was investigated. For many of the data, maximum values were greater than double the minimum values, indicating considerable spatial variability in the small paddy field, and large-scale spatial trends were present. When variograms were fit to the original data, the limits of spatial dependency for rice yield and SP AD reading were 11.5 m and 6.5 m, respectively, and after detrending the limits were reduced to 7.4 m and 3.9 m. The range of spatial dependency for soil properties was variable, with several having ranges as short as 2 m and others having ranges greater than 30 m. Kriged maps of the variables clearly showed the presence of both large-scale (trend) variability and small-scale variability in this small field where it would be reasonable to expect uniformity. These findings indicate the potential for applying the principles and technology of precision agriculture for Korean paddy fields.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confirm the results with data from other fields and crops.d similar tendency with the result for the frequency less than 20 Hz, but the width of change was reduced highly.

돈분뇨를 기질로 활용한 고부가 가치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조건 최적화 연구 (Optimization of growth conditions for cultivation of Phellinus linteus mycelia using swine waste as a growth substrate)

  • 구태완;이준엽;조경진;이장우;신승구;황석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23권2호
    • /
    • pp.53-60
    • /
    • 2015
  • 본 연구는 돈분뇨의 환경친화적인 생물전환 기술을 통해 자원화 가능성을 보았다. 돈분뇨는 높은 유기물 함량 때문에 자연계로 배출되었을 때 여러 환경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적절하게 처리함과 동시에 자원화 효과를 볼 수 있는 균사체 생물전환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돈분뇨의 균사체 생장의 생물배지로써 활용가능성을 보았고 통계 수학적 방법론을 접목시켜 생장 최적점 도출 통해 생물전환 효율을 높이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돈분뇨를 생물배지로 활용해 상황버섯 균사체의 고체배양 실험을 수행하였다. 독립변수로는 돈분뇨 농도, pH, 온도를 선정하였고 종속변수는 상황버섯 균사체 길이 생장으로 선정했다. 중심점 합성법을 통해 경험적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며 각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수치화하여 표현했다. 각 독립변수의 1차, 2차, 그리고 interaction 영향을 살펴보았다. 통계수학적 방법론을 통해 상황버섯 균사체의 최대 길이 생장을 찾았고 이는 돈분뇨 농도 5.0 g/l, pH 5.0, 온도 $29.7^{\circ}C$에서 2.78mm/hr 이라는 최대 길이 생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돈분뇨의 생물배지 활용 가능성이 입증되었고 고부가가치인 상황버섯 균사체로의 생물전환의 효율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소형 오리멀젼 보일러의 연소특성 연구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 Small-Scale Orimulsion Boiler)

  • 김혜숙;신미수;장동순;최영찬;이재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081-108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중유를 사용하는 상용보일러에서 오리멀젼 연료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소형 보일러에서 오리멀젼 연료의 기본적인 연소특성을 실험과 더불어 수치해석하였다. 오리멀젼의 주요 연소특성은 최고 화염온도가 버너로부터 $20{\sim}30\;cm 뒤쪽에 나타나는 화염지연현상과 비교적 넓게 분포하는 화염의 형태로 이는 오리멀젼 제조과정에서 포함된 높은 수분함량과 미세한 수부액적으로 이한 미소폭발 현상에 기인한다. 오리멀젼 연료의 연소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료공급량, 무화유체의 종류, 그리고 계산에 사용된 현상학적인 복사모델과 같은 중요한 설계 및 운전인자에 대한 일련의 변수연구를 수행하였다. 연소특성인 최고 화염온도 지연현상은 연료공급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어느 정도 저감시킬 수 있었으며 연소생성물로 CO와 $SO_2$ 그리고 NO가스의 연소로 내 발생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무화용 유체로 증기를 사용하였을 경우 로내 연소상태는 무화용 공기에 비해 안정화 되고 고온영역이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실험조건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는 물리적으로 일관성 있는 결과를 제시하였으나 오염물질 생성농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추후 현상학적인 모델개선을 필요로 한다. 결국 본 연구로부터 개발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기존의 상용화 중유 보일러에서 오리멀젼 연료로 대체 사용시 개선사항 및 유용한 운전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압 삼상슬러리 기포탑의 설계 및 Scale-up을 위한 수력학적 Similarity 해석 (Analysis of Hydrodynamic Similarity of Pressurized Three-Phase Slurry Bubble Column for its Design and Scale-up)

  • 서명재;임대호;진해룡;강용;정헌;이호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6호
    • /
    • pp.720-726
    • /
    • 2009
  • 가압으로 운전되는 삼상슬러리 기포탑에서 기포 체류량과 압력강하를 목적함수로하여 기포탑의 설계 및 scale-up을 위한 수력학적 similarity를 고찰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선택한 각 실험변수가 기포탑의 직경변화에 따라 기포탑 내 기포 체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슬러리 기포탑에서 기체체류량 및 압력강하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로써 기체유속($U_G$), 연속 슬러리 상의 점도(${\mu}_{SL,eff}$) 및 표면장력(${\rho}_{SL}$), 운전압력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기체상의 밀도(${\rho}_G$)와 슬러리 밀도(${\rho}_{SL}$)의 차($\rho_{SL}$-${\rho}_G$), 기포탑 내부에서 단위길이 당 압력강하(${\Delta}P/L$), 기포탑의 직경(D) 그리고 기포탑에서 다상흐름에 작용하는 중력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중력가속도(g) 등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7개의 슬러리 기포탑의 수력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메타들과 3개의 기본차원들로부터 차원해석에 의해 수력학적 특성을 지배하는 4개의 무차원 군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무차원 군인 레이놀즈 수, 프라우드 수 그리고 웨버 수 등이 기포탑에서 기포체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기포탑 내부에서의 압력강하와 기체 체류량 등을 무차원 군의 상관식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압슬러리 기포탑의 설계 및 scale-up 등에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클래식 패션 이미지와 감성 어휘 연구 - 베이비붐, Y세대 여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lassic Fashion Image and Sensible Vocabularies - Focusing on Women of Baby Boom and Y Generations -)

  • 상윤진;유정민;박민정;이인성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85-98
    • /
    • 2015
  • Modern fashion shows the trend of various styles and the period focusing on only product functions is changed to the period focusing on consumer's sensibility. Consumers show different sensitivities and preference by individual at the stage cognizing and recognizing the stimulation of given image and the method of objective measurement based on the fashion sensible vocabularies is necessary to measure fashion sensibility. Therefor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to examine differences of preference to classic fashion by generation and awareness for sensible vocabularies and suggest methodology of design sensible evaluation research through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bjectifying subjective sensibility. For the method of research, precedent theses related to classic,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lassic in books and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by generation were examined, the best 3 domestic portal sites were selected and adjective vocabularies and images related to classic were collected from 2010 to 2014. Among the 206 adjectives collected, vocabularies whose average is more than 3.5 were drawn by 5-point Likert scale for fashion expert group. And, among the total 306 images collected, 21 representative images were selected by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fashion expert group. For the classic images and vocabularies select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were conducted by SPSS 19.0.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Preference to classic fashion image by genera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both of two generations selected classic fashion as the most classic one. The images of the next orders were analyzed. As a result, Y generation selected basic classic fashion image which is casual with high activity as a classic one. Baby boom generation selected ancient classic fashion image, so there were differences in preference for classic by generation. As a factor analysis on classic adjective vocabularies, they could be divided into 5 factors such as basic form, attractive form, traditional form, vintage form and active form and they verified that credibility of all measuring variables for classic sensible vocabularies was achieved. Differences of classic sensible vocabularies by classic fashion image and generation were examined. As a result, generation and classic fashion image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five factors. Therefore, there were differences of the awareness on classic fashion images and sensible vocabularies among the generations and this thesis can be a fundamental material which objectifies subjective sensibility and suggests the methodology of new researc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