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potato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5초

거세한우 육량향상을 위한 알칼로이드계열 천연물 이용 사료첨가제 개발 (Development of Natural Alkaloid-feed Additive for Enhancing Yield Grade of Hanwoo Steers)

  • 강동훈;박보혜;장선식;정기용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6권2호
    • /
    • pp.31-40
    • /
    • 2024
  • 표준물질 Alpha-chaconine과 alpha-solanine에 대한 LC-MS 분석을 통해서 농도별 기준을 정하고 추출시료의 농도를 정량분석 하였다. LC-MS 분석을 통한 정량선 작성 결과 두 화합물 모두 0.16~5,000ng/mL 농도 구간에서 검량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건조시료에서 alphachaconine 2.05mg/g, alpha-solanine 0.60mg/g으로 총합 2.65mg/g의 알칼로이드를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열수추출물의 경우 총합 2.23mg/g,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총합 0.52mg/g으로 알칼로이드 함량이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아트로핀 표준물질에 대한 LC-MS 분석 결과 m/z 290의 SIM mode에서 검출하였다. 가지와 토마토 추출물에서 아트로핀 화합물이 미검출 되었으며, 실험에 사용된 시료에서는 아트로핀 화합물의 함유가 작아 정량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 8에 나타나는 제1위 소화율 시험에서 감자와 Zilmax를 첨가한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소실이 진행되었고 가지의 경우 완만하게 소실되었다. 소실되는 건물내 존재하는 글라이코 알칼로이드 농도를 측정해 본 결과 α-solanine과 α-chaconine 농도 모두가 감소하였고 특히 섭취 후 8시간에서 12시간 내에 완전 소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알칼로이드 사료첨가물을 20일간 급여한 거세한우 32두의 혈액 내 대사물질을 측정한 결과 유리지방산(NEFA)의 경우 가지처리구와 대조구에서는 다른 대사물질과 유사하게 증가하였는데 Zilmax와 감자 처리구에서는 반대로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감자추출물이 유리지방산에 작용기작이 β-adrenergic agonist인 Zilmax와 유사한 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색고구마를 사용한 항산화 활성이 강화된 동치미 냉면육수 제조 (Making of Dongchimi Naengmyeun Broth Which Has Enhanced Antioxidant Activity Using Purple Sweet Potato)

  • 서원택;김한곤;이진성;조계만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43-150
    • /
    • 2011
  • 기능성이 밝혀져 있는 자색고구마를 첨가하여 기호성과 영양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동치미 냉면육수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색고구마를 첨가한 동치미 냉면육수 발효 과정에서 젖산균, pH, 산도, 유기산, 수용성 phenolics, anthocyanin, 및 항산화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특히, 자색고구마를 첨가한 경우 발효종기(72시간)에 수용성 phenolics 및 anthocyanins 함량은 각각 1.26 g/L 및 8.59 g/L로 대조실험과 비교하여 각각 5배 및 34배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96.80%, $ABTs^{+{\cdot}}$ 라디칼 소거활성 100.82%, 환원력 7.77 ($OD_{700}$), FRAP 6.89 ($OD_{593}$)로 대조실험과 비교하여 각각 4배, 1.2배, 2배 및 3.6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동치미 냉면육수의 항산화 활성은 자색고구마의 수용성 phenolics와 anthocyanins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기능성 동치미 냉면육수 제조가 가능하였다.

Evaluation of Cell Based Anti-oxidation Assay of Functional Components Derived from Domestic Major Potato Varieties

  • Jung Hwan Nam;Su Young Hong;Su Jeong Kim;Hwang Bae Sohn;Yul Ho Kim;Kyung Tea Lee;Soo jin Park;Jae Kwon Lee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5-75
    • /
    • 2020
  • Potatoes were first introduced outside the Andes region four centuries ago, and have become an integral part of much of the world's food. Potatoes were first introduced into Europe in the 16th century and Korea in the early 19th century. Potatoes have a short growing season, high production per unit area, relatively strong environmental adaptability, and are cultivated in more than 130 countries around the world. It is the world's fourth-largest crop, following rice, wheat, bean and maize. In the nutritional aspects, potatoes contain abundant vitamins and minerals, as well as an assortment of phytochemicals such as carotenoids and natural phenols. Due to the high content of potato functional compounds, it has known that potatoes are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f various human diseases. In particular, the potato contains a large amount of polar compounds, including the saponin in the polar compounds, and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saponins, such as immunity enhancement,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is known.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polar compounds from five potatoes was examined by cell based anti-oxidation assay. The smallest amount of ROS(Reactive oxygen species) was generated when the compound was derived from 'Haryung' and 'hongyoung' and strong SOD(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was observed in 'Sumi' and 'Jayoung'.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e antioxidative effect of polar compounds extracted from various kind of potatoes, which will enable the acquisition of new bioactive candidates and the establishment of new profit generation models for farmers

  • PDF

고구마를 첨가한 저맥아 맥주의 양조와 품질 특성 (Brewing and Properties of Low-Malt Beer with a Sweet Potato Paste)

  • 양하나;오은비;박정섭;정문웅;최동성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91-500
    • /
    • 2017
  • 신율미와 신자미 페이스트, 맥아, 효소제, 홉을 사용하여 고구마-맥아 당화액을 제조하고, 하면 발효효모 및 상면 발효효모를 접종, 발효하여 라거 및 에일 고구마 맥주를 제조하였다. 고구마 당화시 ${\alpha}-amylase$ 계 효소제를 첨가했을 때 여과성 향상과 당도 증가 효과가 가장 좋았다. ${\alpha}-Amylase$ 계 효소제를 0.1% 첨가하여 three step infusion 법으로 고구마-맥아 당화액을 제조했을 때 맥주 양조를 위한 최적 당도인 $13.5^{\circ}Brix$를 갖는 당화액이 얻어졌다. 라거 및 에일 신자미 맥주에서 고구마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 함량이 증가하였고,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효과도 크게 증가하였다. 신율미 맥주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구마 맥주의 항산화 활성과 폴리페놀 함량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라거 및 에일 신자미 맥주 모두에서 고구마 41.6%를 첨가했을 때 관능평가가 양호하였고, 미려한 적색의 색조를 띄었다.

품종별 고구마 칩의 제조 조건 최적화 및 최적 품종 선정 (Optimization of Processing Conditions and Selection of Optimum Species for Sweet Potato Chips)

  • 장귀영;;이상훈;우관식;신현만;김홍식;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65-572
    • /
    • 2013
  • 고구마 칩의 최적 제조 조건 확립과 적합품종을 선정하기 위하여 신자미, 주황미 및 하얀미를 시료로 세절 두께(1~3 mm), 침지 당액 농도(15~30%), 데치기 시간(15~60 sec), 굽기 온도($110{\sim}140^{\circ}C$) 및 굽기 시간(23~31 min)을 달리하여 칩을 제조하고, 각 조건별 관능평가와 파괴강도를 측정하였다. 품종 별 최적 제조 조건은 신자미는 각각 1 mm, 20%, 45 sec, $120^{\circ}C$ 및 31 min이었으며, 주황미는 1 mm, 25%, 45 sec, $130^{\circ}C$ 및 29 min이었고, 하얀미는 1 mm, 25%, 30 sec, $130^{\circ}C$ 및 27 min이었다. 칩 제조 후 유리당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maltose는 원료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칩에서 3.85~13.50% 범위에서 증가하였고, sucrose 함량은 10.31~20.67% 범위에서 25.24~34.06% 범위로 칩 제조 시 증가하였다. 칩의 관능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fructose, maltose, sucrose 함량, b-value 및 failure stress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칩의 제조 시 적합한 품종의 선택과 품종에 따른 최적 제조 조건의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주황미가 칩의 제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자색 고구마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활성 (Biological Activity in Functional Cosmetic of Purple Sweet Potato Extracts)

  • 최재홍;김진성;조분성;김정환;박혜진;안봉전;김명욱;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14-422
    • /
    • 2011
  • 자색 고구마로부터 페놀성 화합물 추출 최적 조건은 50% 에탄올로 12시간 추출하였을 때 최대 용출량을 나타내었다. 불과 50%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제조한 자색 고구마 종류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전자공여능, ABTS, PF 측정에서 일반 고구마에 비하여 자색 고구마 자미, 신자미, 연자미 품종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TBARs 측정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30% 이하로 낮은 TBARs 생성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피부상재균에 대한 최소저해농도(MIC)를 측정한 결과 Staphylococous aureus 및 Escherichia coli에 대한 MIC는 자미, 연자미, 신자미에서 각각 5,000 및 2,500 ppm으로 나타났으며, Staphylococous epidermidis에 대한 MIC는 자미가 2,500 ppm으로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자색고구마 추출물의 화장품활성을 살펴본 결과 미백활성은 자미 품종 물 추출물에서 60% 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며, 자미 알콜추출물의 경우도 48.7%의 높은 미백활성을 나타내었다. 모든 자색고구마 품종에서 수렴활성과 주름개선효과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항염증 활성은 높게 관찰되었으며, 자미 품종의 에탄올 추출물이 94.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미 추출물을 첨가한 화장품의 온도 및 자연광에 의한 성상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첩포시험을 통한 자각 증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크림 사용 후 피부톤의 변화와 모공의 크기 변화를 측정한 결과 노화가 많이 일어난 피부가 젊은 피부보다 더 높은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일반감자와 유색감자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Nutrient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eneral and Colored Potato)

  • 장혜림;홍주연;김남조;김민하;신승렬;윤경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2호
    • /
    • pp.144-150
    • /
    • 2011
  • 우리나라에서 널리 보급되고 있는 일반감자 '수미'와 일반감자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유색감자 6종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일반성분 및 환원당,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무기질 그리고 색도를 측정하였다. '수미'는 유색감자에 비해 수분 함량이 높았으며, 탄수화물은 '레드'가 18.0%로 감자 중 가장 많았고, 조회분 함량은 모든 유색감자가 '수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조단백, 조지방 함량은 '자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섬유 함량은 '블루'가 1.6%로 가장 높았고, 그 함량은 '수미'의 2배였다. 환원당 함량은 유색감자 중 '로즈'와 '블루'가 '수미'의 3배 이상이었으며, fructose와 glucose가 대부분인 '수미'에 비해 유색감자는 sucrose의 함량이 높았다. 유리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와 arginine, ${\gamma}$-aminobutyric acid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유리당은 품종 간 그 함량과 조성이 매우 다양했다. 또한 유기산 함량은 '하령'이 $507.1mg{\cdot}100g^{-1}$으로 가장 높았으며, 무기질은 모든 감자에서 칼륨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색도를 측정한 결과, 명도를 나타내는 Hunter 'L' value는 '자서'에서, 적색도를 나타내는 Hunter 'a' value는 '블루'와 '자심'에서 높았으며, 황색도를 나타내는 Hunter 'b' value는 단면이 노란색을 띄는 '하령'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유색감자는 '수미'에 비해 많은 양의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우수한 품질 특성을 나타내어 기능성 식품소재로써의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FUNCTIONAL FOODS IN THE TRADITIONAL MAORI DIET

  • Cambie, Richard C.;Ferguson, Lynnette R.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Dietary and Medicinal Antimutgens and Anticarcinogens
    • /
    • pp.54-55
    • /
    • 2001
  • The Maori people were early New Zealand settlers of Polynesian descent. The incidence of non-infectious diseases appears to have been low in these people, perhaps in part due to the presence of protective chemical constituents within their food plant supply. Three of the tropical crops they introduced are still eaten here today: the sweet potato of kumara (Ipomoea batatas), the taro (Colocasia esculenta) and the cabbage tree or ti (Cordyline terminalis).(omitted)

  • PDF

FUNCTIONAL FOODS IN THE TRADITIONAL MAORI DIET

  • Cambie, Richard C.;Ferguson, Lynnette R.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Effects of Edible Phytochemicals and Their Synthetic Derivatives on Carcinogenesis and Mutagenesis
    • /
    • pp.11-12
    • /
    • 2001
  • The Maori people were early New Zealand settlers of Polynesian descent. The incidence of non-infectious diseases appears to have been low in these people, perhaps in part due to the presence of protective chemical constituents within their food plant supply. Three of the tropical crops they introduced are still eaten here today:the sweet potato of kumara (Ipomoea batatas), the taro (Colocasia esculenta) and the cabbage tree or ti (Cordyline terminalis).(omitted)

  • PDF

베이커리의 기능성 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for Functional Bakery Products)

  • 나성주;김성옥;강근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61-768
    • /
    • 2009
  • This study evaluated 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for functional bakery products by consumers living in Seoul, Overall, 82.0% answered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yes' which was 4.5 times as much as those who answered 'no' tried functional bakery products. Purchasing mostly depended on 'myself' (69.0%), and other methods of acquiring information as well as 'bakery' (10.8%), 'neighbour' (8.5%), 'media' (7.9%), and the 'internet' (3.7%). The preferred functional ingredients were 'sweet potato' with (22.9%), and 'rye and oat' (13.8%), 'green tea' (13.5%), 'pumpkin' (11.4%), and 'chestnut' (7.3%) were other preferred ingredients. The reasons for this preference were that they were 'healthy' by (47.1%) and had a 'good taste' by (36.6%). Evaluation of the recognition of functional bakery products revealed that, 'nutrition' had the highest scale of recognition of (3.80 out of 5), and followed by 'healthy' with (3.69 out of 5). Conversely, 'proper price' received a below average score of 2.97, indicating dissatisfaction. Moreover, the overall average satisfaction with functional bakery products was 3.37, and with the taste, nutrition, and quality receiving a highly satisfactory score of 3.52, and price receiving an unsatisfactory score of 3.00. The factors most important to improve functional bakery products were, 'variety' (37.6%) was most important, followed by 'increased nutrition' (21.2%) and 'lower price' needed to be improved as well.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decision to purchase functional bakery products was 'material' with (3.737) followed by 'name value' with (3.56).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