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cosmetic

검색결과 689건 처리시간 0.026초

한약재 복합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및 항염 효과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of Mixed Medicinal Herb Extract)

  • 이인철;김미경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1-58
    • /
    • 2015
  • Objectives : This paper aimed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mixed extract ofAngelica gigasNakai,Cnidium officinaleMakino,Paeoniala ctifloraPall,Rechmannia glutinosaLibosch,Scutellaria baicalensisGeorgi, which were prescribed for improving inflammation in Donguibogam, as the materials for beauty food and functional medicinal herb cosmetics by manufacturing such mixed extract and evaluating the biological activity of the extract.Methods : The mixed medicinal herb water extract(MMW) and ethanol extract(MME) were freeze-dried to be used as the specimen. We performed electron donating ability, lipid acidification inhibitory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against skin flora, MTT assay, NO inhibitory activity and the protein expression inhibitory activity of iNOS and COX-2.Results : For anti-oxidation experimentation,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MMW and MME were above 60.0% and 90.0% at 500 μg/ml, respectively. In the inhibition rate of lipid peroxidation, MMW and MME showed 43.1% and 52.1% at 1,000 μg/ml,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timicrobial activity, both the MMW and MME showed significant clear zones forPropionibacterium acnesat 4 mg/disc, but did not indicated the clearzones for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andStaphylococcus epidermidis. Anti-inflammatory activity by NO assay showed LPS-induced NO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lso, the expression of iNOS and COX-2 protein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following treatment with MMW and MME of 50 μg/ml.Conclusions : Accordingly, it can be concluded that mixed medicinal herb extract has the potential to beused as a functional food and cosmetic material.

선학초 추출물의 미백활성 (Whitening Activities of the Agrimonia pilosa L. Extracts)

  • 김동희;안봉전;이진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4호
    • /
    • pp.284-289
    • /
    • 2011
  • 선학초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미백효과를 검증하였다. 세포 내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결과 선학초 에탄올 추출물 $500{\mu}g/mL$에서 42%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선학초 추출물이 세포 내 tyrosinase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서 멜라닌 합성 또한 저해 하는 것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선학초 추출물의 단백질 발현과 mRNA 발현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선학초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B16F10군에서는 tyrosinase protein의 발현이 처리하지 않은 군보다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선학초 추출물의 미백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식품 및 화장품의 기능성 소재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막걸리 분획물의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능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icacy of Makgeolli Fractions)

  • 박경원;곽다희;권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571-57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식품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는 막걸리의 항산화효능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효과를 연구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시료는 시판 막걸리 잔사에 MeOH 3 L를 가한 후 얻어진 현탁액을 농축한 후 EtOAc 3 L을 가하고 분획하여 상층을 최종시료로 사용하였다. MTT assay 평가에서는 $100{\sim}1,000{\mu}g/mL$ 범위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고, 항산화활성은 농도 의존적 경향을 보였으며, EC50은 7.008 mg/mL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결과 추출물의 IC50 값은 49.22 mg/mL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본 시료는 기능성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Application of Mini-abdominoplasty after Conservative Excision of Extensive Cesarean Scar Endometriosis

  • Lee, Eui Tai;Park, Hyun Min;Lee, Dong Geun;Shin, Kyung Jin;Kim, Hak Soon;Sung, Ro Hyun;Ryu, Dong Hee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9권5호
    • /
    • pp.551-555
    • /
    • 2012
  • Endometriosis is defined as the presence of functioning endometrial tissue outside the uterine cavity, and the standard treatment is extensive surgical excision. Cesarean scar endometriosis is a type of cutaneous endometriosis arising on or near a Cesarean section scar. A 44-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 $9{\times}6$ cm sized dark-brown, stony-hard, irregular, lower abdominal mass of four years duration. The patient had a history of two Cesarean deliveries, 14 and 16 years ago. Suspecting endometriosis, we excised the tumor conservatively rather than extensively to prevent incisional hernia considering the benign nature of the tumor and the low possibility of recurrence because the patient's age was near menopause, along with simultaneous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that was performed in this case. On reconstruction, mini-abdominoplasty was adopted to avoid possible wound complications and cosmetic deformities. The patient was satisfied with the cosmetic results, and neither recurrence nor functional problems occurred during the 1-year follow-up period. Plastic surgeons should keep in mind the possibility of cutaneous endometriosis in an abdominal mass of a female of reproductive age with a previous history of pelvic or intra-abdominal surgery. An optimal result from oncological, functional, and cosmetic standpoints can be achieved with conservative excision followed by mini-abdominoplasty of extensive Cesarean scar endometriosis.

Effects of Egg Shell Membrane Hydrolysates on UVB-radiation-induced Wrinkle Formation in SKH-1 Hairless Mice

  • Yoo, Jin Hee;Kim, Jong Keun;Yang, Hee Jin;Park, Ki Mo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8-70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egg shell membrane hydrolysates (ESMH) on wrinkle, UV, and moisture protection for cosmetic use. ESMH were fragmented as whole ESMH (before fractioning), Fraction I (> 10 kDa), Fraction II (3-10 kDa), and Fraction III (< 3 kDa). In order to test whether fractionated ESMH can be used for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we examined not only the level of hyaluronic acid and collagen production, but also the MMP-1 activity using a HaCaT and CCD-986Sk cell line. Our study treated each sample of fractionated ESMH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0.01, 0.1, 1 mg/mL). In our in vivo research, we used hairless mice that had been exposed to UV-B to induce wrinkles for 7 wk, then applied Fraction I to the treatment group for 5 wk and then tested skin thickness, minimum erythema dose and moisture content. In addition, Fraction I was high in collagen and HA biosynthesis and it was better than TGF-${\beta}$ in improving of the skin. When TNF-${\alpha}$ caused MMP-1 activity in the CCD-986Sk cells, the whole ESMH and Fraction I proved to be effective in hindering the induction of collagenase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and also showed outstanding effects in the suppression of skin aging. We found that the treatment group mice's UV-B radiation-induced skin damage was largely mitigated compared to that of the non-treatment group mice. Thus, we have concluded that EMSH helps to mitigate UV-B radiation-induced wrinkles, collagen, HA, MMP-1 activity and can be used for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의 N-Acetyl-D-glucosamine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N-Acetyl-D-glucosamine as the Anti-aging Cosmetic Ingredients)

  • 표영희;김영은;문지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06-71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게나 새우의 껍데기에서 추출된 키틴을 탈아세틸화 하여 얻은 NAG를 화장품 원료로서 적용하고자 하였다. NAG와 GLC를 비교하기 위하여 피부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항염증,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멜라닌과 홍반변화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Raw 264.7세포와 B16F10세포에 대해 유의한 세포독성을 나타나지 않았으며, Raw 264.7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 항염증 저해효과는 미비 하였고, NAG는 B16F10세포에 ${\alpha}$-MSH로 멜라닌 생성을 유도한 후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멜라닌의 생성 증가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NAG가 함유된 크림을 만들어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멜라닌 지수, 홍반지수의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 NAG 함유 화장품이 피부미백개선을 위한 기능성화장품으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출 방법에 따른 비파엽 추출물의 미백 및 항염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eaf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박정옥;박진오;주철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1-15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하여 비파엽 추출물을 제조하고 효소 및 세포 활성평가를 진행하였다. 활성평가는 tyrosinase 측정법을 이용한 미백 효능, NO 측정법을 이용한 항염 효능에 대한 활성등을 분석하였다. 미백 효능 관련 tyrosinase 활성 저해는 10% 농도의 비파엽 초임계 추출물에서 미약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염 효능 관련 NO 활성 저해 분석 결과, 초임계 추출물, 에탄올 환류 추출물, 열수 추출물의 순서로 NO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MTT assay를 실시한 결과, 70% 에탄올 환류 추출물 5% 처리를 제외하고는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미백 효능 관련 멜라닌 생성 저해는 5% 처리 농도에서 30%, 70% 에탄올 환류 추출물이 강하게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로부터 비파엽 추출물 제조를 통한 우수한 항염 효능 및 미백 효능 관련 활성을 나타내는 추출조건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용 자료로서의 역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지능형 약물전달시스템을 위한 pH 감응형 P(MAA-co-EGMA) 수화젤 미세입자의 탑재거동 (Loading Behavior of pH-Responsive P(MAA-co-EGMA) Hydrogel Microparticles for Intelligent Drug Delivery Applications)

  • 신영찬;김규식;김범상
    • 폴리머
    • /
    • 제32권5호
    • /
    • pp.421-426
    • /
    • 2008
  • pH감응형 P(MAA-co-EGMA) 수화젤을 분산 광중합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입자로 합성하고 화장품 제형으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델 탑재물질인 Rh-B와 화장품 분야에서 기능성 물질로 사용되는 ascorbic acid, adenosine, EGCG, arbutin을 이용하여 탑재 및 방출 거동을 조사하였다. Rh-B 탑재의 경우, pH 6.5인 수용액에서 이온화에 의한 P(MAA-co-EGMA) 수화젤의 음전하와 Rh-B의 양전하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으로 인하여 가장 높은 탑재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화장품 기능성 물질들의 경우, pH 6.5 수용액에서 이온화된 P(MAA-co-EGMA) 수화젤의 음전하와 기능성 물질들이 나타내는 음전하 사이의 정전기적 반발력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탑재효율을 나타내었다. Rh-B를 사용한 방출실험 결과, p(MAA-co-EGMA) 수화젤 미세입자는 높은 pH에서는 다량의 Rh-B를 그리고 낮은 pH에서는 소량의 Rh-B를 방출하는 pH 감응성 방출거동을 나타내었다.

스피큘을 함유한 화장품의 피부안전성 및 주관적 피부개선감 연구 (Subjective Skin Improvement and Safety of the Spicules-containing Cosmetics)

  • 한도숙;김기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12-223
    • /
    • 2021
  • 본 연구는 스피큘이 함유된 화장품을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안전한지를 평가하고, 기능성 활성 물질이 담지된 다이아몬드-스피큘이 경피흡수를 높이면서 피부에는 효율적으로 투과되어 그 효능이 잘 나타나는지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30~60대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각 시험군에 따른 화장품을 4주간 피부에 적용하여 주관적으로 느끼는 피부 자극 및 피부 변화 여부를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스피큘을 함유한 화장품이 일반 화장품과 비교하여 피부에 더 안전하였으며, 특히 다이아몬드-스피큘 함유화장품의 경우는 항주름, 탄력, 보습, 미백, 염증 완화 및 예민함 등이 시험 전과 비교하여 월등하게 개선되었다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응답을 하였다(p<.001). 이로써 스피큘이 함유된 화장품이 피부에 안전하며, 기능성 활성 물질이 담지된 다이아몬드-스피큘이 경피전달시스템의 기능뿐 아니라 담지된 활성 물질이 피부에 효율적으로 투과될 수 있는 다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의 활용도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Outcomes of Closed versus Open Rhinoplasty: A Systematic Review

  • Gupta, Rohun;John, Jithin;Ranganathan, Noopur;Stepanian, Rima;Gupta, Monik;Hart, Justin;Nossoni, Farideddin;Shaheen, Kenneth;Folbe, Adam;Chaiyasate, Kongkrit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9권5호
    • /
    • pp.569-579
    • /
    • 2022
  • Open and closed rhinoplasty are two main approaches to perform nasal modifications. According to current literature, there is no current consensus among plastic surgeons and otolaryngologists on which technique is preferred in terms of aesthetic result, complications, and patient satisfaction. This study uses published research to determine whether open or closed rhinoplasty leads to superior patient outcomes.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guidelines for systematic reviews were followed and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in four databases based on our search strategy. Articles were then imported into COVIDENCE where they underwent primary screening and full-text review. Twenty articles were selected in this study after 243 articles were screened. There were 4 case series, 12 retrospective cohort studies, 1 prospective cohort study, 1 case-control, and 2 outcomes research. There were three cosmetic studies, eight functional studies, and nine studies that included both cosmetic and functional components. Sixteen studies utilized both open and closed rhinoplasty and four utilized open rhinoplasty. Both techniques demonstrated high patient and provider satisfaction and no advantage was found between techniques. Based on available studies, we cannot conclude if there is a preference between open or closed rhinoplasty in terms of which technique leads to better patient outcomes. Several studies determined that open rhinoplasty and closed rhinoplasty leads to comparative patient satisfaction. To make outcome reporting more reliable and uniform among studies, authors should look to utilize the Nasal Obstruction and Septoplasty Effectiveness scale and the Rhinoplasty Outcome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