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lvic acid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8초

국산 DAF 펌프가 적용된 연속 DAF 공정의 운전 조건 (Operation Conditions for Continuous DAF Process with Domestic DAF Pump)

  • 안대명;이창한;안갑환;조석호;김성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42-246
    • /
    • 2004
  • Dissolved air flotation (DAF) is an effective solid/liquid separation process for low density particles, such as algal flocs, humus materials and clay particles produced from low turbidity water. The fraction of humic substances for natural organic matters (NOMs) are considered problematic in water because it can readily react with chlorine to form harmful by-products (trihalomethanes) and can be exposed to undesirable color, tastes and odors in drinking water. A broad class of NOMs includes fulvic acid, humic acid and humin. This paper will discuss the results from a study that performed with a DAF pump process using synthetic wastewater contained humic substance. Batch jar tes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coagulant dose and recycle ratio on flotation efficiency.

피트모스에서 추출한 휴믹물질(휴믹산, 풀빅산, 휴민)의 화학적 및 분광학적 물질특성 규명 (Chemical and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of Peat Moss and Its Different Humic Fractions (Humin, Humic Acid and Fulvic Acid))

  • 이창훈;신현상;강기훈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4호
    • /
    • pp.42-5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캐나다 산 피트 모스(Canadian Sphagnum peat moss)시료로부터 산${\cdot}$염기 침전법을 이용하여 휴믹산(p-HA), 풀빅산(p-FA), 휴민(p-Humin)을 순수분리 하였고, 화학적(원소분석, pH 적정) 및 분광학적(적외선 및 핵자기공명 분광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피트모스와 각 휴믹 성분의 특성(원소성분비, 양성자교환용량(PEC), 작용기 및 분자구조)을 규명하였다. 또한, Cd(II)을 흡착시킨 p-Humin의 적외선 스펙트럼 분석을 통하여 휴믹분자의 금속이온 결합자리를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얻어진 특성분석 결과는 문헌에 제시된 토양 휴믹물질의 특성과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유기물 집적 층인 피트 모스에 존재하는 휴믹물질의 친환경적 응용에 필요한 기초 물질 특성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순수분리 결과, p-Humin 및 p-HA와 p-FA의 함량은 피트 모스 전체유기물 함량($957{\pm}32g/kg$)의 각각 $76\%,\;18\%,\;3\%$로 분포하였으며, 원소 성분비는 p-Humin이 $C_{1.00}H_{1.52}O_{0.79}N_{0.01}$로서 p-HA($C_{1.00}H_{1.09}O_{0.51}N_{0.02}$), p-FA($C_{1.00}H_{1.08}O_{0.65}N_{0.01}$)에 비하여 H/C와 (N+O)/C 비가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pH 적정분석을 통한 산/염기 특성 분석결과, 피트 모스 휴믹 분자에는 서로 다른 환경에 있는 두 종류의 산성 작용기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PEC(meq/g) 값은 p-FA(4.91) >p-HA(4.09) >p-Humin(2.38)의 순으로 나타났다. 적외선 스펙트럼 분석 결과, 피트모스 휴믹물질의 작용기 기본 특성은 기존 토양 휴믹물질과 유사하였으며, 금속이온 주요 결합작용기는 -COOH임을 확인하였다. 피트 휴믹 분자의 탄소 골격은 전반적으로 낮은 휴믹화 단계의 물질 특성을 보였으며, $^{13}C$-핵자기공명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p-Humin과 용해성 휴믹 성분(p-HA, p-FA)의 분자구조 특성의 차이점을 밝힐 수 있었다.

수피${\cdot}$돈분 부산물 비료의 부숙단계별 분광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of Bark and Piggery Manure By-Product Composts During the Composting)

  • 양재의;박창진;신명교;박용하;최문헌;김정규;김정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78-383
    • /
    • 1999
  • 본 연구는 수피 부산물 비료의 돈분 부산물 비료의 부숙단계별 시료의 유기물 분획의 함량 변화, ${\Delta}log$ K값과 RF값 등의 분광학적 특성 변화, 원형여지 chromatograp의 변화를 측정하여, 부숙도의 판정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피와 돈분 부산물빌 중 HA-C와 FA-C의 함량은 대체로 부숙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HA-C/FA-C 비는 증가하였다. 수피와 돈분 부산물 비료의 ${\Delta}log$ K값은 부숙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RF값은 증가하였다. 생수피의 부식산 형태는 $R_p$ 형태였으나, B형태를 거쳐 120일경과 후 A형태로 변화하여 거의 완숙상태에 도달하였으며, 돈분 부산물 비료의 경우 40일경과 후에도 B형태로 나타나 유기물질의 부숙이 진행중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피부산물 비료의 원형여지 chromatograph는 120일경과 후에 규칙적인 톱니 모양을 하고 있어 완숙단계에 이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으나, 돈분 부산물의 경우는 40일이 경과한 후에도 부분적으로 불규칙적인 모양을 하고 있어 부숙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 PDF

수산가공폐수슬러지의 퇴비화과정중 물질변화 (Changes of the Substances during Composting of Seafood Processing Wastewater Sludge)

  • 이홍재;백송범;김우성;박현건;허종수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3호
    • /
    • pp.55-69
    • /
    • 2001
  • 수산가공폐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품질의 퇴비생산을 위하여 현장 퇴비화공장에서 슬러지와 가축분의 혼합 비율에 따른 퇴비화 과정중의 온도는 모든 처리에서 퇴비화 3~5일간 급격히 상승하여 최고온도에 도달하였으며 그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퇴비화 19일후 하강온도가 $40{\sim}50^{\circ}C$되었을 때를 1차 퇴비화 종료시점으로 판단하고 1차 뒤집기를 실시하고 후숙을 시켰으며 그후 퇴비화조내의 온도가 다시 상승하였다. 그후 2차 및 3차 뒤집기를 실시하였으나 온도의 상승폭이 작아 퇴비화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퇴비화과정중 온도는 슬러지 첨가율이 높을수록 높았다. 퇴비화 종료시점에서의 퇴비중 총 탄소함량은 퇴비화 초기에 비해 약 4.5~8.0% 감소하였고, 그 감소폭은 수산가공폐수슬러지의 첨가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퇴비화과정 중 유기물중 ether추출물질, resins 및 hemicellulose함량은 각각 약 35~77%, 32~69% 및 19~30%감소하였으나, 수용성 polysaccharides함량은 별 변화가 없었고, cellulose, lignins 및 미동정태 유기물함량은 약간 증가하였다. 퇴비화 종료시점에서의 총 질소, amino sugar태 및 amino acid태 질소함량은 퇴비화재료에 비해 각각 약 20~42%, 11~40% 및 23~65% 감소하였다. 퇴비화과정 중 humic acid함량은 별 변화가 없었으나, fulvic acid함량은 퇴비화가 진행될수록 감소하여 전체 humus 중 humic acid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수산가공폐수 슬러지의 퇴비화과정 중 시기별 무우, 배추 및 오이의 발아율 및 뿌리 생장율을 조사한 결과 모든 처리에서 발아율은 퇴비화 30일 이후에는 90%이상으로서 완숙퇴비기준치 이상이었고, 뿌리생장율도 30일 이후에는 대조구와 비슷하였으며 퇴비화 30일 이후에는 각 처리 조건 및 시기별 별 영향이 없었다.

  • PDF

토양 column 중 bipyridylium계 제초제 paraquat의 용탈 특성 (Leaching characteristics of the bipyridylium herbicide paraquat in soil column)

  • 권정욱;이재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9-36
    • /
    • 1999
  • 물리화학적 성질이 상이한 두 종류의 토양으로 충전된 유리 column (5 cm I.D. ${\times}$ 30 cm H.)을 이용하여 bipyridylium계 제초제 paraquat의 용탈을 조사하였다. 토양 A (양토)의 벼 재배구와 무재배구에서 117 일 동안 토양 column으로부터 용탈된 $^{14}C$은 각각 총 처리량의 0.42%와 0.54%이었고, 토양 B (사양토)의 경우에는 각각 0.21%와 0.31%이었다. 벼에 흡수된 $^{14}C$은 토양 A와 B에서 각각 3.87%와 2.79%이었고 대부분이 뿌리에 분포하였다. 두 토양 모두에서 총 처리량의 96% 이상이 토양중에 남아 있었고, 특히 $0{\sim}5$ cm 부위에 대부분 존재하였다. Paraquat 토양잔류물의 물에 의한 추출율은 $6.10{\sim}9.10%$이었고 추출불가 토양잔류물의 분포비율은 humin>humic acid>fulvic acid 순이었다. 벼 무재배구의 토양 pH는 담수의 혐기적 조건때문에 용탈실험 후 증가하였으나 벼 재배구에서의 토양 pH는 벼 뿌리로부터 분비되는 삼출물에 의한 상쇄효과로 증가되지 않았다. 토양중 paraquat의 낮은 이동성은 논에 잔류되어 있는 paraquat에 의한 지하수의 오염가능성이 매우 희박함을 시사해 준다.

  • PDF

수도체(水稻體) 및 담수토양중(湛水土壤中) $^{14}C$-Carbofuran의 행적(行跡)에 관한 연구(硏究) (Fate of 14C - Carobofuran in Rice Plant and Paddy Soil)

  • 이영득;이경휘;박창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16
    • /
    • 1987
  • 수도체(水稻體) 및 담수토양중(湛水土壤中) carbofuran의 행적(行跡)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토양표면(土壤表面)에 $3-^{14}C-carbofuran$을 처리(處理)하고 시기별(時期別)로 수도체(水稻體)로의 흡수(吸收), 이행(移行) 및 대사양상(代謝樣相)을 조사(調査)하였다. 토양표면(土壤表面)에 처리(處理)한 carbofuran은 근부(根部)를 통(通)하여 수도체내(水稻體內)로 신속히 흡수(吸收), 이행(移行)되었으며 처리(處理) 후(後) 2일이내(以內)에 엽선단(葉先端)에 도달하고 축적(蓄積)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약제처리(藥劑處理) 20日 후(後) 수도체(水稻體)로 흡수(吸收)된 방사능(放射能) 총(總) 처리방사능(處理放射能)20%이상(以上)었다. 수도체중(水稻體中)arbofuran의 주요(主要) 대사산물(代謝産物)은 3-hydroxycarbofuran이었고, 3-ketocarbofuran 및 3종(種)의 phenol성(性) 대사물(代謝物)이 검출(檢出)되었다. 수용성(水溶性) conjugates의 대부분(大部分)은 glycoside결합형태(結合形態)이었으며 주요 aglycon은 3-hydroxycarbofuran이었다. 토양중(土壤中) 방사능(放射能)은 처리(處理) 3日 후(後)까지는 빠른 속도(速度)로 감소(減少)하였으나 그 이후(以後) 거의 일정(一定)한 수준(水準)을 보였다. 비추출성(非抽出性) 방사능(放射能)은 시간(時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증가(增加), 처리(處理) 20일(日) 후(後) 총(總) 처리(處理) 방사능(放射能)의 50%이상(以上)을 차지하였으며 유기물(有機物) 분획별(分劃別) 분포(分布)는 humin>fulvic acid>humic acid 순(順)이었다. B두캐력무 ring의 개열반응(開裂反應)에 의한 $^{14}CO_2$방출(放出)은 처리(處理) 후(後) 20일(日)까지 1.8%로 미미한 수준(水準)을 나타내었다.

  • PDF

유기(有機)리간드가 Paraquat의 약해(藥害)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Organic Ligands on Phytotoxicity of Paraquat)

  • 양재의;한대성;신용건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35-242
    • /
    • 1992
  • 부식산과 흘브산이 Paraquat의 약해에 미치는 영향은 호밀의 생물검정을 통해 고사일수, 생중량 및 성장률에 관한 약해지표를 설정하고 Model을 도입하여 평가했다. 호밀의 생육상황에 대한 유기리간드 자체의 영향은 거의 없었으나, Paraquat의 독성은 매우 높았다. Paraquat의 약해가 강하게 나타나기 시작하는 농도는 $0.4{\sim}0.6{\mu}M$ 이었으며, 약해한계농도 (Phytotoxic Critical concentration)는 약 11${\mu}M$ 로 추정되었다. 유기리간드의 처리는 Paraquat의 약해에 의해 초래되는 고사일수를 약 40%까지 지연 시켰으며, Paraquat 단독처리구보다 생중량 및 성장률을 유의성있게 향상시켜, Paraquat의 호밀에 대한 약해를 줄여 주었다.

  • PDF

Organic Association of the Fallout radionuclides in the Soil

  • Lee, Myung-Ho;Park, Hoi-Guk;Lee, Chang-Woo;Park, Yong-Ho;Kim, Sang-Bog;Hong, Kwang-Hee;Park, Gun-Sik;Lee, Jeong-Ho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439-444
    • /
    • 1997
  • In order to investigate organic association of fallout cesium, strontium and plutonium in the soil, soil samples influenced by fallout from nuclear weapon testings were treated with alkali (0.1 M-sodium hydroxide solution) to extract organic acids. After extraction, the resultant three fractions (sedimentary residue, humic and fulvic acid fractions) were subjected to the r-ray spectrometric analysis for $^{137}$ Cs, and radiochemical analysis for gosr and $^{239,240}$Pu. Alkali extraction experiments showed that a lot of $^{ 239,240}$Pu was extracted to organic acids from the soil samples, whereas most of $^{137}$ Cs and $^{90}$ Sr remained in residual fraction. Less than 10% of the total $^{137}$ Cs and $^{90}$ Sr was found in the organic fraction. The concentrations of $^{137}$ Cs and $^{90}$ Sr associated with humic fractions were higher than those with the corresponding fulvic fractions. It was found that more than 40% of the total $^{239,240}$Pu was associated with the organic fraction of soils. In contrast with $^{137}$ Cs and $^{90}$ Sr, $^{239,240}$Pu associated with vulvic fractions was much higher than in humic fractions.

  • PDF

덕산(德山) 정수장(淨水場)에서의 BAC Pilot plant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BAC pilot plant in the Duk-san water works)

  • 이상봉;김동윤;임정아;이원권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7-107
    • /
    • 1995
  • Today a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system has many problems. The ozone/GAC process, sometimes termed Biological Activated Carbon(BAC), appeared to be effective for the removal of soluble organic matters in the drinking water. The water quality of Nak-dong river in Pusan, generally shows BDOC 30-40% and NBDOC 60-70%. The pilot plant installed at the Duk-san water works that was been largest treatability(1,650,000ton/day) in Pusan. A experimental water in the pilot plant made use of the water after sand-filteration. Following results are drawn from this study. Initial adsorption velocity($DOC/DOC_o/T$) in the pure adsorption of GAG had a 0.0225, it's velocity changed to 0.006 after ozone added and the optimum ozone dose ranged of $1.4-2.0mgO_3/L$. A experimental water in the pilot plant composed with humic material(78%). Humic material composed with humic acid(20%) and fulvic acid(56%), and it's rate changed to 18 and 50% respectively after ozone added. DOC constantly decreased in the EBCTs and removal efficieny in the 15min of EBCT was 45-50%. It showed the largest removal rate of BDOC in the EBCT 5 and among the season, characteristics of removal varied. The HPC distributed over $10^6-10^7CFU/cm^3$ in the bed depth and among the season, distribution of HPC were differential.

  • PDF

전기분해공법을 이용한 고령화된 매립장 침출수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ged Landfill Leachate Treatment with Electrolysis)

  • 정순형;이영세;최현국;최준호
    • 환경위생공학
    • /
    • 제20권1호
    • /
    • pp.32-39
    • /
    • 2005
  • Recently, sanitary landfill wa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for disposal of waste in Korea. With increasing of use and public awareness of this method for disposal. there is an increased concern with respect to the pollution potential by the landfill leachate. Especially, an aged landfill leachate contained relatively large amount of the nonbiodegradable substances which could not be removed by biological treatment processes.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he removal of nonbiodegradable substances, such as Humic acid and Fulvic acid with the electrolysis. In this study, electrode materials, electrolyte concentration, electrode distance, current density, and pH valu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both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and current efficiency in electrochemical oxidation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