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ll duplex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7초

Link Adaptation for Full Duplex Systems

  • Kim, Sangc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4호
    • /
    • pp.92-100
    • /
    • 2018
  • This paper presents a link adaptation scheme for adaptive full duplex (AFD) systems. The signal modulation levels and communication link patterns are adaptiv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changing channel conditions. The link pattern selection process consists of two successive steps such as a transmit-receive antenna pair selection based on maximum sum rate or minimum maximum symbol error rate, and an adaptive modulation based on maximum minimum norm. In AFD systems, the antennas of both nodes are jointly determined with modulation levels depending on the channel conditions. An adaptive algorithm with relatively low complexity is also proposed to select the link parameter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FD system offers significant bit error rate (BER) performance improvement compared with conventional full duplex systems with perfect or imperfect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nder the same fixed sum rate.

디스플레이용 판유리 이송을 위한 양방향 이송 로봇장치 (Full Duplex Robot System for Transferring Flat Panel Display Glass)

  • 이동훈;김성동;이치범;조영학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996-1002
    • /
    • 2013
  • This study addresses the development of a full duplex robotic system for transferring flat-panel display glass. We propose to accomplish this using a bidirectional linear transfer mechanism in place of the conventional rotary transfer mechanism. The developed full duplex robot comprises a driving part that carries the glass panel laterally, vertical part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by means of a ball screw and linear motion guide arrangement, and hand part that slides by the cylinder of the driving part along the guide rail with a V-guide bearing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In addition, an alignment part prevents the hand part from derailing and holds the hand part while the driving part moves horizontally. The full duplex robot lifts and drives a glass panel directly while transferring it to the buffer and does not require rotational motion. Therefore, both transferring and stacking are realized with a single device. This device can be used in existing industrial facilities as an alternative to existing industrial robots in current as well as future process lines. The proposed full duplex robot is expected to save considerable amounts of time and space, and increase product throughput.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단말 간 간섭 제어를 위한 하향 링크 전력 할당 기법 (Downlink Power Allocation Technique for Inter-User Interference Management in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System)

  • 권구형;나현종;김진민;이충용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0호
    • /
    • pp.41-44
    • /
    • 2014
  • 전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은 반이중 통신 시스템에 비해 향상된 대역폭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전이중 방식의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는 단말 간 간섭에 의한 성능 열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단말 간 간섭 채널의 통계적 정보만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대역폭 효율을 최대화하는 하향 링크 전력 할당 기법을 제안한다.

보안성을 겸비한 전이중방식의 다중레벨 통신드라이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ltilevel Communication Drive of Full-Duplex Method with Security)

  • 조수억;박성미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41-48
    • /
    • 2020
  • Currently, the industry uses MODBUS communication method using RS485 as a communication method used when constructing distributed equipment and networks. However, this method has a rather good transmission and reception distance, but has a disadvantage of being a half-duplex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e, there is a great need for a full-duplex communication method that can simultaneously transmit and receive two-wire communica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communication hardware equipment that can implement full-duplex communication method by communication signal level to overcome the disadvantage of communication speed. The proposed communication hardware is a structure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at the same time on the same communication line in two equipments communicating in a two-wire system. The characteristic of this communication hardware is that the transmitter generates two-level signal for data transmission, but the receiver generates three-level electric signal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transmission data generated by the receiver. The data transmission signal information of the receiver is present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receiving side can analyze the received signal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 transmission signal and can analyze the signal only in the two communicating devices, so it can be seen that the communication security is very excellent.

3GPP LTE-Advanced 시스템에서 Type 1 relay의 셀 ID 검출을 위한 부분 전이중 relay 기법 (The Partial Full Duplex Relay Scheme for Cell ID Detection of Type 1 Relay in 3GPP LTE-Advanced System)

  • 민영일;장준희;최형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6A호
    • /
    • pp.558-56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Type 1 relay를 이용하는 3GPP (3rd Generation Pat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시스템을 위한 부분 전이중 (partial full duplex) relay 기법을 제안한다. Type 1 relay는 백홀 링크 (backhaul link)와 액세스 링크 (access link)가 같은 대역을 이용하는 inband relay로 동시에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에서 송수신 하는 경우에 self-interference가 발생하여 수신 성능이 크게 열화되기 때문에 동시에 송수신할 수 없다. 이와 같은 특징 때문에 Type 1 relay는 eNB (evolved NodeB)가 동기 신호를 송신할 때, 자신에게 접속하고 있는 R-UE (Relay-User Equipment)에게 동기 신호를 송신해야 하는 특정에 의해서 eNB가 송신하는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없어 셀 ID (Identity)를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eNB와 Type 1 relay가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subframe에서만 Type 1 relay가 동시에 송수신하는 부분 전이중 relay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동시에 Type 1 relay가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에서 송수신하여 발생하는 self-interference를 제거하기 위하여 Type 1 relay의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공간적 분리 (geometric isolation)와 SIC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방식을 적용하고, SIC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정확한 채널 추정 방안으로 부분 채널 추정 (partial channel estimation) 기법을 제안하며, 다양한 환경에서의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된 방식이 Type 1 relay를 이용하는 3GPP LTE-Advanced 시스템에서 매우 유용한 것을 입증하였다.

가상 전이중 (Virtual Full-Duplex) 중계전송 기법

  • 정방철;김수민
    • 정보와 통신
    • /
    • 제33권4호
    • /
    • pp.99-106
    • /
    • 2016
  • 본고에서는 5세대 이동통신 핵심기술 중 하나인 전이중 (full-duplex) 전송기술의 이득을 성취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법인 가상 전이중 (virtual full-duplex) 중계전송 기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이는 아직 실제적인 제약들을 해결해야 하는 전이중 중계전송 기술의 대안으로 반이중 (half-duplex) 중계기 2개를 하나의 가상 중계기로 고려함으로써 네트워크 차원에서는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이중 중계전송의 효과를 얻는 기술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중계기에서 메모리를 고려하지 않고, 2개의 중계기를 번갈아 가면서 사용하는 2경로 (two-path) 교차 (alternating) 중계전송 기법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중계기에 버퍼를 장착한 다수 중계기 네트워크에서 가상 전이중 중계전송 기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전 이중 다중 안테나 셀룰라 네트워크의 간섭 정렬 타당성 (Feasibility of Interference Alignment for Full-Duplex MIMO Cellular Networks)

  • 김기연;양장훈;전상운;김동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12호
    • /
    • pp.2389-2391
    • /
    • 2015
  • 본 논문은 전 이중 다중 안테나 셀룰라 네트워크에서 간섭 정렬 타당성을 다루고 있다. 간섭 정렬을 위한 필요충분조건 정립과, 달성 가능 합 자유도를 대칭 네트워크에 내에서 설명했다. 실험결과 기존 반 이중 통신의 합 자유도 보다 향상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수중 음향 네트워크를 위한 양방향 전이중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 (A bidirectional full duplex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underwater acoustic networks)

  • 강성민;황호영;조호신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11-21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수중 센서 노드들이 존재하는 수중 음향 네트워크에서 전이중 특성을 활용한 양방향 전이중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수중 센서 노드들은 정보를 센싱하고 송신의 우선순위에 따라 백오프 타이머를 설정한다.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된 수중 센서 노드는 송신 기회를 획득한다. 송신 기회를 획득한 소스 노드는 목적 노드에게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목적 노드의 ID를 포함한 RTS(Request-To-Send)를 주변 노드들에게 방송한다. RTS를 수신한 목적 노드는 CTS(Clear-To-Send)를 소스 노드로 송신하여 양방향 전이 중 통신 수행을 알린다. 소스 노드가 CTS를 수신한 후 소스 노드와 목적 노드는 센싱한 정보를 서로 상대 노드로 송신한다. 수중 환경에서의 기존 MAC 프로토콜은 긴 수중 전파 지연으로 인해 전송 성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반면 제안하는 양방향 전이중 MAC 프로토콜은 소스 노드와 목적 노드 간 양방향 송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송 성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네트워크의 처리량을 향상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양방향 전이중 MAC 프로토콜의 네트워크 처리량을 수학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수중 환경에서의 기존 MAC 프로토콜과 비교 분석을 통해 긴 수중 전파 지연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제안하는 양방향 전이중 MAC 프로토콜의 성능이 더 뛰어남을 보인다.

전이중 MIMO 릴레이를 위한 다중 사용자 Precoding 및 Sum Rate 정합 기반 전력 할당 기법 (Multiuser Precoding and Power Allocation with Sum Rate Matching for Full-duplex MIMO Relay)

  • 이종호;신오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2C호
    • /
    • pp.1020-1028
    • /
    • 2010
  • 릴레이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서비스 커버리지 영역을 확대하고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하지만, 기존의 릴레이 관련 연구는 주로 반이중 모드, 즉 서로 다른 시간 혹은 주파수에서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반이중 릴레이는 구현이 쉬운 반면 릴레이 송수신 지원 구분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 용량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안테나를 갖는 전이중 릴레이의 다중 사용자 precoding 및 sum rate 정합 기반의 전력 할당 방식을 제안한다. 전이중 릴레이는 같은 주파수에서 동시에 송수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릴레이의 송수신 안테나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 간섭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precoding 기법을 통해 다중 사용자 MIMO 전송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전이중 릴레이의 자기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량과 단말국으로 전달하는 정보량이 동일하도록 하는 조건 하에서 전체 시스템 용량을 최대화하는 전력 할당 기법을 제안한다.

밀리미터파 전 이중 시스템에서의 혼성 스케줄링 (Hybrid Scheduling in Millimeter Wave Full-Duplex Systems)

  • 반비엔마이;김주엽;최상원;신원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2-57
    • /
    • 2016
  • 다중 경로 약한 산란 (poor scattering) 전 이중 (full-duplex) 시스템에서 혼성 스케줄링을 소개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다중 안테나를 갖는 하나의 전 이중 기지국과 수 많은 단일 안테나 반 이중 (half-duplex) 단말로 구성된다. 혼성 스케줄링은 송신기에서의 부분적 채널 정보만을 활용한다. 특별히,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서 모두 기회적 송신 기술을 사용하는 기존 스케줄링 방법과는 달리, 제안하는 기술은 하향링크에서의 랜덤 송신 빔형성 및 상향링크에서의 간섭 제거 빔형성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주요 결과로써,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기술이 기존 스케줄링 방법보다 특정 신호 대 잡음비 영역 이상에서 훨씬 더 우수한 합 용량 성능을 가짐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