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ying oil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32초

튀김가루 구매 요구도 조사 - 중요도-만족도 분석과 컨조인트 분석을 통한 구매 시 선택속성 분석 - (Purchasing Needs of Frying Powder according to Purchasing Attributes - Analysis for Selection Attributes through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and Conjoint Analysis -)

  • 장혜선;심기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3-256
    • /
    • 2017
  • This study attempted to improve frying powder products based on 272 consumers' purchase conditions. Factor analysis by type was conducted on purchase attributes of consumers who purchased frying powder by categorizing them based on five factors-namely, convenience, information, diversity, safety, and economy. Five main factors were divided into four purchase attributes named various pursuit, convenience pursuit, economical pursuit, and inform/safety pursuit. Purchasing status of frying powder product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re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age, meal preparation type, and purchase attributes. The top motivation for using frying powder was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survey, taste, expiration date, and certification mark were chosen as highly important and high satisfaction characteristics for frying powder (p<0.001), whereas nutrition, oil absorption, adhesiveness, crispiness, origin, and food additives were highly important and low satisfaction characteristics (p<0.001). In the conjoint analysis, crispiness wa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of fried food.

가열조건에 따른 유지의 트랜스 지방산 생성과 산패도 측정에 관한 연구 (Measurement of Trans Fatty Acid formation and Degree of Rancidity in Fat and Oils According to Heating Conditions)

  • 안명수;서미숙;김현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69-478
    • /
    • 2008
  • In this study, degree of rancidity and trans fatty acid formation were examined in fat and oils, including soybean oil (SB), canola oil (CA), corn germ oil (CO), olive oil (OL), palm oil (PO), and beef tallow (BT), during heating for 10-130 minutes at 160-200$^{\circ}C$. In order to determine the rancidity of the fat and oils, acid values (AV), iodine values (IV), viscosity, and color were measured. Changes in the amounts of fatty acids and the formation of trans fatty acids were measured using GC and HPLC. For all groups, AV increased, IV decreased, and coefficients of viscosity and color increased as the heating temperature and heating time increased, indicating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and AV. In addition, all groups had similar amounts of trans fatty acids, with the exception of the beef tallow; however, its level only slightly increased with heating. The olive oil had the lowest trans fatty acid content and the lowest amount created by heating. The order of trans fatty acid amounts generated while heating was BT>PO>CO>CA>SB>OL.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deep frying temperature during cooking should be 160-180$^{\circ}C$ in order to reduce AV and the amount of trans fatty acids that are formed. In addition, it is better to remove beef tallow during cooking and avoid heating at high temperatures since it results in high levels of trans fatty acid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trans fatty acids and AV was positive, whi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trans fatty acids and IV was negative, indicating that AV and trans fatty acid levels increase while IV decreases as the deep frying temperature and time increase.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reducing the deep frying temperature and time can lessen increases in AV and trans fatty acids, and decrease IV. Accordingly, to reduce AV and trans fatty acid formation, the ideal deep frying conditions would be to use olive oil or soybean oil rather than beef tallow or palm oil at a temperature of 160-180$^{\circ}C$.

대두유, 면실유 및 미강유로 튀긴약과의 저장성에 관한 연구 (Stability and Flavor of Yackwa Fried in Soybean, Cottonseed and Ricebran Oils)

  • 한명주;이영경;배은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35-340
    • /
    • 199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soybean oil(SO), cottonseed oil(CO) and ricebran oil(RO) on stability and flavor of yackwa. This study consisted of yackwa fried in 3 differnet oils, then stored for 0, 3, 6 weeks in normal wrap at room temp. or vaccum package at $4^{\circ}C$. The moisture, oil contents, Hunter color values(L, 'a' and 'b'), % free fatty acid(FFA), thiobarbituric acid(TBA) value and sensory scores for color, flavor and acceptability were analyzed. The foam height of the oil after frying was also determined. Yackwa fried in RO was more red('a'=11.43) than yackwa fried in SO(10.64) or CO(10.51). TBA value of yackwa showed no difference among frying oils. Yackwa fried in SO showed better acceptability than those fried in CO. Yackwa fried in RO showed similar acceptability to yackwa fried in SO. The % FFA and TBA value of yackwa averaged across oil and package showed increasing tendency during 6 weeks storage.

  • PDF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의 성상(性狀)과 튀김적성(適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roperties and Frying Performance of Domestic Rice Bran Oil)

  • 김점식;염초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7-89
    • /
    • 1983
  •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의 성상(性狀)과 튀김적성(適性)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물리화학적(物理化學的) 실험(實驗)을 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Gas chromatography에 의한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즉(卽) 보고(報告)된 바와 같고 외국미강유(外國米糠油)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과도 비슷한 수치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LC, column chromatography 및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분석법(分析法)에 의하여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의 mono-, di-, 및 triglyceride 함량(含量)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monoglyceride $1{\sim}4%$, diglyceride $20{\sim}30%$, triglyceride $66{\sim}80%$로서 일반(一般) 식용유(食用油)와는 전연(全然) 다른 glyceride조성(組成)을 나타내었다. 2)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는 monoglyceride 및 diglyceride 함량(含量)이 많기 때문에 비중(比重) 및 수용해도(水溶解度)는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튀김적성(適性)에서 산(酸)값, 색상(色相), 석유(石油)에테르 불용성산화산(不溶性酸化酸), 발연도(發煙度) 등에 큰 영향(影響)을 끼치는 인자(因子)는 아니었다. 3)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는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 분석결과(分析結果), 불포화도(不飽和度)가 높은 리놀레산 함량(含量)이 적기 때문에 튀김실험(實驗)에서 안정(安定)된 기름으로 평가(評價)할 수 있으며 대두유(大豆油)의 경우는 역시 중합(重合)이 쉽게 일어나는 결과(結果)를 얻었다. 4)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가 튀김적성(適性)에서 발연도(發煙度)가 낮고, 거품이 심(甚)하게 일어나며, 점도상승(粘度上昇)이 일어나는 현상(現象)은 미강유(米糠油) 중(中)에 함유(含有)된 불순물(不純物)로 인(因)한 것으로서, monoglyceride 및 diglyceride의 영향(影響)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5) 거품이 심(甚)하고, 발연도(發煙度)가 낮은 기름에서는 튀김물의 맛과 외관(外觀)에 나쁜 영향(影響)이 나타났는데, 이는 기름 중(中)에 있는 여러 가지 불순물(不純物)로 인(因)한 것이었다.

  • PDF

Bio-oil이 디젤기관의 기관성능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in of the Bio-oil as an Alternative Fuel on the Performance of Diesel Engine)

  • 조기현;정형길;강형수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1-19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he used frying oil as a bin-oil which was one of the alternative fuel for diesel engine. From tests of engine performance, it was shown that the bio-oil and blends and the sufficient potential as alternative fuels of diesel engine except NOx and Smoke emission.

  • PDF

Waste frying oil를 사용한 Poly(3-Hydroxybutyrate) 생합성 (Production of Poly(3-hydroxybutyrate) Using Waste Frying Oil)

  • 김태경;강성호;이우성;김종식;정정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6-8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3-hydroxbutyrate) (PHB)의 생산 비용 절감을 위해, 탄소원으로 폐식용유(waste frying oil, WFO)을 사용하여 분리 균주 Pseudomonas sp. EML2의 최적 생장 및 PHB 생합성 조건을 확립하였다. WFO와 새 식용류(fresh frying oil, FFO)의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 FFO의 지방산 함량은 불포화지방산 82.6%, 포화지방산 14.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WFO의 경우 불포화지방산 56.3%와 포화지방산 33.5%로 FFO와 비교할 때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불포화지방산의 조성 변화는 가열, 산화반응 및 가수분해에 의한 화학적, 물리적 특성의 변화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분리 균주 Pseudomonas sp. EML2의 최대 건조세포중량과 PHB 생합성량(g/l)을 확인하기 위해 플라스크를 이용하여 탄소원 농도, 질소원 종류 및 배양 pH와 온도 및 시간을 확립하였다. 그 결과 30 g/l의 WFO과 0.5 g/l의 $NH_4Cl$를 질소원으로 사용하여 pH 7 및 $20^{\circ}C$의 배양 조건에서 96시간 배양 시 최적의 건조세포중량과 PHB 생합성량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3 l jar fermenter를 이용하여 Pseudomonas sp. EML2의 생장 및 PHB 수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30 g/l의 WFO를 단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96시간 배양 시 3.6 g/l의 건조세포중량을 얻었으며 73.0 wt%의 PHB 축적률을 확인하였다. 이 경우 PHB 생합성량 2.6 g/l로 나타났다. FFO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대량배양 한 결과 WFO를 사용한 경우와 비슷한 건조세포중량(3.4 g/l), PHB 축적률(70.0 wt%), 그리고 PHB 생합성량(2.4 g/l)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리한 Pseudomonas sp. EML2는 WFO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PHB를 생합성 하였으며 이 균주와 WFO는 PHB의 산업적 생산을 위한 새로운 생산 후보자 및 탄소원으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seudomonas sp. EML8 균주를 이용한 폐식용류로부터 medium-chain-length poly(3-hydroxyalkanoates) 생합성 (Production of Medium-chain-length Poly (3-hydroxyalkanoates) by Pseudomonas sp. EML8 from Waste Frying Oil)

  • 김태경;김종식;정정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0-9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poly (3-hydroxyalkanoate) (PHA)의 생산 비용을 줄이기 위해, 토양에서 분리된 균주 Pseudomonas sp. EML8을 이용하여 폐 튀김유(waste frying oil, WFO)를 단일 탄소원으로 하여 균주의 최적 생장 및 PHA의 생합성 조건을 확립하였다. WFO를 단일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Pseudomonas sp. EML8에 의해 생합성된 PHA를 gas chromatography (GC)와 GC mass spectrometry로 분석한 결과, 7.28 mol% 3-hydrxoyhexanoate, 39.04 mol% 3-hydroxyoctanoate, 37.11 mol% 3-hydroxydecanoate 및 16.58 mol% 3-hydoryxdodecanoate의 단량체로 이루어진 medium-chain-length PHA (mcl-PHAWFO)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플라스크로 배양한 결과, Pseudomonas sp. EML8의 최대 건조세포중량(dry cell weight, DCW) 및 mcl-PHAWFO의 최대 생산수율(g/l)은 WFO 20 g/l, (NH4)2SO4 0.5 g/l, pH 7 및 25℃의 조건에서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3 l 발효기를 이용하여 48시간 배양한 후에 가장 높은 DCW, mcl-PHAWFO의 함량 및 mcl-PHAWFO의 생산수율(3.0 g/l, 62 wt% 및 1.9 g/l)을 얻었다. 대조군인 신선한 튀김유(fresh frying oil, FFO) 20 g/l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이와 유사한 DCW, mcl-PHAFFO의 함량 및 mcl-PHAFFO의 생산수율(2.7 g/l, 62 wt%, 1.6 g/l)을 확인했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통해 mcl-PHAWFO 및 mcl-PHAFFO의 평균 분자량이 165-175 kDa인 것을 확인했으며, 열중량을 분석한 결과, mcl-PHAWFO 및 mcl-PHAFFO는 각각 260 및 274.7℃의 분해온도값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Pseudomonas sp. ML8과 WFO는 mcl-PHA의 생산을 위한 새로운 균주와 탄소원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전통식과 개량식 튀김기에 대한 튀김기름의 유리지방산 생성 및 산패도 측정 비교 (Analysis of Free Fatty Acid Formation and Oxidative Rancidity for Deep Flying Oil Produced by Traditional and Modified Fryers)

  • 최일숙;최수근;이영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16-325
    • /
    • 2011
  • 튀김 기름은 튀김음식의 품질에 중요한 인자중의 하나이다. 본연구의 목적은 전통적 튀김기와 개량식 튀김기를 사용하여 4일간 연속적으로 사용한 튀김 기름의 품질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지닌다. 돈가스를 튀긴 후, 뒤김 기름은 일부를 유리병에 분석을 위해 수집하여 여러 이화학적 특성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전통적 튀김기를 사용한 튀김 기름은 사용횟수에 따라 색과 접도 값이 개량식으로 튀긴 기름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유리지방산의 정도와 관련된 산가의 경우, 전통식 튀김기를 사용한 튀김 기름은 개량식 튀김기를 사용한 튀김 기름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이중결합의 농도와 연관이 있는 요오드가는 전통식 튀김기를 사용한 튀김 기름의 값이 개량식을 사용한 튀김 기름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1차지방산화의 지표인 과산화물가의 경우, 전통식 튀김기와 개량식 튀김기를 사용한 튀김기름 모두에서 2일까지는 유의적으로 그 값이 증가하였으나 3 일 부터는 그 값이 감소하였다. 이는 형성된 과산화물이 불안정한 형태이므로 분해를 통하여 다른 2차 산화로 진행된 것으로 사료된다. 2차 산화의 지표인 p-Anisidine 값을 확인한 결과, 전통식 튀김기를 사용한 튀김 기름은 개량식을 사용한 튀김 기름에 비하여 시간 의존적으로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개량식 튀김기를 사용한 튀김 기름이 유리지방산과 산패의 정도가 전통식 튀김기를 사용한 튀김 기름에 비하여 늦게 진행된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식품부산물인 커피박과 폐식용유를 첨가제로 사용하여 파일럿 규모의 평다이 성형기로 제조한 리기다소나무 및 신갈나무 펠릿의 연료적 특성 (Fuel Characteristics of Pitch Pine and Mongolian Oak Pellets Fabricated with Coffee Waste and Used Frying Oil as an Additive Using a Pilot-scale Flat-die Pellet Mills)

  • 양인;;한규성
    • 신재생에너지
    • /
    • 제18권3호
    • /
    • pp.23-31
    • /
    • 2022
  • This study evaluated the potential of coffee waste (CW) and used frying oil (UFO) as an additive in the production of pitch pine (PIP) and Mongolian oak (MOK) pellets. Ash contents obtained from CW and UFO were 0.5% and <0.1%, respectively. The calorific values of UFO (31.4 MJ/kg) and CW (26.3 MJ/kg) are higher than PIP (20.6 MJ/kg) and MOK (19.1 MJ/kg). For pellets fabricated using a pilot-scale flat-die pellet mill, regardless of fabricating conditions, moisture content (MC) and bulk density of PIP and MOK pellets satisfied the A1 wood pellet standard for residential and small-scale commercial uses, as designa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NIFOS) of the Republic of Korea. When CW was used as an additive, durability of PIP pellets made with 12%-MC sawdust and MOK pellets increas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producing PIP and MOK pellets could be by adding 20 mesh CW as an additive and the using of 12%-MC sawdust. However, durability of PIP pellets and ash content MOK pellets did not satisfy the A1 wood pellet standard of NIFOS. Thu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wood pellets with addi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