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wall anatom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Krigia속의 과피의 해부학적 구조와 분류학적 의미 (Fruit wall anatomy of the genus Krigia (Asteraceae, Lactuceae) and their taxonomic implications)

  • 이복원;박지극;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21-333
    • /
    • 2004
  • Krigia속 7종 모두와 근연속인 Nothocalais cuspidata 1종에 대해 과피 해부학적 형질을 조사하여 분류학적 유연관계를 추론하였다. 과피 해부학적 형질 중 과피의 모양, 늑의 수는 Krigia속 모든 종이 같은 형질을 공유하고 있으나, costa 의 모양, costa와 intercosta에서 중과피를 이루는 libriform 섬유세포와 fiber-sclereid 세포층의 수와 이들 세포층의 발달정도가 종간에서 차이점이 나타났다. Krigia biflora, K. cespitosa, K. occidentalis와 K. wrightii는 costa와 intercosta에서 libriform 섬유세포가 잘 발달되어있는 반면에 K. dandelion, K. montana와 K. virginica는 잘 발달되어있지 않고, 대부분 fiber-sclereid 세포로 이루어져있다. 이전 분류체계에서 Krigia 절에 속했던 K. biflora는 과피 해부학적 형질상의 차이로 볼 때 Cymbia절에 더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Fruit Wall Anatomy of Ocotea (Lauraceae)

  • 허권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98-304
    • /
    • 1996
  • 종간 유연관계 및 속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Ocotea속의 과실 해부형태의 연구가 14종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된 종들간의 과실해부형태는 거의 비슷했으나 종들간 차이는 중과피내에 후벽세포의 유무에 있었고, 만일 중과피내에 후벽세포가 존재한다면 어느부위에, 또는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는가에 달려있다. 조사된 종들을 가지고 비교한 결과, Ocotea속은 적어도 5개의 group으로 나눌 수 있었다. 즉, 1) 후벽세포가 발달하지 않은 종 O. atrriensis, O. cujumari, O. helicterifolia, O. rubra and O. schomburgkiana; 2) 후벽세포가 외하피에만 발달한 종 O. aciphylla, O. javitensis, and O. sp. [Werff et al. 12676]; 3) 후벽세포가 내하피에만 발달한 종 O. tonuzii; 4) 후벽세포가 외하피와 내하피에 모두 발달한 종 O. foerens, O. quixos, and O. veraguensis; 과 5) 후벽세포가 중과피의 여기저기에 발달한 종 O. floribunda and O. nitida으로 나눌 수 있었다. 아울러, Ocotea속에 있어서 과피 해부형태의 다양성이 논의되었으며, 속에 대한 분류학적 재인식이 요구되었다. 한편, 과실의 해부형태 형질의 진화경향은 중과피내에 후벽세포가 발달하지 않은 종으로부터 후벽세포가 발달한 종으로 진화했을거스로 추정되었다.

  • PDF

개보리뺑이속과 서양개보리뺑이속(국화과; 상치족)의 과피벽 구조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fruit wall structure in Lapsana L. and Lapsanastrum J. H. Pak & K. Bremer (Asteraceae; Lactuceae))

  • 박재홍;최경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59-369
    • /
    • 2008
  • 국화과 상치족에 속하는 서양개보리뺑이(Lapsana communis) 내의 6아종과 개보리뺑이속 (Lapsanastrum) 4종에 대해 과피의 해부학적 구조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개보리뺑이속은 서양개보리뺑이와 외과피의 털의 유무, costa의 모양, 종피의 비후 등 몇 가지 형질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게다가 서양개보리뺑이속은 costae와 intercostae에 sclerenchymatous cell이 없는 반면에 개보리뺑이속은 sclerenchymatous cell로 이루어져 있다. 과실벽 구조에서의 차이는 명백하게 개보리뺑이속이 광의의 서양개보리뺑이속에서 분리됨을 지지한다.

Anatomy and Morphology of Two Hawaiian Endemic Portulaca Species

  • Kim, InSun
    • Applied Microscopy
    • /
    • 제44권2호
    • /
    • pp.41-46
    • /
    • 2014
  • In this study, the vegetative and reproductive morphology and anatomy of two Hawaiian endemic Portulaca species were examined. Specifically, P. molokiniensis and P. sclerocarpa were compared to closely related species in the genus. The comparisons wer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using characteristics of leaves, stems, roots, and fruits. Tissue organizations of vegetative and reproductive parts of the plants were assessed using microtechnique procedures, statistical analysi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most notable features of these two species were (1) the size and frequency of stomata in P. molokiniensis, and (2) the large number of sclerenchymatous cell layers in the thickest fruit walls of P. sclerocarpa. These findings may imply that stomata development in P. molokiniensis and thick fruit wall development in P. sclerocarpa are evolved features of survival.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thickened walls in indehiscent fruits likely has evolutionary implications of ecological tolerance for better adaptation.

한라고들빼기 (Lactuca hallaisanensis H. Lév.)의 분류학적 재고 (Taxonomic reconsideration of Lactuca hallaisanensis H. Lév.)

  • 박재홍;김영옥;최경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11-319
    • /
    • 2001
  • 제주도의 고유종인 한라고들빼기 (Lactuca hallaisanensis H. $L{\acute{e}}v$.)의 분류학적 위치를 밝히기 위하여 과피의 해부학적 형질 및 염색체 형질을 조사하였다. 한라고들빼기의 과피의 종단면의 해부학적 형질은 가장 중앙에는 배가 차지하고, 나선무늬로 비후된 종피로 둘러싸여 있었다. 과피는 늑부(costa)와 늑부간(intercosta)으로 구성되어졌고, 늑부의 수는 10-11개 정도이었다. 늑부는 인피상섬유(libriform fibre)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섬유상보강조직(fibre-sclereid)은 1-2열의 세포층을 이루었다. 본 연구결과 체세포 염색체수는 2n=10, 염색체 기본수가 X=5이었다. 염색체의 전체 길이는 $23.3{\mu}m$이었고, 각 염색체의 크기는 $1.9{\mu}m-2.9{\mu}m$이었으며, 기본 핵형은 3sm+2st이었고, 1번 염색체에 2차 응축을 가졌다. 과피의 해부학적 형질 및 핵형학적 형질을 비교하면 한라고들빼기는 상치속보다는 긴갯고들빼기속과 대부분의 형질을 공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한라고들빼기의 학명은 상치속(Lactuca)보다는 긴갯고들빼기속(Crepidiastrum)으로 전속하여야만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