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zing preservation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에서 수집된 케퍼 그레인의 특성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Kefir Grains Collected from Korean)

  • 박선정;주영철;장윤현;차성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62-268
    • /
    • 2003
  • Locals 케퍼 그레인은 코카서스 지방에서 유래한 전통적인 발효유이며, 주로 젖산균과 효모로 우유를 발효시켜서 만든다. 국내에서 수집한 10종류의 케퍼 그레인 중에서 6종류가 포도송이 형태나 융털, 나뭇잎, 좁쌀, 수건 같은 특징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었으며, 젤라틴같이 끈적한 조직감을 나타냈다. 케퍼 그레인에서 우점하는 미생물을 조사하기 위하여 SPC, MRS, Ml7, Rogosa와 APT 한천배지와 petrifilm을 사용하여 일반세균과 효모를 계수하였다. 5종류의 한천배지 중에서 가장 검출률이 좋았던 것은 SPC, MRS와 Rogosa 한천배지였으며, Ml7과 APT 한천배지에서는 균락의 수가 매우 적었는데, 이는 케퍼 그레인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종류가 대부분 젖산간균이었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각 케퍼 그레인당 50여개 정도의 균락을 분리하여 API 50 CHL kit로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fermentum과 Lb. brevis가 각각 41∼88%와 2∼54%의 점유율을 나타내는 우점균으로 밝혀졌다. 이 외에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와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가 소수로 검출되었으며, 일반세균은 전체적으로 $10^{8}$ cfu/g 수준이었고, 효모는 $10^{6}$$10^{7}$ cfu/g수준이었다. 케퍼 그레인의 효과적인 보존방법을 찾기 위하여 멸균된 10%환원탈지유와 혼합하여 동결건조한 것, 3개월간 냉장보존한 것, 그리고 6개월간 냉동보존한 것, 그리고 케퍼 그레인 자체로 냉동보존한 것을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냉동보존한 케퍼 그레인의 복원시 산 생성력이 우수하였으나 15개월 냉동건조한 케퍼 그레인이 냉장 또는 냉동보관한 케퍼 그레인에 비하여 산 생성력이 우수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미와 이취도 거의 없어 가장 좋은 보존방법으로 평가되었다.

돼지 동결 정액을 이용한 체외 수정란 생산 효율 (Effect of Production In Vitro Embryo using Boar Frozen Semen)

  • 조상래;김현종;최창용;손동수;최선호;손준규;김성재;김재범;한만희;진현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9-205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genetic resources preservation system using the frozen boar semen. The porcine oocytes were matured for 44 hours in NCSU-23 medium with or without 10% Porcine Follicle Fluid (PFF), 0.5 ${\mu}g/ml$ porcine FSH, 0.5 ${\mu}g/ml$ equine LH, 1.0 ${\mu}g/ml$ 17 $\beta$-estradiol ($E_2$) and 10 ng/ml Epidermal Growth Factor (EGF) under mineral oil at $38.5^{\circ}C$ in humidified atmosphere of 5% $CO_2$ in air. After 44 h of culture, the oocytes were inseminated with frozen-thawed semen and fresh semen prepared with mTBM medium for 6 h. Later, set of 50 presumptive zygotes were transferred into 4-well dish (500 ${\mu}l$) of IVC medium. for embryos freezing, slow-freezing and vitrification methods were used as a cryopreservation.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were analyzed using General Linear Model Procedure by SAS Package (version 6.12) differences were considered significant when p<0.05. Following IVF and IVC, the rates of cleavage and blastocysts form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hormone supplemented group than that of hormone-free group (25.7 vs, 12.1). The development rates to cleavage and blastocys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ZM-5 group than NCSU-23 group (60.3%, 46.6% vs 27.4%, 11.1%). Further improvement was achieved when PZM-5 was supplemented with FBS. Cleavage rat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resh semen source group than frozen semen (66.7% vs 43.7%). However in blastocysts rates was similar two groups. Post-thaw survival rates of embryos were 1.2% and 2.2% in slow-frezing and vitrification group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it is still possible to improve the culture conditions and boar semen cryopreservation for enhance reproductive technology and animal genetic resources conservation.

아미노산 혼합용액이 Lactobacillus casei YIT 9018의 동결건조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mino acid mixture on freeze-drying and preservation of Lactobacillns casei YIT 9018)

  • 윤성식;이해옥;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21-426
    • /
    • 1986
  • Lactobacillus casei YIT9018은 국내의 발효유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동결건조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glycine과 glutamic acid를 함유한 amino산 혼합액을 기본 현탁 배지로 사용하여 동결건조 및 rehydration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기존의 보호제들과 비교하였다. 아미노산 혼합액은 대조구에 비해서 현저한 동결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또 glycine과 DL-glutamic acid는 단독 사용시보다 혼합할 경우 더욱 효과적이었으며 이때의 최적농도는 0.1M이었다. L. casei YIT9018주는 MRS 배지상에서 접종후 18시간만에 정상기에 들어갔으며 24시간 후에는 최대생육을 나타냈다. 또 이 24시간 균체가 동결건조에 대하여 가장 저항성이 큰 것으로 판명되었다. 아미노산 혼합액에 sucrose, lactose등의 이당류 및 NF-MS를 첨가하면 85%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최적농도는 당류의 경우 7.5-10%(w/v), NFMS의 경우는 10%정도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동결후의 생존율을 높이고 활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아미노산 혼합액에 NFMS의 첨가가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었다. 한편, rehydration media에 따라서도 생존율이 변하였는데 아미노산 혼합액은 대조구에 비해 약 3배의 동결 보호효과를 나타냈다.

  • PDF

빙결점동결에 의한 수산식품의 품질보존에 관한 연구 1. 빙결점동결 저장 중의 구운 고등어의 품질변화 (Partial Freezing as a Means of Keeping Quality of Sea Foods 1. Keeping Quality of Baked Mackerel Muscle during Partially Frozen Storage)

  • 이응호;김정균;하재호;오광수;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62-65
    • /
    • 1983
  • 어육을 단기간 저장하는데 효율적인 저장방법으로 알려진 빙결점동결법을 조리식품에 적용하여 저장중의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빙결점동결법으로 저장한 구운 고등어는 지방의 산패면에서 $5^{\circ}C$$-20^{\circ}C$에서 저장한 것보다 유도기가 약간 연장되는 효과가 있었으며, pH와 VBN는 세가지 저장조건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다. 저장중 pH는 약간 감소하는 반면 휘발성염기질소는 저장초기에 급증하고 저장 4일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생균수는 빙결점동결법으로 저장한 것이 $5^{\circ}C$ 저장한 것보다 상당히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20^{\circ}C$에서 저장한 것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관능검사의 결과도 빙결점동결법으로 저장한 것은 $-20^{\circ}C$에서 저장한 것과 비교하여 큰 손색이 없었다.

  • PDF

포도로부터 분리한 S. cerevisiae S13 및 D8에 의한 캠벨 얼리 동결농축 과즙의 아이스와인 발효 특성 (Characteristics of Ice Wine Fermentation of Freeze-Concentrated Campbell Early Grape Juice by S. cerevisiae S13 and D8 Isolated from Korean Grapes)

  • 황성우;홍영아;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811-816
    • /
    • 2011
  • 국산 캠벨 얼리 포도과즙을 36 $^{\circ}Brix$로 동결농축한 후 국산 포도로부터 분리된S. cerevisiae S13, D8 균주를 이용하여 아이스와인의 발효를 행하면서 대조균주인 S. cerevisiae Fermivin과 발효특성을 비교하였다. 발효 중 S13과 D8의 경우 Fermivin보다 당도가 다소 빠르게 감소하였으며 빠른 알코올 생성을 보였다. 발효 종료 시점인 9일 후의 알코올 농도는 D8이 15.2%, S13은 14.0%, Fermivin은 12.6%를 나타내었다. 잔존 환원당의 함량은 Fermivin 포도주가 14.0%로 가장 높았으며 D8 포도주는 9.07%, S13 포도 주는 9.77%로 나타났다. 총산 함량은 Fermivin 포도주 약 0.82%에 비하여 D8과 S13 포도주에서 각각 0.97, 0.96%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pH는 모든 포도주에서 3.65-3.67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아세트알데히드는 D8 포도주가 81.9 ppm으로 다소 높았으며 Fermivin 포도주는 58.8 ppm으로 가장 낮았다. 메탄올 함량은 S13, D8 포도주가 Fermivin 포도주보다 다소 높았으나 과실주의 메탄올 허용 기준치보다는 매우 낮았다. L 값은 6.89-6.99로 일반포도주에 비해 매우 낮게, b 값은 4.37-4.5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아이스와인의 향과 맛은 S13 포도주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D8와 S13 포도주가 Fermivin 포도주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매실품종과 수확시기별 및 매실가공식품의 시안화합물의 변화 (Contents of Cyanogenic Glucosides in Processed Foods and during Ripening of Ume According to Varieties and Picking Date)

  • 김용두;강성구;현규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2-45
    • /
    • 2002
  • 매실 품종별, 수확시 기별, 부위별 그리고 매실농축액과 매실차 등 매실가공식품의 저장기간에 따른 시안화합물의 변화를 측정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매실 품종별 숙성과정 중 amygdalin 함량의 변화는 과육의 경우 수분후 미숙과인 70일경에는 3개품종이 비슷하였으나 앵숙이 20.2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핵인의 경우는 재래종에서 562 mg%로 나타나 다른 품종에 비하여 1.5∼2.4배 더 높았으며, 부위별로 보면 핵인이 과육보다 10∼30배 정도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그러나 매실이 성숙되어 가는 과정 중에 전반적으로 모든 품종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미숙과일때에 비하여 황숙기에는 그 함량이 1/3정도로 감소하였고, 핵인 역시 1/2∼1/5배정도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실 품종별 숙성과정 중 prunasin 함량의 변화를 보면 과육의 경우 수분후 미숙과인 70일경에는 재래종이 가장 적은 함량을 보였으며, 매실이 숙성되어 감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핵인의 경우에도 수분후 미숙과에서 재래종에서 177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과육에 비해 약 10배의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그러나 매실이 숙성되어 감에 따라 품종별로 약간씩의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그 함량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났다. 매실농축액의 저장중 6개월 동안의 amygdalin과 prunasin의 변화를 보면 냉동저장한 시료구는 두 성분 모두가 거의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연숙성시킨 시료구에서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amygdalin은 현저하게 감소되고 prunasin은 점차 증가함을 보였다. 매실차액의 저장중 6개월 동안의 amygdailn과 pnmasin의 변화를 보면 역시 냉동저장한 시료구는 두 성분 모두가 거의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연숙성시킨 시료구에서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amygdalin은 현저하게 감소되고 prunasin은 점차 증가함을 보였다. Benzoic acid는 저장방법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과일, 매실농축액 등에서 흔적 정도 검출되었으며 매실 차에서 5∼7 mg%가 검출되었다.

저온 보존을 이용한 간편 중기 식물캘러스 저장법 (A simple mid-term preservation method (SMPM) of plant callus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 박성철;박수현;김소영;정유정;김차영;정재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187-192
    • /
    • 2022
  • 식물 캘러스의 월간 또는 주간의 반복적인 계대배양은 노동 집약적이며 모 세포주로부터 somaclonal variation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식물 캘러스를 보존하기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액체질소에 저장하는 초저온동결보존 방법이다. 하지만 초저온동결보존 방법은 동일한 방법으로 여러 식물의 캘러스에 적용할 수 없어 보존 방법 개발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해동 후 냉동되어진 캘러스의 생존과 생존 후 재생 속도가 불확실 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활성 상태의 식물 캘러스의 계대배양 간격을 증가시키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냉동과정 없는 활성상태의 다양한 종의 식물 캘러스를 계대배양 없이 4주에서 12주 동안 15℃에서 배양하였다. 25℃에서 12주간 배양한 8종류의 식물 캘러스들은 모두 2배 이하의 성장을 보였으나 15℃에서 12주간 배양 조건에서는 8종류의 식물 캘러스들은 최소 2배 이상의 성장을 하였다. 또한 15℃에서 배양 후 25℃에서 회복시킨 캘러스들 사이의 항산화 활성 역시 크게 변화하지 변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배지조성이나 특별한 새로운 과정없이 15℃ 저온으로 계대배양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여러 식물 종의 캘러스들 모두에서 긍정적인 결과는 여러 캘러스들에 동일한 방법으로 계대배양 간격을 증가시킴으로 노동력 감소는 물론 somaclonal variation을 상대적으로 줄여 줄 것으로 예상한다.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for frozen-thawed sperm motility in stallions across various horse breeds

  • Nikitkina, Elena V.;Dementieva, Natalia V.;Shcherbakov, Yuri S.;Atroshchenko, Mikhail M.;Kudinov, Andrei A.;Samoylov, Oleg I.;Pozovnikova, Marina V.;Dysin, Artem P.;Krutikova, Anna A.;Musidray, Artem A.;Mitrofanova, Olga V.;Plemyashov, Kirill V.;Griffin, Darren K.;Romanov, Michael N.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2호
    • /
    • pp.1827-1838
    • /
    • 2022
  • Objective: The semen quality of stallions including sperm motility is an important target of selection as it has a high level of individual variability. However, effects of the molecular architecture of the genome on the mechanisms of sperm formation and their preservation after thawing have been poorly investigated. Here, we conducted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for the sperm motility of cryopreserved semen in stallions of various breeds. Methods: Seme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tallions of 23 horse breeds. The following semen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progressive motility (PM), progressive motility after freezing (FPM), and the difference between PM and FPM. The respective DNA samples from these stallions were genotyped using Axiom Equine Genotyping Array. Results: We performed a GWAS search for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markers and potential genes related to motility properties of frozen-thawed semen in the stallions of various breeds. As a result of the GWAS analysis, two SNP markers, rs1141327473 and rs1149048772, were identified that were associated with preservation of the frozen-thawed stallion sperm motility, the relevant putative candidate genes being NME/NM23 family member 8 (NME8), olfactory receptor family 2 subfamily AP member 1 (OR2AP1), and olfactory receptor family 6 subfamily C member 4 (OR6C4). Potential implications of effects of these genes on sperm motility are herein discussed. Conclusion: The GWAS results enabled us to localize novel SNPs and candidate genes for sperm motility in stallions. Implications of the study for horse breeding and genetics are a better understanding of genomic regions and candidate genes underlying stallion sperm quality, and improvement in horse reproduction and breeding techniques. The identified markers and genes for sperm cryotolerance and the respective genomic regions are promising candidates for further studying the biological processes in the formation and function of the stallion reproductive system.

벼 흰빛잎마름병균의 균주보관에 따른 병원성 및 집락변이현상 (Preservation Methods of Xanthomonas campestris pv. oryzae in Relation to Virulence and Colony-Type Variation)

  • 황인규;조용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50-157
    • /
    • 1986
  • 벼흰빛잎마름병균의 균주를 효과적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동결건조, 동결, 액체파라핀, 살균수, 계대배양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생존율과 병원성유지 정도를 4개월에 걸쳐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10\%$ sucrose와 $1\%$ gelatin을 함유한 현탁액에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으며 병원성은 $2\%$ dextrin, $0.5\%$ ascorbic acid, $0.5\%$ ammonium chloride, $0.5\%$ tguiyrea, $0.85\%$ NaCl 등을 함유한 현탁액에서 가장 잘 유지되었다. 계대배양한 균주는 병원성이 약화되었다. 거친집락형은 동결건조 또는 동결과정에서 모두 나타났으며 이는 정상집락에 반해 주름진 집락모습과 사상형이었다. 거친집락형은 병원성이 매우 약하였으며, 탄소원 요구도가 다양하였으므로 동결건조 과정에서 대사작용의 저해가 일어난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Application of Fixatives to Freeze Dried Rose Petals

  • Jo, Myung-Hwan;Kim, Tae-Yun;Hong, Jung-Hee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227-1233
    • /
    • 2008
  • The effect of freeze drying and fixatives in post-treating freeze drying on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he rose (Rosa hybrida L.) petal were investigated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of freeze dried rose. The morphology including form and color of the dried flowers of cut rose were depended on the drying methods. The drying time was extended due to their density and water content, and was shorter in the freeze drying than that in the natural and hot air drying. Freeze dried process for dried flowers took 2 days in a freeze dryer and did not cause shrinkage or toughening of rose petal being dried, preserving its natural shape and color. The diameter of freeze dried flowers showed little reduction compared to fresh flowers. In Hunter color values of petals of freeze dried flowers, L and a values were high and showed little variations in comparison to fresh petals. Freeze drying led to a noticeable increase in anthocyanin contents in petals, suggesting that anthocyanin cont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cquisition of freezing tolerance. Exposure of flowers to freeze drying was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the carotenoid content. In the post-treating freeze drying, epoxy resin, a fixative, applied alone or in combination to petals of freeze dried flowers showed efficient coating for the protection from humidity and sunlight. Combined application of epoxy and acetone to freeze dried petals permitted maintenance of natural color and excellent tissue morphology, showing color stability and shiny texture in surface of peta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pplication of fixatives to freeze dried rose petals improves the floral preservation and epoxy coating provides good quality in the freeze dried flower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