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gingival graft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18초

근단 변위 판막술을 사용한 임플란트 주위 각화조직 폭경의 증대: 증례보고 (Increase of the Width of Peri-implant Keratinized Tissue using Apically Positioned Flap: Case Report)

  • 지영덕;선화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4호
    • /
    • pp.407-417
    • /
    • 2013
  • 임플란트 치료의 유지단계에서 임플란트 주변 연조직의 문제 중 하나는 부착조직의 부족한 범위이다. 각화 조직은 치아 및 임플란트 주변에서 구강 위생의 유지 및 개선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리 치은 이식술은 연조직 부족을 해결하고 임플란트 보철의 장기간의 예후를 증가시키기 위해 최적의 임플란트 주변 건강을 제공한다. 그러나 유리 치은 이식술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구개와 같은 공여부 상의 통증 및 불편감을 호소한다. 뿐만 아니라 술자에게 있어 기술적인 난이도를 요구하며, 시간이 오래걸리고 이상적인 형태와 비교하였을 때 종종 조직의 색깔 차이가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근단변위판막술은 임플란트 2차 수술과 동반하여 또는 이후에 간단히 부착 조직을 증대시키기 위해 선택된다. 이번 증례보고에서는 유리치은이식술을 대신하여 작은 범위의 임플란트 부위에서 근단변위판막술을 통한 임플란트 주변 각화 조직의 폭경이 성공적으로 증가했음을 보이고자 한다.

치주수술후 치주포대의 사용유무에 따른 임상적 효과에 대한 비교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Clinical Sffects Following Periodontal Surgery with and without Dressing)

  • 배상범;임성빈;정진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3호
    • /
    • pp.693-703
    • /
    • 1999
  • Since they were introduced by Ward in 1923, periodontal dressing have been routinely used following the periodontal surgery to avoid pain, infection, desensitizing teeth, inhibiting food impaction of the surgical areas, and immobilizing injured areas. Recently, however, the value of periodontal dressings and their effects on periodontal wound healing have been questioned, several authors have been reported that the use of dressing has little influence on healing following periodontal surgical procedures. In addition, there is evidence that when good flap adaptation is achieved, the use of a periodontal dressing does not add to patient comfort nor promote hea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atient postoperative pain experience and discomfort with and without the use of periodontal dressing following periodontal surgery. Twenty-eight patients, 11 male and 17 femal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age range was 31 to 56, with an average of 40.2years. Patient selection was based on existence of two bilateral sites presenting similar periodontal involvement, as determined by clinical and radiographic assessment, and requiring comparable bilateral surgical procedures. Using a splitmouth dressing. one site received a periodontal dressing while the other site did not. Pain assessment was made according to a horizontal, rating scale(0-10). After at least a two-week period, the second surgical precedure was performed using the alternate postoperative treatment. At the conclusion of the trial,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on postoperative experience was administered, and were asked of their preference of either, dressed or undres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 similar trend for mean pain and discomfort scores as assessed by patients both dressed and salinetreated procedures was evident during 7-day postsurgical period. 2. Statistical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the dressed side and salinetreated side with respect to pain, discomfort and patient's experiences revealed that both treatment sides behaved similarly at any postoperative day(P>0.05). 3. Considering the patient's preference, on the basis of pain and discomfort experienced, 43% preferred the saline-mouthwash and 32% preferred the dressing, 25% showing no preference for either the dressing or the saline-mouthwash. There is evidence to support the use of a periodontal dressing in retention of an apically positioned flap by preventing coronal displacement, or its use to provide additional support to stabilize a free gingival graft. However, there will always be a use for periodontal dressing although routine use of dressings may decrease because of better surgical techniques and the use of antibacterial mouth rinses.

  • PDF

근단 변위 판막술을 이용한 매복 상악 중절치의 맹출유도 (ERUPTION GUIDANCE OF IMPAC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WITH APICALLY POSITIONED FLAP)

  • 류현섭;권훈;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83-390
    • /
    • 2001
  • 상악중절치의 매복은 임상적으로 흔히 볼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중절치는 협측에 매복되어 있다. 이러한 협측매복은 치료가 무척 어렵다. 협측매복시 치은퇴축과 부착치은의 상실,치주낭이 발견된다. 따라서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외과적 술식을 통해서 부착치은의 소실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매복치의 위치와 부착치은의 양에 따라 수술방법으로 간단한 치은절제술(gingivectomy)외에도 필요하면 근단변위판막술(apically positioned flap), 측방변위판막술(laterally positioned flap), 유리치은 이식술(free gingival graft) 등과 같은 여러 판막술과 치아의 생리적인 맹출기전을 복제한 폐쇄 맹출법 (closed eruption technique)을 고려 할 수 있다. 하지만 치은절제술은 근단변위판막술에 비하여 부착치은의 양이 적어 많은 양의 부착치은 이 필요한 경우에는 근단변위판막술이 적응증이며 매복치아가 nasal spine근처에 있을 때는 폐쇄 맹출법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본 증례에서 두 증례에서는 근단변위 판막술을 한 증례에서는 폐쇄 맹출법을 사용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폐쇄 맹출법이 더 심미적이었으나 부착치은의 양은 작았다. 이에 상악 중절치의 매복의 경우에서 올바른 임상적, 방사선학적인 검사를 통해 적응증에 맞는 외과적 수술로써 외과적 견인후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