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agility curve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1초

취약도 곡선에 의한 수리구조물 하부 지반의 확률론적 침투 안정성 평가 (Probabilistic Assessment of Seepage Stability of Soil Foundation under Water Retaining Structures by Fragility Curves)

  • 조성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10호
    • /
    • pp.41-5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침투조절을 위하여 댐이나 보와 같은 수리구조물의 기초지반에 설치되는 차수벽체 형태에 따른 포화 침투거동의 확률론적 거동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투수계수의 불확실성과 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정상상태 흐름의 유한요소해석에 기반을 둔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의 결과로부터 평가된 지반의 침투거동에 대한 확률분포로부터 수위 변동에 따른 파괴확률을 구함으로써 취약도 곡선을 작성하였다. 취약도 곡선은 침투로 인한 수리구조물과 기초지반의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기초지반을 통한 침투유량, 구조물에 작용하는 양압력, 하류 유출면에서의 유출동수경사에 대하여 작성하였다. 생성된 취약도 곡선들로부터 차수벽체 설치 형태가 수위 상승 시 수리구조물과 기초지반의 안정에 대한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건강인(健康人) 및 직업적(職業的) 매혈(賣血)로 인(因)한 실혈성(失血性) 빈혈자(貧血者)의 적혈구(赤血球) 취약성(脆弱性)에 관(關)하여 (On the Red Cell Fragility in the Normal and Anemic Professional Blood Donors)

  • 이석강;유광수;김형규;곽동수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5권2호
    • /
    • pp.1-7
    • /
    • 1971
  • The osmotic and mechanical red cell fragility of the professional blood donors, who were found to be anemic as the result of frequent and repeated blood loss the past 5-6 years, were compared with that of the normal person while incubating the blood at $4-6^{\circ}C$ for 28 days. The fragility was expressed as % hemolysis occured during the incubation,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osmotic fragility in the normal persons (i.e, ; control group) progressively increased as the incubation became longer, and % hemolysis in 0.42% NaCl solution at 0, 10, 15, 21 and 28 incubation day was 31.90, 50.20, 41.68, 43.50 and 55.40 respectively. The mechanical fragility. in the normal red cells ranged between the minimum of 0.00% to the maximum of 5.80% both in 0.90 and 0.66% of NaCl solutions. 2. The hemolysis curve obtained in the red cell osmotic fragility from three cases of the anemic persons (i.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left side shift comparing with the normal in general which indicates that the fragility was more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mechanical frag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ranged between the minimum 0.00% to the maximum 19.00% both in 0.90 and 0.66% of NaCl solutions. 3. The red cells of the chronic anemic person due to the frequent blood loss as the professional blood donor exhibit significantly marked increase both in osmotic and mechanical fragility comparing with the normal, and the tendency was more prominent as the incubation period became longer.

  • PDF

역량스펙트럼법을 통한 구조물 성능점의 확률적 기반 내진성능평가기법 개발 (Development of Stochastic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Structural Performance Point Based on Capacity Spectrum Method)

  • 최인섭;장지상;김준희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6호
    • /
    • pp.523-53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역량스펙트럼법을 이용해 얻어진 구조물의 성능점을 확률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ATC-40에 따라 역량스펙트럼법을 이용하여 4층 1경간 철골구조물의 성능점을 산정하였다. 요구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성능한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부재의 소성변형각으로부터 정의되는 구조물의 성능한계에 대해 한계변위를 도출하였다. 또한 설계응답스펙트럼과 유사한 응답스펙트럼을 가지는 인공지진파 30개를 선정하여 스펙트럼 가속도에 따른 각 성능한계의 초과여부를 통해 fragility curve를 도출하였다. 관측된 초과확률을 이용하여 fragility curve를 도출하기 위해 maximum likelihood method를 사용하였다. 각 성능한계점에 대응하는 설계응답스펙트럼의 응답가속도값에서 성능한계점을 초과할 확률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방식은 구조물의 성능점에 대해 지진파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확률적 평가가 가능하고, 시간증분해석이 필요하지 않아 해석시간을 상당부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유한요소 신뢰성 해석을 통한 액체저장탱크의 지진 취약도 평가 (Seismic Fragility Assessment of Liquid Storage Tanks by Finite Element Reliability Analysis)

  • 이상목;이영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718-725
    • /
    • 2017
  • 액체저장탱크는 화학물질을 다루는 산업단지의 주요한 구조물로서, 지진으로 인한 구조물의 손상은 화학물질의 유출, 화재, 폭발 등의 추가적인 피해를 야기한다. 따라서 액체저장탱크의 지진 취약성을 사전에 효율적으로 평가하고, 지진에 대비하는 일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지진으로 인해 진동하는 액체저장탱크는 액체-구조물의 상호작용으로 탱크 벽체에 유동압력이 작용하며, 이는 탱크의 응력을 증가시키고 구조적 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한편, 구조물의 지진 취약성은 여러 불확실성 요인들을 고려하여 정해진 한계상태에 대한 파괴확률을 산정함으로써 평가하게 되는데, 보다 정확한 액체저장탱크 지진 취약도 평가를 위해서는 신뢰성 해석 과정에서 정교한 유한요소 해석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신뢰성 해석 소프트웨어와 유한요소 해석 소프트웨어를 서로 연동시켜 개발된 FERUM-ABAQUS를 활용한 유한요소 신뢰성 해석을 통해 액체저장탱크의 파괴확률을 계산하였다. 이러한 유한요소 신뢰성 해석 기법은 두 소프트웨어 간의 자동적인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구조물의 지진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얻은 파괴확률 결과를 바탕으로 지진 강도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지진 취약도 곡선을 성공적으로 도출하였다.

Intensity measure-based probabilistic seismic evaluation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of ageing bridges

  • Yazdani, Mahdi;Jahangiri, Vahid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9권5호
    • /
    • pp.379-39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evaluate the seismic behavior of ageing arch bridges by using the Intensity Measure - based demand and DCFD format, which is referred to as the fragility-hazard format. Then, an investigation is performed for their seismic vulnerability. Analytical models are created for bridges concerning different features and these models are subjected to Incremental Dynamic Analysis (IDA) analysis using a set of 22 earthquake records. The hazard curve and results of IDA analysis are employed to evaluate the return period of exceeding the limit states in the IM-based probabilistic performance-based context. Subsequently, the fragility-hazard format is used to assess factored demand, factored capacity, and the ratio of the factored demand to the factored capacity of the models with respect to different performance objectives. Finally, the vulnerability curves are obtained for the investigated bridges in terms of the loss ratio. The results revealed that decreasing the span length of the unreinforced arch bridges leads to the increase in the return period of exceeding various limit states and factored capacity and decrease in the displacement demand, the probability of failure, the factored demand, as well as the factored demand to factored capacity ratios, loss ratio, and seismic vulnerability. Finally, it is derived that the probability of the need for rehabilitation increases by an increase in the span length of the models.

수평원통형 저장탱크의 지진취약도 해석 (Seismic Fragility Analysis of Ground Supported Horizontal Cylindrical Tank)

  • 나빈;선창호;김익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7호
    • /
    • pp.145-151
    • /
    • 2019
  • 유연한 벽체를 가지면서 내용물이 일부분 저장된 수평원통형 저장탱크의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진취약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충격질량과 유연질량의 두 개의 집중질량을 갖는 등가의 간이모델로 저장탱크를 모델화하였으며, 이 모델의 유효성은 구조물-유체 상호작용을 고려한 3D 해석모델의 응답이력해석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이 등가의 간이모델에 대해서 양방향 지반운동에 대해 지진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종축방향과 직각방향에 대해 안정성과 관련한 지진취약도 곡선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수평원통형 저장탱크는 직각방향에 대해서 지진 시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Influence of time-varying attenuation effect of damage index on seismic fragility of bridge

  • Yan, Jialei;Liang, Yan;Zhao, Boyang;Qian, Weixin;Chen, Huai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9권4호
    • /
    • pp.287-301
    • /
    • 2020
  • Fragility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to evaluate seismic performance, which is greatly affected by damage index. Taking a multi span continuous rigid frame offshore bridge as an example. Based on fragility and reliability theory, considering coupling effect of time-varying durability damage of materials and time-varying attenuation effect of damage index to analyze seismic performance of offshore bridges. Results show that IDA curve considering time-varying damage index is obviously below that without considering; area enclosed by IDA of 1# pier and X-axis under No.1 earthquake considering this effect is 96% of that without considering. Area enclosed by damage index of 1# pier and X-axis under serious damage with considering time-varying damage index is 90% of that without considering in service period. Time-varying damage index has a greater impact on short pier when ground motion intensity is small, while it has a great impact on high pier when the intensity is large. The area enclosed by fragility of bridge system and X-axis under complete destruction considering time-varying damage index is 165% of that without considering when reach designed service life. Therefore, time-varying attenuation effect of damage index has a great impact on seismic performance of bridge in service period.

Seismic fragility analysis of base isolatio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building considering performance - a case study for Indonesia

  • Faiz Sulthan;Matsutaro Seki
    • Structural Monitoring and Maintenance
    • /
    • 제10권3호
    • /
    • pp.243-260
    • /
    • 2023
  • Indonesia has had seismic codes for earthquake-resistant structures designs since 1970 and has been updated five times to the latest in 2019. In updating the Indonesian seismic codes, seismic hazard maps for design also update, and there are changes to the Peak Ground Acceleration (PGA). Indonesian seismic design uses the concept of building performance levels consisting of Immediate occupancy (IO), Life Safety (LS), and Collapse Prevention (CP). Related to this performance level, cases still found that buildings were damaged more than their performance targets after the earthquake. Based on the above issu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base isolation design on existing target buildings and analyze the seismic fragility for a case study in Indonesia. The target building is a prototype design 8-story medium-rise residential building using the reinforced concrete moment frame structure. Seismic fragility analysis uses Incremental Dynamic Analysis (IDA) with Nonlinear Time History Analysis (NLTHA) and eleven selected ground motions based on soil classification, magnitude, fault distance, and earthquake source mechanism. The comparison result of IDA shows a trend of significant performance improvement, with the same performance level target and risk category, the base isolation structure can be used at 1.46-3.20 times higher PGA than the fixed base structure. Then the fragility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fixed base structure has a safety margin of 30% and a base isolation structure of 62.5% from the PGA design. This result is useful for assessing existing buildings or considering a new building's performance.

PSC 상자형교의 지진취약도 곡선에 대한 근거리 및 원거리 지진의 영향 (Effect of Near- and Far-Fault Earthquakes for Seismic Fragility Curves of PSC Box Girder Bridges)

  • 김학수;송종걸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53-64
    • /
    • 2010
  • 구조물의 지진취약도 곡선은 지진의 다양한 강도를 최대지반가속도 등의 함수로 하여 몇 가지로 구분된 손상상태를 초과할 확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구조물의 내진성능과 지진위험도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기존의 많은 연구자들이 수행한 지진취약도 곡선에 대한 연구에서 근거리 및 원거리 지진하중의 특성에 대하여 고려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근거리 및 원거리 지진으로 구분되는 지진가속도 기록을 사용하여 국내 교량의 대표적인 형식의 하나인 PSC상자형교에 대한 지진취약도 곡선을 평가하였으며 근거리와 원거리로 구분된 지진 특성이 지진취약도 곡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예제교량의 지진취약도 곡선에 대한 근거리 및 원거리 지진의 영향이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므로 지진취약도 해석시 근거리와 원거리로 구분되는 지진의 특성을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확률론적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다자유도 교량구조물의 지진취약도해석 (Seismic Fragility Analysis for Probabilistic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Multi-Degree-of-Freedom Bridge Structures)

  • 김학수;송종걸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269-272
    • /
    • 2008
  • 구조물의 지진취약도곡선은 임의의 크기를 가진 지진에 대하여 구조물에 어느 규모이상의 손상이 발생할 확률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조물의 내진성능평가 및 손실평가 하는데 아주 중요하다. 본 논문은 선진국의 지진취약도 추정기법을 분석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지진취약도 추정 기법을 확립하기 위한 연구방법론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지진취약도함수의 개발현황을 조사하였다. 그 다음 이러한 평가방법을 국내에 적용하기 위하여 국내의 교량구조물을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는 PSC Box 거더교에 대해서 지진취약도곡선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구조물의 분류와 손상상태는 구조물의 손상평가와 지진취약도해석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