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tified nutrient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3초

Effects of Different Products and Levels of Selenium on Growth, Nutrient Digestibility and Selenium Retention of Growing-finishing Pigs

  • Tian, J.Z.;Yun, M.S.;Kong, C.S.;Piao, L.G.;Long, H.F.;Kim, J.H.;Lee, J.H.;Lim, J.S.;Kim, C.H.;Kim, Y.Y.;Han, I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호
    • /
    • pp.61-66
    • /
    • 200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selenium (Se) products (inorganic, organic A, organic B) added at two supplemental dietary Se levels (0.1 and 0.3 mg/kg)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Se retention in growing-finishing pigs. A $3{\times}2$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was used in a RCB design, with a non-Se-fortified basal diet serving as the negative control. A total of 56 crossbred pigs (28 male and 28 female pigs) initially weighing an average $28.45{\pm}0.53kg$ BW were allotted to each treatment with four pigs per pen on the basis of sex and weight. Two pigs per pen were selected and bled from the anterior vena cava at 3- weekly intervals to analyze Se concentration. In the growing phase (0-6 weeks), increased ADFI was observed when pigs were fed organic Se compared to those fed the control diet or inorganic Se treatment (p<0.05). Pigs fed inorganic Se had a great ADFI than pigs fed organic Se (p<0.05) in the late finishing phase (7-12 weeks),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whole period ADFI between organic or inorganic Se products. During 12 weeks of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serum Se concentration increased linearly when dietary Se level increased regardless of Se products (p<0.05). Both dietary Se source (p<0.05) and Se level (p<0.01) influenced the Se concentration of various pig tissues at end of this experiment and Se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kidney. For the determination of nutrient digestibility, a metabolic trial was conducted in 3 replicates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RCB) design. A total of 21 barrows ($50.21{\pm}0.62kg$ of average BW) were used in the metabolic study. Selenium supplementation had no effect on nutrient digestibility except for crude protein. Crude protein digestibility increased with dietary supplementation of organic Se (A) compared with other forms of Se products or control diet (p<0.05). Consequently,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dietary Se products and levels had no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of pigs. Se concentration in tissues and serum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dietary Se level, especially when organic Se was provided. Although pigs were fed organic forms of Se, bioavailability of organic forms varied among products, consequently bioactivity of organic products to the animals should be evaluated before practical application in animal feed.

가공식품의 영양강화 현황과 제 외국의 영양강화 정책 (Current Status of Nutrient Fortification in Processed Foods and Food Fortification Policies in Other Countries)

  • 장순옥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5권2호
    • /
    • pp.205-214
    • /
    • 1999
  • Nutrition fortification of processed foods with microelements is a popular practice in many countries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of target population. In this study the current food fortification in Korea was evaluated and the regulations and guidelines for food fortification in other countries were presented. Most commonly added nutrients were calcium, vit.C, fiber, vit.Bs and iron. The level of fortified nutrients and the vehicle foods were variable. vit.C and fiber appeared to be overfortified in some foods and the necessity of fortification of these nutrients needs to be examined since the intakes of these elements appears to meet the RDA. Most of other nutrients such as vit.A, vit. $B_1$, vit. $B_2$, and iron were added at the level of 10~25% RDA per serving size. The vehicle foods for fortification were snacks, milk, ramyun, breakfast cereal, juices, candies and ready-to-eat retort pouch foods but not rice which is a staple food in Korea. The guideline and regulation for food fortification is required to ensure safe and proper supplementation of needed nutrients in processed foods.

  • PDF

The effect of high potassium adaptation on hybridoma cell growth

  • Son, Chang-Kyun;Park, Hong-Woo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I)
    • /
    • pp.374-377
    • /
    • 2003
  • 본 연구에서 hybridoma 세포는 $K^+$농도를 80 mM까지 높인 배지에 적응시켰다. $K^+$ 80 mM에 적응된 세포는 높은 삼투압과 낮은 pH에서 내성을 가졌다. 적응되지 않은 세포와 $K^+$ 80 mM에 적응된 세포는 Erlenmeyer flask에서 강화 배지로 회분 식으로 배양되었다. 배지의 삼투압이 450 $mOsm/kgH_2O,$일 때 적응되지 않은 세포의 최대 세포 농도가 $4.8{\times}10^5$ cells/ml로 낮은 성장을 보였고, 적응된 세포는 $1.1{\times}10^6$ cells/ml까지 성장하였다. 또한 배지의 초기 pH가 7.0일 때 적응되지 않은 세포는 $5.3{\times}10^5$ cells/ml인 반면, $K^+$ 80 mM에 적응된 세포 농도는 $7.8{\times}10^5$ cells/ml였다. 따라서, 동물세포의 높은 $K^+$농도에의 적응은 세포배양의 한계조건에서 적응되지 않은 세포가 받는 성장 저해를 줄여줄 것이다.

  • PDF

Effects of Wet Feeding of Diets with or without Food Waste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 Moon, J.S.;Kwon, I.K.;Chae, B.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504-510
    • /
    • 2004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expt. 1, a total of fifty-four pigs (L$\times$Y$\times$D, 56.14$\pm$1.7 kg) were used for a feeding trial to determine the effect of wet feeding of a commercial-type diet without food waste (FW). Treatments were dry (Control), wet (WF) and wet+dry feeding (WDF). For wet feeding, the diet was mixed with water at a ratio of 1:2.5 (feed:water). A wet feed was given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for the WF group, but the dry feed was given during the finisher period for the WDF group. In expt. 2, a total of fifty-four pigs(L$\times$Y$\times$D, 55.7$\pm$1.8 kg) were used for a feeding trial to determine the effect of wet feeding of FW. Treatments were a commercial-type dry (Control), wet fermented food waste (WFFW) and WFFW+dry feeding (WFFW+DF). For wet feeding of fermented food waste, however, some ingredients (concentrate) were added to make nutrient contents comparable to the control diet. The FW collected was ground ($\leq$5 mm), heated with a steam jacket (140$\pm$3$^{\circ}C$) and fermented with probiotics for one day in a steel container at 30-40$^{\circ}C$. For the WFFW group, the wet feed was given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but a dry feed was given during finisher period for the WFFW+DF group. In expt. 1, during the grower period, pigs fed wet feed showed higher average daily gain (ADG)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than those fed only dry feed (p<0.05). During the finisher period, pigs in the WDF group showed better ADG and FCR than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pigs in the WDF group grew faster (p<0.05)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same trend was found in FCR. Also, dressing percentage, backfat thickness, lean %, and pork color were not affected by the wet feeding of diets in this study. In expt. 2, during the grower period, pigs fed diets containing FW showed lower (p<0.05) ADG than those fed the control diet. But FCR was better (p<0.05) in pigs fed FW than in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finisher period, pigs in the WFFW+DF group grew faster (p<0.05) than those in the control and WFFW groups.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pigs fed the control diet showed better ADG (p<0.05) than those fed FW, but feed intake and FCR were vice versa. Dressing percentage was lower (p<0.05) in the WFFW than in the control group, but backfat was thinner in the WFFW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summary, it can be concluded that wet feeding of formula feed can improve daily gain, however, feeding fermented wet food waste may reduce daily gain of finishing pigs, even though it was fermented and the nutrient was fortified with concentrates. In addition, dry feeding of a formula feed during the finishing period can improve daily gain in pigs fed a wet feed with or without food waste during the grower period.

초등학교 급식을 위한 고칼슘음식 개발과 영양사들의 칼슘공급에 대한 인식 (Development of High Calcium Dishes for Elementary School Lunch and Perception on Calcium Supply by School Dietitian)

  • 장순옥;배선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373-1380
    • /
    • 2009
  • 학동기 아동은 신체 발육이 왕성하고 평생의 식습관을 형성하는 과정인 만큼 칼슘확보를 위한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유나 유 가공품을 기피하거나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는 일부 아동들의 식생활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학교급식에서 공급할 수 있는 고칼슘음식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경기도 초등학교 영양사를 대상으로 칼슘영양 및 칼슘강화에 대한 인식과 개발된 칼슘급원음식의 수용도를 설문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영양사(총 118명)들의 90% 이상이 학교급식 식단구성에서 칼슘의 중요성은 잘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급식에서 우유공급은 79.7%의 영양사가 '매일' 또는 '일부' 한다고 응답하였다. 우유 외에 칼슘공급 음식개발의 필요성은 80%의 영양사가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개발은 30% 수준이었다. 20종의 개발된 고칼슘 음식의 칼슘함유량이 1식당 학교급식 칼슘권장량을 초과한 음식은 3종이었으며 수용도 4점 이상(최고 5점)을 받은 음식은 2종으로 제한되었다. 참치추어강정, 무청김치치즈전, 치즈멸치볼, 무청갈비찜은 칼슘함량과 수용도 모두에서 우수하였다. 수용도는 연령에 영향을 받아 20대 영양사군에서 높았다. 칼슘강화식품에 대한 인식은 사용에 긍정적인 응답이 41.5%, 부정적 응답이 33.0%였다. 사용정도는 '사용한다'는 38.1%, '사용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48.4%에 달하였다. 칼슘강화식품에 대하여 대상자들은(70.3%) 잘 인지하고 있었으며 칼슘강화식품 사용의사에 대해서는 39.8%가 '있다', 33.1%는 '없다'고 응답하였다. 칼슘강화식품에 대하여 20대군이 30대 이상 군에 비해 칼슘강화식품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과 높은 이용의도를 보였다. 학교급식에서 우유공급을 하지 않는 군이 공급 군들에 비하여 칼슘강화식품에 대해 더 긍정적 인식을 가졌으며 칼슘강화식품 사용정도와 이용의도가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높았다. 또한 칼슘공급 음식개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거나 많이 개발하는 군에서 칼슘강화식품에 대해 더 긍정적이었으나, 실제 사용 정도 및 이용의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울산지역 유치원 어린이의 <한국인영양섭취기준>에 의한 영양소섭취 실태 및 아연영양 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utrient Intakes and Zinc Nutritional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n Ulsan)

  • 유경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4호
    • /
    • pp.385-39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zinc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n Ulsan. The study was conducted in 95 children aged 3 to 6 years by investigating the anthropometric indices and assessing the biochemical analysis. The blood was analysed to assess serum zinc and alkaline phosphatase. And a questionnaire for dietary intakes using 24-hr recall method were performed by mothers of 95 subjects. The dietary intakes of children were analys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inadequate and excessive intakes of zinc with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WHL (Weight-Length Index) and Kaup index were used to define obesity. The overall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were 14.7% and 6.3% by WHL, were 15.8% and 13.7% by Kaup index. The mean intakes of zinc by children aged 3${\sim}$5y and 6y were 5.5 ${\pm}$ 1.4 mg/d (75.7% RDA) and 6.7 ${\pm}$ 2.0 mg/d, respectively, that was the level exceeding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and the recommended intake (RI) of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s. Less than 1.3% and 7.9% of children had usual zinc intakes below EAR and RI of KDRIs, respectively. The percentages of children with intakes exceeding the tolerable upper intake level (UL) were 2.6%. The zinc nutritional status by biological assay was found that mean serum zinc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of total subjects were 64.0 ${\pm}$ 8.4 ${\mu}$g/dl and 72.8 ${\pm}$ 14.9 U/L,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The range of serum zinc level was 45${\sim}$89 ${\mu}$g/dl and children with a low serum zinc concentration by several cut-off points were 18.9${\sim}$55.8%, especially. Serum zinc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intakes of calorie, calcium, fiber, iron, zinc, zinc/kg and height (p<0.001). Serum ALP was positively correlated height, weight and WLI. The zinc intake of children ai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weigh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zinc status and growth of preschool children. Preschool children in Ulsan have dietary zinc intakes that exceed the new DRIs. The present level of intake does not seem to pose a health problem, but if zinc intakes with fortified foods and supplements were considered, the amount of zinc consumed by children may become excessive.

저혈청농축배지에서 세포성장 및 간염표면항원에 대한 단일클론항체 생산의 증가 (Enhancement of Hybridoma Cell Growth and Anti-Hepatitis B Surface Antigen Monoclonal Antibody Production in Enriched Media with Low Serum)

  • 전복환;조의철김동일백승복
    • KSBB Journal
    • /
    • 제5권1호
    • /
    • pp.87-94
    • /
    • 1990
  • 본 논문에서는 10% fetal bovine serum(FBS)를 첨가한 RPMI 1640배지에 비하여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에 대한 단일클론항체 생산에 있어서 효과적은 무혈청 배지에 낮은 온도의 혈청을 첨가하여 하이브리도마_2_c3.1 세포에서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세포성장관 단일클론항체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기본 무혈청배지와 RPMI 1640 배지성분들의 농도를 균형있게 강화시킨 배지를 2:1(v / v)로 혼합하여 농축배지를 조성하고, 이 배지에 2mg / ml 인혈청 알부민 $5\;{\mu\textrm{g}}\;/\;ml$ insulin, $5\;{\mu\textrm{g}}\;/\;ml$ tran-sferrin, $10\;{\mu\textrm{g}}\;/\;ml$ monoethanolmine 등의 몇가지 무혈청 첨가물들을 첨가하였다. 이 농축 배지에 fetal bovine serum(FBS)과 supplemented bovine calf serum(sBCS)을 첨가하였을때의 세포성장과 단일클론항체 생산을 비교하여 FBS농도를 변화하여 세포성장과 단일클론항체생산의 증가를 시도하였다. 0.5%를 농축배지에 첨가함으로써 세포성장과 단일클론항체생산의 증가를 보았다. 최대 세포농도는 $3.06{\times}10^6$ cells / ml이었으며, 이때 생산된 단일클론항체는 10% FBS배지의 $43.0\;{\mu\textrm{g}}\;/\;ml$ 무혈청배지의 $50\;{\mu\textrm{g}}\;/\;ml$보다 3배이상 높은 $159.7\;{\mu\textrm{g}}\;/\;ml$이 생산되었다.

  • PDF

엽산: 2020 영양소 섭취기준과 한국인의 영양상태 (Folate: 2020 Dietary reference intakes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s)

  • 한영희;현태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3호
    • /
    • pp.330-347
    • /
    • 2022
  • 엽산은 비타민 B군에 속하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핵산 합성과 아미노산 대사에서 단일탄소를 전달해 주는 반응의 조효소 역할을 한다. 엽산은 새로운 세포가 형성되어 성장하는 임신기와 성장기에 매우 중요한 영양소이며, 여성의 임신 전 적절한 엽산 영양상태는 신경관 결손증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엽산 섭취 부족은 빈혈, 고호모시스테인혈증, 심혈관질환, 암, 인지 장애, 우울증 등 다양한 질병과도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어, 엽산은 전 생애주기 동안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히 섭취해야 하는 영양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2020 한국인 엽산 섭취기준의 개정 근거를 살펴보고, 국민건강영양조사로부터 엽산 섭취량과 혈청 엽산 농도를 성별, 연령대별로 분석하였으며, 향후 엽산 섭취기준 개정에 참고할 만한 내용을 제언하였다. 표준체중의 변경에 따라 영아 후기의 충분섭취량과 15-18세의 평균필요량이 2015년과 달리 변경되었으나, 권장섭취량과 상한섭취량에는 변화가 없었다.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서 대부분의 연령에서 엽산 섭취량은 권장섭취량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특히 15-29세 여성의 섭취량이 권장섭취량 대비 매우 낮았다. 임신부와 수유부의 엽산 섭취량도 권장섭취량 대비 60% 이하로 낮았으나, 혈액수준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아 보충제를 섭취한 결과로 보인다. 앞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보충제 섭취량도 조사해야 할 것이며, 엽산의 섭취량 평가를 위해서는 생식품, 조리된 식품, 강화식품 중의 엽산 함량에 대한 DB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혈청 엽산 뿐 아니라 적혈구 엽산 농도와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도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분석방법에 대한 질 관리가 필요하다.

Herb Mix® 첨가가 이유자돈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rb Mix®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Weanling Pigs)

  • 이우선;백인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321-328
    • /
    • 2007
  • 자돈 사료에 지황, 당귀, 작약, 감초, 오미자, 천궁으로 조제된 한방생약제제 Herb Mix(허브바이오 Co.)의 첨가가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분내 미생물균총 그리고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총 4주간의 사양실험을 2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1차 실험동물은 약 4주령 3원 교잡종(Y×L×D) 이유자돈 45두(거세돈)를 공시 하였으며 대조구, Herb Mix 0.15% 첨가구 그리고 Herb Mix Gold 0.15% 첨가구 등 3처리구에 처리당 5반복, 반복당 3두씩 대사케이지에 완전 임의로 배치하였다. 2차 시험은 1차와 같은 연령과 품종의 이유자돈 48두(거세돈)를 공시하였으며 대조구, Herb Mix 0.1%, 0.2% 그리고 0.3% 첨가구 등 4처리구에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3두씩 배치하였다. 1차 실험의 결과, 일당증체량은 한방제제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p<0.05) 개선되었으나 Herb Mix와 Herb Mix Gold 첨가구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2차 실험의 결과,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에 있어서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으나 첨가구들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양소 소화율에서는 1차 시험에서는 건물과 NFE에서 유의적으로(P< 0.05) 한방제제 첨가구들이 낮았으며 2차 시험에서도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전체적으로 한방제제 첨가구들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청 IgG 함량과 WBC수는 1, 2차 시험 모두 대조구에 비해 한방제제 첨가구들이 모두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으며 스트레스 지수(SI)도 감소하였다. 분 내 균총수는 1, 2차 실험 모두 E. coli 수는 한방제제 첨가구들이 유의하게 적었으며(P<0.05) Lactocbacilli 수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철결핍빈혈 영·유아에서 어머니의 이유지식 (A study of mothers knowledge of weaning of infants with iron-deficiency anemia)

  • 김성진;김동현;장주희;전용훈;홍영진;손병관;김순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5호
    • /
    • pp.468-473
    • /
    • 2008
  • 목 적 : IDA로 진단된 영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수유 방법과 이유 진행사항 등의 실태를 조사하였고, 설문지 답변을 통하여 어머니가 가지고 있는 이유식에 대한 지식을 알아보았고, 그들의 이유식 관련 지식과 실제 나타나는 현실과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방 법 : 2006년 3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인하대병원 외래 또는 입원한 영유아 중 IDA로 진단 받은 6-40개월 환아 111명(남:여=1.6:1)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이유 실태 조사 및 이유지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 과 : 1) 혈액학적인 분포는 Hb는 $9.5{\pm}1.0g/dL$이었고, Hb 8 g/dL미만이 8.1%이었고, 9 g/dL 미만이 27.9%에 달하였다. MCV 70미만이 92명(82.8%)이었다. IDA가 분명한데도 페리틴 10 ng/dL 이상인 경우가 54명(48.6%)에 달하였다. 2) 이유식을 3개월 또는 그 이전에 이유식을 시작한 경우는 한 예도 없었고, 7개월 이후에 시작한 경우가 33.3%에 달하였다. 이유식의 평균 시작시기는 6.4 개월이었으며, 4-6개월에 시작한 경우(n=74)의 Hb은 $9.6{\pm}1.0g/dL$으로서, 7개월 이후에 시작한 경우(n=37)의 Hb $9.3{\pm}1.0g/dL$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3) 이유식의 시작 시기가 늦을수록 Hb 수치가 낮게 나타났고, 생후 6개월까지 모유수유만 하고 이유식을 시작하지 않은 영유아들의 Hb 수치가 낮게 나타났다(P<0.05). 4) 처음 시도하는 이유식으로는 미음(82.6%), 과일즙(10.8%), 선식(4.5%) 등 순이었고, 주로 먹는 이유식의 종류는 야채죽(38.7%), 미음(36.9%), 과일즙(17.1%)의 순이었다. 주로 사용한 이유식은 집에서 만든 것이 87명(78.3%)이었고, 상품화된 이유식 사용은 7명(6.3%)이었다. 5) 어머니의 이유지식 점수는 대졸이상 그룹과 고졸 그룹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이유지식이 IDA중증도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하지 않았다. 6) 이유식을 시도하여 4주 이내에 완성된 경우가 56명(50.4 %) 이었고, 나머지는 1개월 이상 걸렸으며, 3개월 이상 걸린 경우도 22명(20.0%)에 달하였다. 결 론 : 급성 감염이나 발열시에 페리틴 측정만으로 철결핍 및 IDA 진단을 내리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소구성 적혈구증 역시 IDA를 판정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어머니가 이유지식이 부족하였고, 또한 상당한 이유지식을 가지고 있음에도 그 자녀에서 IDA가 발견되었으므로, 현재와 같은 이유식 방법을 지양하고, 이유식에 관한 교육 및 홍보를 강화한 좀더 개선된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