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zones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3초

Implications of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Forest Product Flows and Forest Dependent Communities in the Western Ghats, India

  • Murthy, Indu K.;Bhat, Savithri;Sathyanarayan, Vani;Patgar, Sridhar;M., Beerappa;Bhat, P.R.;Bhat, D.M.;Gopalakrishnan, Ranjith;Jayaraman, Mathangi;Munsi, Madhushree;N.H., Ravindranath;M.A., Khalid;M., Prashant;Iyer, Sudha;Saxena, Raghuvansh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2호
    • /
    • pp.189-200
    • /
    • 2014
  • The tropical wet evergreen, tropical semi evergreen and moist deciduous forest types are projected to be impacted by climate change. In the Western Ghats region, a biodiversity hotspot, evergreen forests including semi evergreen account for 30% of the forest area and according to climate change impact model projections, nearly a third of these forest types are likely to undergo vegetation type change. Similarly, tropical moist deciduous forests which account for about 28% of the forest area are likely to experience change in about 20% of the area. Thus climate change could adversely impact forest biodiversity and product flow to the forest dependent households and communities in Uttara Kannada district of the Western Ghats. This study analyses the distribution of non-timber forest product yielding tree species through a network of twelve 1-ha permanent plots established in the district. Further, the extent of dependence of communities on forests is ascertain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On an average 21% and 28% of the tree species in evergreen and deciduous forest types, respectively are, non-timber forest product yielding tree species, indicating potential high levels of supply of products to communities. Community dependence on non-timber forest products is significant, and it contributes to Rs. 1199 and Rs. 3561/household in the evergreen and deciduous zones, respectively. Given that the bulk of the forest grids in Uttara Kannada district are projected to undergo change, bulk of the species which provide multiple forest products are projected to experience die back and even mortality. Incorporation of climate change projections and impacts in forest planning and management is necessary to enable forest ecosystems to enhance resilience.

국내 휴양시설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current Barrier-Free facilities in Leisure Building)

  • 성기창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25-32
    • /
    • 2010
  •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in recreation as one of the ways to mainta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modern society, access to leisure facility is an issue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is paper identifies inaccessible features to propose the ways to promote participation and usage of the leisure faciliti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 survey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s conducted to determine preferred leisure facilities depending on types of disabilities. The result of this survey is used to evaluate current condition of regulated National leisure facility and forest, which include barrier-free facilities (e.g. interconnecting zones, interior spaces, lavatories and other facilities), signage, approachable information kiosks, emergency egress, and detectable warnings. The common issues (e.g. guiding mechanism, accessible route, safety factors, and barrier-free facilities/services) in various types of recreational facilities (e.g. forest recreational center, spa and hot springs, Amusement Park, ski resort)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지역기후모형을 이용한 산림식생의 취약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of Forest Vegetation using Regional Climate Model)

  • 김재욱;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32-40
    • /
    • 2006
  • This study's objects are to suggest effective forest community-level management measures by identifying the vulnerable forest vegetation communities types to climate chang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present forest communities identified and delineated in the Actual Vegetation Map.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to classify the climatic life zones based on the correlative climate-vegetation relationship for each forest vegetation community, the Holdridge Bio-Climate Model was employed. This study confirms relationship between forest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Then, the future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re predicted derived factors and present distribution of vegetation by utilizing the multinomial logit model. The vulnerability of forest to climate change was evaluated by identifying the forest community shifts slower than the average velocity of forest moving (VFM) for woody plants, which is assumed to be 0.25 kilometers per year.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result of correlative analysis shows that summer precipitation, mean temperature of the coldest month, elevation,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and soil acidity (pH) are highly influencing factors to the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Secondly, the result of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employing the assumed velocity of forest moving for woody plants (0.25kmjyear) shows that 54.82% of the forest turned out to be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The sub-alpine vegetations in regions around Mount Jiri and Mount Seorak are predicted to shift the dominance toward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In the identified vulnerable areas centering the southern and eastern coastal regions, about 8.27% of the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is likely to shift to sub-tropical forest communities, and 3.38% of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is likely to shift toward Quercus acutissima communities. In the vulnerable areas scattered throughout the country, about 8.84% of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is likely to shift toward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due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The study findings concluded that challenges associated with predicting the future climate using RCM and the assessment of the future vulnerabilities of forest vegetations to climate change are significant.

Palynological Study of Akindonuma Moor in the Central Oh-u Backbone Range, Northeasternl Japan

  • Park, Ji-Ho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1호
    • /
    • pp.45-49
    • /
    • 2002
  • Pollen analyses and $^{14}$ C dating of the sediments of the Akindonuma moor, which is situated in a closed depression of an old landslide, were peformed in order to study the vegetation history of the montane zone of the Miyagi Prefecture, Northeast Japa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wo forest zones have been distinguished: 1) the A-I zone, or the Fagus-Quercus-Betula forest (R I stage, before about 11,700 yrs B.P.), and 2) the A-II zone, or the Fagus-Quercus forest (R II stage, after about 11,700 yrs B.P.). By comparing the geological section with the pollen diagram of the moor, it is assumed that the deposit environment of the Middle Part, which mostly consists of peat layers, is very stable. During the period, the Ulmus/Zelfkova pollen ratio was very low and small peak was not recognized. According to the preceding research, them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fluctuation of the Ulmus/Zelkova pollen ratio and the general trend of hillslope instability in the changing balance of temporature and precipitation Actually, Zelkova serrata tends to cover the footslope and the lower sideslope. Ulmus davidiana covers the footslope and the alluvial cone. Therefore, the fact that the Ulmus/Zeikova pollen ratio was very low and small peak was not recognized, is believed to reflect the stability of the earth's surface environment, which was estimated from the geological section.

Marxan을 이용한 도시하천의 보전지역 설정 및 생태적 관리방안 연구 - 서울시 중랑천을 대상으로 - (A Study on Zoning and Management of Conservation Area and Ecological Management Plan on Urban Stream Using Marxan - A Case of Jungrangcheon(Stream) in Seoul -)

  • 윤호근;한봉호;곽정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16-27
    • /
    • 2020
  •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심 하천 중 국가하천인 중랑천을 대상으로 보전지역 설정 프로그램인 Marxan with zones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하천 내 보전지역 설정 및 생태적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Marxan with zones 프로그램 적용은 유역권(planning unit) 설정, 맵핑지표(mapping index) 적용, 반복적인 분석을 위한 수치보정, 분석을 통한 시나리오 별 최적안 작성, 시나리오 별 민감도 분석, 시나리오 중 최적안 검토 및 선정 단계로 진행하였다. 중랑천 내 보전지역 설정 결과, 기존에 보전지역으로 지정 및 관리하고 있는 중랑천 상류 야생생물보호구역을 포함한 다수의 유역권과 중랑천 하류의 철새보호구역을 포함한 유역권이 핵심보전지역으로 설정되었다. 상류는 중랑천을 중심으로 수락산과 도봉산 등 산림이 인접하여 다수의 야생조류가 관찰되었다. 하류는 한강 합수부, 청계천 합수부 등 하천생태계가 인접하여 하천을 따라 이동하는 철새 도래지이다. 따라서 중랑천 상류와 하류는 유역권 내 도봉산, 수락산, 응봉산 등 산림생태계, 도심 내 녹지, 청계천 합수부, 한강 합수부 등 다양한 생태계와 연결되어 있어 보전지역 설정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보전지역 검증 시 Marxan with zones 프로그램을 통한 기존 보전지역 설정 및 평가를 검증하였고, 프로그램을 통해 핵심보전지역으로 도출된 유역권을 생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하천 내 관리방안과 유역권 관리방안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수량화이론 I방법에 의한 아까시나무 임분의 적지 환경인자 도출 (Derivation of Suitable-Site Environmental Factors in Robinia pseudoacacia Stands Using Type I Quantification Theory)

  • 김소라;송정은;박천희;민수희;홍성희;임종수;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3호
    • /
    • pp.428-434
    • /
    • 2022
  • 본 연구는 밀원식물인 아까시나무의 적지적수 조림을 위해 임지생산력을 나타내는 지위지수를 도출하고, 지위지수에 어떠한 입지환경인자가 영향을 미치는 지를 수량화이론 I방법으로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6차 국가산림자원조사와 1/5,000 산림입지토양도 상의 임령, 우세목 수고 및 각종 입지환경인자였다. 6차 국가산림자원조사에 의한 우리나라 아까시나무 임분의 지위지수는 평균 14였으며, 범위는 8에서 18 사이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지위지수에 영향하는 입지환경인자는 모암, 기후대, 토양성질, 국소지형과 해발고였으며, 수량화이론 I방법을 적용한 추정모델의 적합도는 33%였다. 이 추정모델의 적합도는 낮으나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어 지위지수와 입지환경인자 간의 상호 연관성을 설명할 수 있었다. 지위지수와 입지환경인자 간의 수량화 분석 결과, 모암은 변성암, 화성암이, 기후대는 온대중부지역 이상에서, 토성은 식양토, 미사질양토가, 국소지형은 산복 지역에서 높은 점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지생산력(지위지수)에 영향하는 입지환경인자 각각의 편상관을 분석한 결과, 산림 내 토양의 성질과 해당 입지의 해발고에 대한 편상관계수가 0.4129, 0.4023으로 각각 나타나, 이들이 가장 영향력이 높은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피부사상균 Microsporum canis 및 Trichophyton mentagrophytes에 대한 편백정유의 항진균활성물질 탐색 (Investigation of Active Antifungal Compounds of Essential Oil from Chamaecyparis obtusa Against Dermatophytes, Microsporum canis and Trichophyton Mentagrophytes)

  • 박미진;이수민;곽기섭;정의배;장제원;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3호통권131호
    • /
    • pp.72-78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산 편백의 활용도를 높이고 편백정유의 식물성 의약품으로서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피부사상균인 Microsporum canis (KCTC6591), Trichophyton mentagrophytes (KCTC6077)에 대한 국내산 편백정유의 항진균활성을 평가하고, 활성분획의 주성분을 GC/MS로 확인하였다. 편백정유는 M. canis보다 T. mentagrophytes에 대한 항진균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한천 희석법에서 5,000 ppm 이상의 농도로 처리시 M. canis와 T. mentagrophytes 모두 균사 생장을 못하였다. TLC를 이용한 편백정유 분획에서는 B와 C부분에서 활성이 나타났으며 B와 C의 하부분획에서는 C-2가 강한 항진균 활성을 보였다. 항진균활성을 보이는 C-1의 주성분은 ${\alpha}$-terpineol이고, C-2의 주성분은 elemol, cedrol, eudesmol임을 GC/MS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국립공원(國立公園)의 용도지구(用途地區) 설정(設定)을 위한 지표인자(指標因子)의 구명(究明) (A Study on the Criteria for Land-use Zoning in National Parks of Korea)

  • 김영환;유기준;신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3호
    • /
    • pp.347-357
    • /
    • 199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주요한 관리기법으로 이용되고 있는 용도지구체계의 적합성 평가와 이를 보완하는데 필요한 객관적 지표인자를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전문가 대상 의견수렴조사인 Delphi 기법용 이용하여 지표인자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3단계에 걸쳐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30개 항목의 지표인자가 도출되었다. 이들 중에서 생물학적 환경에 속한 지표인자는 10개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가중치 함에 의한 중요도 분석 결과에서도 높은 등급에 포함되었다. 이것은 국립공원 관리에 있어서 생물학적인 인자가 매우 중요한 고려대상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최근 국립공원이 가지는 자연 보존적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사회 전반의 인식과도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여기서 제시된 30개 항목의 지표인자를 이용하여 기존 용도지구체계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국립공원별 자원조사를 실시하여 각 지표인자들에 대한 자료를 수집해야 한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새로운 용도지구를 구획 설정하고, 이를 기존의 용도지구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그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바람길숲 조성 계획기법 개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 (A Study on the Wind Ventilation Forest Planning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Urban Environment - A Case Study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

  • 한봉호;박석철;박수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8-4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도시 바람길숲 조성 계획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미세먼지 및 폭염 공간분석을 통해 상대적으로 심각한 집중지역의 유역권을 공간단위로 도출하였고, 해당 유역권 내 찬공기 유동 잠재성이 있는 지역을 바람길숲 조성 대상권역으로 선정하였다. 미세먼지 극심지역은 대덕구 대전산업단지 재생사업지구, 유성구 대덕테크노밸리 일대가 해당되었다. 폭염 발생 우심지역은 대덕산업단지(목상동), 대전산업단지 재생사업지구(대화동), 오정동 밀집주거지(오정동) 일대가 해당되었다. 대전 지점 자동기상관측장비(AWS) 측정 결과 낮과 밤의 평균 풍속은 0.1-1.7m/s, 밤 시간 바람 유동이 낮보다 저조하였고, 밤에 외곽 산림에서 생성되는 찬공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바람길숲 계획이 필요하였다. 대전광역시 미세먼지·폭염 집중관리 권역은 대전천 권역, 유등천 권역, 갑천-유등천 권역, 갑천 권역으로 총 4개 권역이었다. 바람길숲 조성계획 사례는 4개 권역 중 대전광역시 구도심이며, 바람길 조성 효과가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갑천-유등천 권역을 대상으로 제시하였다. 갑천-유등천 권역은 계족산 서사면 산림, 우성이산 남사면 산림에서 생성된 찬공기를 갑천, 유등천과 가로숲을 통해 연결하여 도심으로 찬공기 확산될 수 있도록 바람길숲을 계획하였다. 바람길숲 대상 권역 선정 후 해당 권역 내 기후톱지도, 바람형성기능 평가도 작성, 바람장미(밤) 현황 파악, 미세먼지 발생현황, 지표면 온도 분포현황을 상세하게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바람길숲 계획 구상 및 유형별 세부 대상지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바람길숲 유형별 조성방향 설정과 조성방향에 따른 세부 실행계획을 수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