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thinning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5초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곰솔임분의 간벌에 따른 토양 호흡 동태 (Soil CO2 Efflux by Thinning Treatments of a Black Pine (Pinus thunbergii Parl.) Stand Disturbed by Pine Wilt Disease)

  • 최은진;서희영;이광수;유병오;김춘식;조현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1호
    • /
    • pp.12-18
    • /
    • 2016
  • 경남 진주시의 남부산림자원연구소 월아시험림 내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곰솔임분의 간벌 처리구를 대상으로 토양 이산화탄소($CO_2$) 방출량과 토양환경요인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강도구, 약도구, 대조구를 설치하고 2012년 3월부터 2013년 2월까지 토양 $CO_2$ 방출량, 토양온도, 토양수분함량, 토양 pH 변화를 조사하였다. 토양 $CO_2$ 방출량의 월별 변화는 간벌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 차가 없었다(P>0.05). 연 평균 토양 $CO_2$ 방출량의 경우 처리간 유의적인 차는 없었으나 약도구 $0.58g\;CO_2m^{-2}h^{-1}$, 강도구 $0.49g\;CO_2m^{-2}h^{-1}$, 대조구 $0.45g\;CO_2m^{-2}h^{-1}$ 순으로 약도구가 높게 나타났다. 토양 $CO_2$ 방출량은 토양온도와 유의적인 지수함수 관계(P<0.05)가 있었으나 토양수분과 토양 pH 와는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Q_{10}$ 값의 경우 약도구 3.40, 강도구 3.20, 대조구 3.06으로 약도구가 가장 크게 나타나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곰솔임분의 간벌처리는 토양온도 상승과 함께 토양 $CO_2$ 방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evelopment of Innovative Technologies for Enhancing Low Flow Discharge and Reducing Turbid Material from Overcrowded Forest Plantations by Intensive Thinning in Japan

  • Otsuki, Kyoichi;Kasahara, Tamao;Onda, Yuichi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18
    • /
    • 2012
  • In Japan, about 67% of the land is covered by forests and about 41% of them consist of plantations. About 35% of the plantations consist of old-aged plantations of older than 50 yearsand the percentage is projected to 67% in ten years' time. Although the trees of these plantations are supposed to be cut for timber production, most of them remain unmanaged and thus overcrowded mainly due to declining domestic forest industry. Since the forests are mostly located in headwater watershed, there are growing concerns about the degradation of water resources by these unmanaged plantations. To understand the ecohydrological processes in these plantations and examine the effect of intensive 50-60 % thinning to increase infiltration rate and reduce overland flow and soil erosion by recovering understory vegetation, the JST-CREST project "Development of Innovative Technologies for Increasing in Watershed Runoff and Improving River Environment by the Management Practice of Devastated Forest Plantation (Representative: Yuichi Onda)" has been launched since 2009.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project is to provide potential scenario to enhance low flow discharge in drought period and reduce turbid material in high flow period. We have been conductingintensive field observation campaign in five research sites across Japan. In Fukuoka site, integrated ecohydrological observations have been conductedin two contrastive watersheds since 2010. Intensive 50% thinning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April 2012 and comparative studies of ecohydrological processes before and after thinning have been started. The interim results from all the sites of this project will be presented in the 3rd International Congress for Forest and Water in a Changing Environment held in Fukuoka during 18-20 September, 2012 (http://www.forest.kyushu-u.ac.jp/~ecohydrol/3ForestWater/index.html).

  • PDF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 조림지의 간벌 후 시간경과에 따른 서식환경과 소형 설치류 개체군 특성 (Differences in Habitat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Small Rodent Populations with Time Elapse Among Thinned Forest Stands in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Plantations)

  • 전종훈;김한규;김준수;이우신;김종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1호
    • /
    • pp.127-132
    • /
    • 2019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 장군봉 일대의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에서 간벌 후 시간경과에 따른 서식환경과 소형 설치류 개체군 특성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간벌지와 대조구의 서식환경은 교목 수와 관목 수, 상층 피도, 중층 피도, 암석 피도, 수목잔존물 수에서 임분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형 설치류의 포획 결과, 등줄쥐와 흰넓적다리붉은쥐, 대륙밭쥐, 다람쥐 등 4종이 포획되었으며, 대조구보다 간벌지에서 더 많은 개체수가 포획되었다. 이 중 등줄쥐와 흰넓적다리붉은쥐의 성비와 연령비를 분석한 결과, 두 종 모두 수컷의 비율은 간벌 3년차 임분에서 가장 높았으며 성숙개체와 미성숙개체의 비율은 임분 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이와 같은 차이는 간벌지와 대조구의 서식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의 간벌은 하층 식생의 발달과 수목잔존물의 증가로 소형 설치류에 더 적합한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간벌 이후 수목잔존물의 존치와 중층 및 하층 식생의 유도를 통한 산림관리는 소형 설치류의 다양성 유지에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간벌강도별 지표연료량에 따른 소나무 화염특성 분석 (An Examination of the Fire Behavior of Pinus densiflora Fuel Beds with Thinning Intensity)

  • 이예은;송재학;임상준;권경남;권춘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3호
    • /
    • pp.308-318
    • /
    • 2024
  • 최근 동시다발화·대형화되고 있는 산불에 대비하기 위해 산불연료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 및 Wildland-Urban Interface Fire Dynamics Simulator(WFDS)를 활용한 지표화 확산모의를 통해 연료관리가 산불위험성 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소나무 낙엽을 대상으로 강원 고성군에 위치한 국립산림과학원 '대형산불방지 소나무 숲 연료관리' 시험지의 현장조사를 통해 대조구, 간벌강도 20%, 간벌강도 40% 구역의 지표연료량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화염높이, 수직온도분포 및 최대열방출량은 간벌강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면서 산불위험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WFDS가 실내실험에 비해 수치가 높게 모의되는 현상이 있었으나, 경향성은 유사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국내 소나무 지표화에 대한 WFDS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숲가꾸기 강도에 따른 산불위험성을 평가하여 산불예방을 위한 연구 기반을 구축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Fuel Management and Experimental Wildfire Effects on Forest Structure, Tree Mortality and Soil Chemistry in Tropical Dry Forests in Ghana

  • Barnes, Victor R;Swaine, Mike D;Pinard, Michelle A;Kyereh, Boateng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3호
    • /
    • pp.172-186
    • /
    • 2017
  •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fuel-reduction treatment in wildfire management has not been tested in dry forests of Ghana. Therefore, the short-term ecological effects of prescribed burning and hand thinning treatments followed by experimental wildfire were investigated in degraded forests and Tectona grandis forest plantations in two forest reserves of different levels of dryness in Ghana.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trees were killed in prescribed burning (average of 41% in degraded forest and 18% in plantations) than hand thinning (7.2% in degraded forests and 8% in plantation). More tree seedlings were also killed in prescribed burning (72%) than hand thinning (47%). The mortality of trees and seedlings were greater in Worobong South forest, a less dry forest reserve than the Afram Headwaters forest, a drier forest reserve. Fuel treatment especially prescribed burning compared to the control reduced wildfire effects on forest canopy particularly in the less dry forest and tree mortality especially in the drier forest. Prescribed burning temporarily increased pH, exchangeable potassium (52%) and available phosphorus (82%) in the surface soils of the entire plots. The two fuel treatment methods did not have much influence on basal area,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Nevertheless, they were able to reduce the adverse wildfire effects on soil pH, exchangeable potassium, available phosphorus,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concentrations. Fuel treatments therefore have potential application in dry forest management in Ghana due to their ability to retain important forest ecological traits after a wildfire incidence.

편백림의 임분밀도 관리 기준 탐색을 통한 시업체계 개선 (Improvement of the Thinning System by Exploring the Stand Density Management Criteria for Chamaecyparis obtusa in South Korea)

  • 정수영;이광수;김현수;박준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1호
    • /
    • pp.131-142
    • /
    • 2024
  • 본 연구는 편백림의 생산목표 달성을 위한 생육단계별 적정 임분밀도관리 기준을 추정하고, 이로부터 솎아베기 적정 시업체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모집된 편백림 216개 표본점을 대상으로 임내 세장목 점유율과 임분밀도 간의 관계특성을 분석하여 임분밀도 관리기준 지표로서 제시된 상대수확량지수는 Ry 0.75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기존 편백 시업체계의 생산목표별 타당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임령 증가에 따른 솎아베기 강도의 불균형과 지위에 따른 생장속도가 반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작성된 생산목표별 솎아베기 시업체계에서, 대경재는 ha당 353본, 498.1 m3・ha-1 수확 가능하였으며, 중경재는 703본・ha-1, 376.2 m3・ha-1, 소경재는 1,758본・ha-1, 249.5 m3・ha-1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작성된 시업체계는 다양한 경영 목표에 따라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는 없으나, 우리나라 편백림의 생장특성을 반영한 임분밀도관리도로부터 획득된 결과로서 실증적 참조 기준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국내산(國內産) 소경재(小徑材) 이용실태조사(利用實態調査) 연구(硏究) -간벌(間伐)의 실태(實態)와 사례분석(事例分析)- (A Study on Actual States of Small Timber Utilization in Korea - Actual State and Analysis for Thinning -)

  • 권오복;한상섭;우종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9권1호
    • /
    • pp.33-43
    • /
    • 1993
  • 우리나라 전체 산림(山林)의 약 67%가 II 영급(齡級)이하의 유령림(幼齡林)이며 흉고직경(胸高直徑) 16cm이하의 간벌(間伐) 소경재(小徑材)를 생산할 수 있는 III 영급(齡級)까지 합산하면 전체 산림(山林)의 90%이상을 차지한다. 그러므로 본연구에서는 간벌재(間伐材)와 소경재(小徑材)가 밀접한 연계성(連繫性)을 가지고 있음을 감안하여 우리나라 간벌재(間伐材) 생산(生産)의 실태분석(實態分析), 문제점(問題點) 및 개선책(改善策), 그리고 건의사항(建議事項)등을 제시해 보았다.

  • PDF

The Preference Analysis for Optimum Density and Understory Vegetation Management in Healing Forests

  • Kang, Jeong Seok;Ju, Jeong Deok;Shin, Chang Seob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81-48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manage healing forests. Field investigation and surveys were conducted to produce results and 313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workers in the forestry sector and ordinary people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t is required to preserve flowering plants, scenic trees, and ecological trees in the understory vegetation, and to remove trees that block the forest landscape, leaving about 50 to 60 percent of the understory vegetation. The preferred density order of broadleaf trees was analyzed as follows: Betula platyphylla > Liriodendron tulipifera > Quercus acutissima. The preferred density order of coniferous trees was analyzed as follows: Abies holophylla > Cryptomerias japonica and Chameacyparis obtusa > Larix kaempferi > Pinus densiflora > Pinus koraiensis. The preferred density in healing forests was 81-89% compared to the number of residual trees for quantitative thinning. Specifically, the preferred density were 87% for P. koraiensis, 86% for L. kaempferi, 81% for P. densiflora, 83% for C. japonica, 84% for C. obtusa and 89% for Q. acutissima. In the case of healing forests, it is recommended to periodically conduct a small-scale thinning with different densities according to the species and diameter of tre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산림시업이 잣나무림의 생장, 토양조공극 및 토양함수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est Practices on the Changes of Characteristics of Forest Stand, Mesopore Ratio and Soil Water Contents in Pinus koraiensis Stands)

  • 전재홍;정용호;최형태;유재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0-27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inning and pruning on characteristics of forest stand, mesopore ratio and soil water content at the Pinus koraiensis stands in Gwangneung, Gyeonggido. The Pinus koraiensis had been planted in 1976 and thinning and pruning were carried out in 1996. A sample area survey was conducted at experimental plots (thinned and unthinned) in 1998 and 2005, and mesopore ratio and soil water content have been monitored from 2000 to present. Average tree height of the thinned plot increased from 10.9m to 13.2m and from 10.3m to 12.8m for the unthinned plot. Average D.B.H of the thinned plot increased from 15.9cm to 21.1cm and from 14.5cm to 16.7cm for the unthinned plot during the period 1998-2005. Crown density at the thinned plot increased from 81.5% to 95.0% and from 89.5% to 95.0% for the unthinned plot during the period 1998-2005. Mesopore ratio (pF2.7) of A layer soil at the thinned plot was 40.1% while that of the unthinned plot was 37.3%. Changes of mesopore ratio at unthinned plot were not associated with stand age, but those at thinned plot had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showing declining of the practice effect. Average soil water content at the thinned plot were 23.7% and 22.4% for the unthinned plot. Soil watercontents at both plots have been increased with increase in stand age. But the difference of soil watercontent at each plot has been decreased, especially at the depth of 10cm.

동적계획법 적용에 의한 삼나무 임분의 간벌시업체계 분석 (Analysis of Optimal Thinning Prescriptions for a Cryptomeria japonica Stand Using Dynamic Programming)

  • 한희;권기범;정혜진;설아라;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649-656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립산림과학원 한남시험림의 삼나무조림지에서 목재 및 탄소 경영을 위한 최적의 간벌시업체계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Paderes and Brodie에 의해 개발된 PATH 알고리즘을 의사결정 지원체계로 그리고 임분생장예측을 위해 권기범 등이 개발한 임분생장모델을 적용하였다. 이 임분생장모델은 개체목간의 거리에 대한 고려가 없이 임목의 고사나 간벌과 같은 임분밀도 조절 요인에 의한 생장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순현재가를 극대화하기 위한 목재생산경영은 탄소흡수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탄소경영에 비해 간벌의 횟수는 적었지만 간벌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나타났다. 탄소경영의 경우 목재생산경영에 비해 탄소흡수량이 약 6% 증가한데 비해 순수익은 약 3.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탄소경영이나 목재생산경영을 위한 집약적 경영은 무간벌 시업조건을 전제로 하는 '무간벌 대조구'의 경우에 비해 약 60% 정도의 탄소흡수 및 순수익 증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