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statistics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23초

Evaluation and validation of stem volume models for Quercus glauca in the subtropical forest of Jeju Island, Korea

  • Seo, Yeon Ok;Lumbres, Roscinto Ian C.;Won, Hyun Kyu;Jung, Sung Cheol;Lee, Young Ji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4호
    • /
    • pp.485-491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stem volume models for the volume estimation of Quercus glauca Thunb. in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Furthermore, this study validated the developed stem volume models using an independent dataset. A total of 167 trees were measured for their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total height and stem volume using non-destructive sampling methods. Eighty percent of the dataset was used for the initial model development while the remaining 20% was used for model validation. The performance of the different models was evaluated using the following fit statistics: standard error of estimate (SEE), mean bias absolute mean deviation (AM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The AMD of the five models from the different DBH classes were determined using the validation dataset. Model 5 (V = aDbHc), which estimates volume using DBH and total height as predicting variables, had the best SEE (0.02745), AMD (0.01538), R2 (0.97603) and RMSE (0.02746). Overall, volume models with two independent variables (DBH and total height) performed better than those with only one (DBH) based on the model evaluation and validation. The model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provide forest managers with accurate estimations for the stem volumes of Quercus glauca in the subtropical forests of Jeju Island, Korea.

Quantification of Carbon Reduction Effects of Domestic Wood Products for Valuation of Public Benefit

  • Chang, Yoon-Seong;Kim, Sejong;Kim, Kwang-Mo;Yeo, Hwanmyeong;Shim, Kug-B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202-210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quantify degree of contribution of harvested wood product (HWP) on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by valuation of public benefits, environmentally and economically. The potential carbon dioxide emission reduction of HWP was estimated by accounting carbon storage effect and substitution effect. Based on 2014 statistics of Korea Forest Service, domestic HWPs were sorted by two categories, such as wood products produced domestically from domestic and imported roundwood. The wood products were divided into seven items; sawnwood, plywood, particle board, fiberboard (MDF), paper (including pulp), biomass (wood pellet) and other products. The carbon stock of wood products and substitution effects during manufacturing process was evaluated by items. Based on the relevant carbon emission factor and life cycle analysis,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emission per unit volume on HWP was quantified. The amounts of carbon stock of HWP produced from domestic and from imported roundwood were 3.8 million $tCO_{2eq}$., and 2.6 million $tCO_{2eq}$., respectively. Also, each reduction of carbon emission by substitution effect of HWP produced from domestic and imported roundwood was 3.1 million $tCO_{2eq}$. and 2.1 million $tCO_{2eq}$.,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 reduction of HWP,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basic data for promotion of wood utilization to revise and establish new wood utilization promotion policy such as 'forest carbon offset scheme', and 'carbon storage labeling system of HWP'.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에 적합한 표본조사 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a Forest Inventory System for the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 신만용;한원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370-377
    • /
    • 2006
  •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에 적합한 표본조사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계통적 추출법, 계통적 집락추출법, 그리고 층화집락추출법을 이용하여 경기도 양평군의 산림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통계검증을 실시하였다. 표본조사 방법은 계통적 집락추출법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계통적 집락추출법을 적용할 경우 집락의 형태와 집락 내의 표본점 간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5가지 집락의 형태와 표본점간의 거리 4가지에 대하여 통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집락의 형태는 삼각형 그리고 집락 내의 표본점 간의 거리는 50m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권역별 입지$\cdot$토양 환경 요인에 의한 임지생산력 추정 (Estimation of forest Site Productivity by Regional Environment and Forest Soil Factors)

  • 원형규;정진현;구교상;송명희;신만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2-14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지위지수 추정식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치 산림입지도에서 추출한 28개 입지환경 인자 중에서 몇 가지 인자만으로 구성된 최적의 조합에 의해 지역별 주요수종에 대한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지위지수 추정식에서 채택된 수종별 입지환경 인자는 $4\~5$개로 소수이지만 추정식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가 0.90 이상으로 높은 추정능력을 보였다 이와 같이 개발된 지역별$\cdot$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에 대하여 권역별로 수집한 수종별 독립자료를 사용하여 모형의 평균 편의, 정도, 표준오차 등의 3가지 평가통계량에 근거한 검증결과 본 연구에서 도출된 지위지수 추정식의 실용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지위지수 추정식의 검증결과를 보면 전반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의 평가통계량은 낮은 것으로 판명되어 실제 적용하는데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역별 주요 수종의 지위지수 추정식은 몇 가지의 입지환경 인자만으로도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수종별 지위지수를 추정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어 앞으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수종별 적지판정과 이를 통한 산림의 경영 및 관리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위지수 추정식과 산림입지도면의 데이터를 이용하면 지위지수 추정의 전산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GIS 기법을 이용한 적지적수 선정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에 수종별 적지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 조제한 지위지수 추정식을 적용하면 보다 정확한 의사결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일부 수종에 대한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였기 때문에 실제 적용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충분한 입지환경 인자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여 다양한 수종에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입지조건에 따른 적지적수 선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협업체(協業體) 운영(運營)에 대한 참여산주(參與山主)들의 인식(認識)과 정책적(政策的) 추진실태(推進實態)에 관한 분석(分析) (An Analysis on The National Project to Promote Management of Private Forest Management Cooperatives : Actual State of Its Management and Cognition of Its Members)

  • 정주상;박은식;김규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487-495
    • /
    • 1996
  • 이 연구는 사유림의 영세성 극복과 경영활성화를 위해 국가정책사업(國家政策事業)으로 추진되고 있는 협업경영사업의 실태를 조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협업체 관련 통계자료, 법규 및 문헌 자료들을 검토 및 분석하고, 협업체 관련 공무원과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면담조사(面談調査)를 실시하였다. 또한 우편설문조사를 통해 협업체에 가입한 산주들의 협업체 운영실태에 대한 인식(認識) 현황(現況)을 조사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참여 산주들의 산림경영현황과 협업경영에 대한 일반적 태도를 중심으로 작성하였다. 조사결과 50% 이상의 응답자들이 임업경영에 대해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대다수 응답자들이 협업체의 협업경영 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지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 협업체 관련 통계자료들을 통해 전국의 협업체 수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협업체의 수적(數的) 증가(增加)는 개별 협업체에 대한 정부지원액의 감소를 야기(惹起)하여 오히려 경영여건을 악화시키고 있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 외에도 기존의 협업경영 관련 법규들중 몇 가지 점들은 개별 협업체들의 발전에 부적합(不適合)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 PDF

산림 바이오매스 변환표와 위성영상을 이용한 무주군의 산림 바이오매스추정 (Estimation of Forest Biomass for Muju County using Biomass Conversion Table and Remote Sensing Data)

  • 정상영;임종수;조현국;정진현;김성호;신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4호
    • /
    • pp.409-416
    • /
    • 2009
  • 위성영상은 대면적의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 및 주제도의 제작에 있어서 효과적인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에서 수집된 야외 표본점의 임분 변수와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산림 바이오매스 변환표를 작성한 후, 무주군의 산림 바이오매스를 추정 및 주제도를 제작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4개의 표본점별 임분 변수와 산림 바이오매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고, 수관밀도, 그리고 영급이 산림 바이오매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산림 바이오매스 변환표 작성을 위해 이들 3가지 임분 변수의 조합을 독립변수로 하는 6개 회귀모형을 사용하여 최적 회귀추정식을 도출한 후, 임상별로 산림 바이오매스 변환표를 작성하였다. 회귀추정식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교차대조법에 의한 추정치 오차와 편차를 산출한 결과, 수관밀도와 수고등급을 독립변수로 하는 추정식(모형 V)이 다른 모형에 비해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모형 V를 이용한 산림 바이오매스 변환표와 위성영상의 분류에 의해 생성된 임분 변수의 주제도를 이용하여 추정된 전라북도 무주군의 총 산림 바이오매스는 약 881만 톤이며, ha당 산림 바이오매스는 128.3톤으로 나타났다.

환경요인에 의한 잣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 개발과 적지 판정 (Development of a Site Index Equation for Pinus koraiensis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and Estimation of Productive Areas for Reforestation)

  • 신만용;정일빈;구교상;원형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7-106
    • /
    • 2006
  • Site index is an essential tool to estimate forest productivity. Generally, a site index equation is developed and us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stand age and dominant tree heights.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use of the site index equation in the application of variable ages, environmental influence, and estimation of site index for the unstocked forest. Therefore, it has been attempted to develop a new site index equation based on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site, climate, and topographical variabl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ite index equ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ite index and environmental factors for the species of Pinus koraiensis in Yangpyung-Gun, Gyunggi Province. The influence of climatic factors (temperature and solar irradiation ratio), topographical factors (elevation, slope, ratio of slope to valley and aspect) and soil profiles (soil depth by layer and soil consistency) on site index were evalua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ve environmental factors were selected in the final site index equation for Pinus koraiensis. The site index equ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lso verified by three evaluation statistics: model's estimation bias, model's precision, and mean square error of measurement. Based on the site index equation, the number of productive areas for Pinus koraiensis were estimated by applying GIS technique to digitized forest maps.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productive areas was compared with the areas of current distribution of Pinus koraiensi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c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and distribution of productive areas for Pinus koraiensis reforestation.

임업 사고 응급대응체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Emergency Medical System for forestry accident)

  • 남기훈;박영수;김광일;조구현;이은재;백승안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665-671
    • /
    • 2019
  • The estimated on-site accident rate in Forestry is relatively high. According to statistics of the accident, in the recent 5 years, from 2014 to 2018, forestry accidents have resulted in 98% of injuries and 87% of fatalities. Especially, there are significant geographical constraints to access to the scene in case of an accident. Even though the capacity of first aid capacity is notably emphasized its importance to minimize the scale of damages, the relevant employees have been educated only basic first aid, which is not considered circumstances or geographic limitations, by Occupation Safety and Health Ac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direction for a forest emergency service system to increase forestry workers' survival and prevent secondary injury through securing 'Golden Time.' This study conducts analyzing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ttings as well as looking at several concerned accident cases. The outcome of analysis presents an issue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onsite first aid in forestry and existing risk factors depending on the working process. Finally, we suggest two ways to improve the forest emergency service that are 1) an appropriate curriculum and kit for forest first aid; and 2) a system for emergency transfer through sharing information between National Fire Agency (NFA)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 center, and emergency and rescue mission using helicopter from NFA and Korea Forest Service.

서울 공공자전거 신규 대여소를 위한 수요량 예측 분석 (Analysis of the Seoul public bikes usage for new rental locations)

  • 김예술;박시온;박건웅
    • 응용통계연구
    • /
    • 제33권6호
    • /
    • pp.739-751
    • /
    • 2020
  • 서울시는 시민의 건강 증진과 이산화탄소 저감을 통한 저탄소 녹색성장 실현을 목표로 2015년부터 2020년 현재까지 공공자전거 대여소를 확장하고 있다. 매년 공공자전거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과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서울시는 수요와 접근성을 모두 고려한 공공자전거 대여소 신규 입지를 확장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공공자전거 대여소 위치는 주변 지형지물에 영향을 받으며, 수요량은 지역적 특성에 영향을 받으므로 이들을 고려한 신규 대여소 입지를 선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자전거의 새로운 입지 선정을 위하여 2019년 서울시 공공자전거 데이터와 지리정보체계, 대중교통, 인구 등의 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신규 대여소 거치가 가능한 장소를 선별하고, 랜덤 포레스트를 이용하여 신규 대여소의 이용량을 예측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평균 경사도, 대중교통과의 거리, 특화 시설과의 거리, 하천과의 거리 등이 자전거 이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소임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결과는 신규 대여소 설치 지역을 결정하는데 객관적인 통계적 지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Spatial Pattern of Larix gmelini in a Spruce-fir Valley Forest of Xiaoxing'an Mountains, China

  • Jin, Guangze;Liu, Liang;Liu, Zhili;Kim, Ji-H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720-725
    • /
    • 2010
  • On the basis of vegetation data in the 9.12 ha (380 m ${\times}$ 240 m) permanent sample plot of the spruce-fir valley forest in Liangshui National Reserve of Xiaoxing'an Mountains,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d spatial association by using point pattern analysis for living and dead trees of Larix gmelini by DBH size class. The number of L. gmelini were counted as 59 living stems/ha (6.42 $m^2$/ha of basal area) and 34 dead stems/ha (2.86 $m^2$/ha of basal area). The distributional curve of diameter class exhibited bimodal shape. The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all living larch stems noted the clumped distribution on the whole. The size of larch aggregates of dead stems was decreased as diameter class was increased. The distribution of dead stems became gradually randomized with decreased clumped size as the scale increased. Living stems and dead stems of the larch had positive spatial association at most of scales, illustrating that the occurrence of mortality of the larch tree was closely related to the distribution pattern of living larch tr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