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inventory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34초

Developing application system of forest information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and GIS

  • Jo, Myung-Hee;Heo, Young-Jin;Kim, Joon-Bum;Kim, In-H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911-913
    • /
    • 2003
  • Recently in order to process forest official task more effectively and scientifically the previous of that which is focused on document and inventory, should be applied with the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Especially, the forest information remote sensing system has to be developed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and GIS. In this study the forest information remote sensing system is implemented to manage forest resource and forest official effectively especially by constructing database of forest environment information and cadastral information, overlaying various thematic maps, and performing spatial analysis using GIS and aerial photograph. For this, the attribute data and spatial data of aerial photograph, digital topography map, forest cadastral map, forest type map, forest use map should be reprocessed and stored in Oracle. Also, the user interface is developed by using Visual Basic 6.0 and MapObjects 2.1 of ESRI based on CBD(Component Based Development).

  • PDF

LULUCF 부문 산림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을 위한 Sampling과 Wall-to-Wall 방법론 비교 (Comparison of Sampling and Wall-to-Wall Methodologies for Reporting the GHG Inventory of the LULUCF Sector in Korea)

  • 박은빈;송철호;함보영;김지원;이종열;최솔이;이우균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85-398
    • /
    • 2018
  • Although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reliable and systematic GHG inventory has increased, the GIS/RS-based national scale LULUCF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sector analysis is insufficient in the context of the Paris Agreement. In this study, the change in $CO_2$ storage of forest land due to land use change is estimated using two GIS/RS methodologies, Sampling and Wall-to-Wall methods, from 2000 to 2010. Particularly, various imagery with sampling data and land cover maps are used for Sampling and Wall-to-Wall methods, respectively. This land use matrix of these methodologies and the national cadastral statistics are classified by six land-use categories (Forest land, Cropland, Grassland, Wetlands, Settlements, and Other land). The difference of area between the result of Sampling methods and the cadastral statistics decreases as the sample plot distance decreases. However, the difference is not significant under a 2 km sample plot. In the 2000s, the Wall-to-Wall method showed similar results to sampling under a 2 km distance except for the Settlement category. With the Wall-to-Wall method, $CO_2$ storage is higher than that of the Sampling method. Accordingly, the Wall-to-Wall method would be more advantageous than the Sampling method in the presence of sufficient spatial data for GHG inventory assessment. These results can contribute to establish an annual report system of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in the LULUCF sector.

Effects of Forest Healing Program on Depression, Stress and Cortisol Changes of Cancer Patients

  • Lee, Mi-Mi;Park, Bong-Ju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45-254
    • /
    • 2020
  • Patients diagnosed with cancer face mental problems such as alienation, isolation, anxiety about death and fear, recovering from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 this study, a forest healing program was provided for cancer patients to recover from psychological stress, depression, social isolation and self-esteem caused by cancer and changes in salivary cortisol through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covery were measured. From September 19 to November 28, 2017, a forest healing program composed of a total of 10 sessions, two hours per session was provided for 12 cancer patients in the Forest of Taegyo located in Yongin. Psychological tests were performed with Social Adaptation Self-evaluation Scale (SASS), Korean-version Perceived Stress Scale (PSS)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8.0. The salivary cortisol level was measured along with the psychological tests and were analyzed by a specialized testing agenc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re- and post-assessment score of SASS was 29.17 and 25.92, respectively, and that the pre- and post-assessment score of PSS was 30.50 and 23.92, respectively. The pre- and post-assessment score of BDI was 41.00 and 34.83, respectively,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the pre- and post-assessment level of saliva cortisol was 3.13 and 1.68, respectively, showing a significant decrease. In short, the forest healing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physiological changes caused by social isolation and stress due to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at the subjects who were diagnosed with cancer and were recovering from it hav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 forest healing program by conducting a forest healing requirement survey on cancer patients.

국가산림자원조사와 장기생태연구 자료를 활용한 산림경관모형의 모수화 및 적용성 평가 (Parameterization and Application of a Forest Landscape Model by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and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Data)

  • 조원희;임원택;김은숙;임종환;고동욱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5-231
    • /
    • 2020
  • 산림경관모형은 산림생태계의 복잡한 구조와 다양한 기능의 동적특성을 연구하는데 적합한 모형으로 평가받는다. 산림경관모형은 경관생태학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그 특성상 넓은 시공간적 규모를 다루기 때문에 새로운 지역에 적용하는데 환경특성, 수종특성 등에 대한 모수화와 검증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산림경관모형 LANDIS-II Biomass succession 익스텐션에 대한 국내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계방산 일대를 대상으로 1) 공간정보 입력자료 제작 및 수종특성 모수화, 2) 모형의 보정, 3) 모형의 적용 및 검증방안을 제시하였다. 모형에 적용한 총 14수종은 국가산림조사(National Forest Inventory; NFI), 장기생태조사자료, 아고산대조사자료 기반의 수종별 중요도를 기반으로 선정하였으며, 공간정보 입력자료는 30m 해상도의 수치표고모형을 기반으로 제작한 생태역 지도와 NFI와 장기생태조사자료 기반의 초기 식생형 지도 등을 제작하였다. 수종별 생장모수(ANPPmax, Maxbiomass)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의 생리실험 문헌자료를 종합하여 선정한 수종별 생리특성 모수(FolN, SLWmax, Halfsat, 생장온도, 내음성 등)를 PnET-II 모형에 적용하여 추정하였다. 모형의 보정과 검증은 모형과 조사자료의 수종별 지상부생물량을 비교하여 산출한 결정계수(R2)와 최소 제곱근 오차(RMSE)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검증결과 0.98의 R2와 8.9의 RMSE의 준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이 연구를 기반으로 한반도의 산림경관 변화를 모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산림관리, 산불, 풍해, 병충해, 기후변화 등 외적요인에 따른 산림경관 변화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한 최저·최고 흉고직경 추정식 개발 (Development of Estimation Equation for Minimum and Maximum DBH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 강진택;임종수;이선정;문가현;고치웅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3권6호
    • /
    • pp.23-33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체 국유림에 대한 경영이력 및 경영계획정보가 구축되어 있는 국유림경영정보시스템이 관련 법령(국유림경영계획 작성 및 운영요령)의 변경에 따라, 개정 전에는 평균 흉고직경값만 입력하도록 구축되어 있으나 개정 후에는 평균 흉고직경, 최저·최고 흉고직경값으로 표기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기 구축되어 있는 모든 흉고직경값을 최저·최고 흉고직경값으로 변환할 수 있는 추정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유림경영정보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12개 주요 수종에 대한 최저·최고 흉고직경을 자동으로 표기할 수 있는 추정식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최저·최고 흉고직경 추정식을 개발하기 위하여 제5~6차(2006~2015년) 국가산림자원조사(National Forest Inventory, NFI)의 6,858개 고정표본점 자료를 이용하였다. 최저·최고 흉고직경 추정식 도출을 위하여 흉고직경, 임령, 수고의 3가지 생장변수를 이용한 흉고직경-임령, 흉고직경-수고의 2가지 추정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장 적합한 최저·최고 흉고직경 추정모형은 흉고직경과 수고 변수를 이용한 추정식 Dmin=a+bD+cH, Dmax=a+bD+cH으로 나타났으며, 12개의 주요 수종의 최소 최대 흉고직경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요가와 명상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성인의 기분상태와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Yoga and Meditation-Focused Forest Healing Programs on Profile of Mood States (POMS) and Stress Response of Adults)

  • 박창은;김동준;박광수;신창섭;김윤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58-666
    • /
    • 2018
  • 본 연구는 요가와 명상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성인의 기분상태와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동의한 성인 17명을 대상으로 강원도 홍천군 소재의 치유의 숲에서 2017년 9월 8일부터 10일까지 2박 3일 동안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단축형 기분상태 척도(K-POMS-B: Korean version of Profile of Mood States-Brief)와 스트레스 반응 척도(Stress Response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프로그램 참가 전과 후의 기분상태와 스트레스 반응 차이를 살펴보았다. 요가와 명상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성인의 기분상태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 결과, 기분상태 총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하위척도 중 활기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긴장, 우울, 분노, 피로, 혼돈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요가와 명상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의 스트레스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반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하위척도 중 공격성을 제외한 긴장, 신체화, 분노, 우울, 피로, 좌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요가와 명상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산림(山林) 프로그램 참여(參與) 경험(經驗)이 우울증(憂鬱症) 수준(水準)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Influence of the Forest Program on Depression Level)

  • 신원섭;오홍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4호
    • /
    • pp.586-595
    • /
    • 1996
  • 본 연구는 5일간의 산림내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참여자의 우울증 수준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우울증은 오늘날 주요 정신 장애중 가장 치료에 노출되지 않는 증상의 하나이다. 오늘날 사회 환경에서 우울증은 대단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왜냐하면 우울증은 그 빈도가 높고 심리적 변화에서부터 생리적 변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는 정신 질환이며 가끔 자살, 사회 경제적 손실 등의 심각한 결말을 초래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500여명의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Beck Depression Inventory(BDI)의 점수에 의하여 선발된 32명의 산림 프로그램 참여자들을 대상자로 선발하였다. 1995년 여름 이들에게 월악산에서 등반, 홀로의 시간, 그룹 토론, 감정 나누기, 상대 안내하기 등의 활동으로 구성된 산림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BDI와 정신과 의사의 상담 및 관찰에 의하여 우울증의 변화가 측정되었다. 자료의 분석 결과 프로그램 참여 이전 이후의 우울증 변화에 있어서 큰 차이를 나타내었고 특히 남자의 경우 큰 폭으로 우울증의 감소가 측정되었다.

  • PDF

Distribution of the Genetic Resource and the Biomass of Root Bark of Ulmaceae Species

  • Park, Dong Jin;Yong, Seong Hyeon;Yang, Woo Hyeong;Seol, Yuwon;Choi, Eunji;Kim, Hyeong Ho;Ahn, Mi-Jeong;Choi, Myung Suk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3권2호
    • /
    • pp.65-75
    • /
    • 2019
  • Stem and root of elm trees have used as traditional medical materials, but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and resources of habitats. Korean native growing Ulmus spp. (U. davidiana var. Japonica, U. parvifolia, U. davidiana, and U. macrocarpa) genetic resources studied through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of Korea data and field survey. The distributions of U. davidiana var. japonica according to elevation distributed evenly. Both U. parvifolia and U. davidiana were inhabited mostly at less than 200 m of altitude. Each Ulmaceae species widely were distributed nationwide, but a dominant species was different depending on locals. It observed that Ulmaceae inhabits mainly in steep slopes of 31-45 degrees. Most of the habitats regenerated by natural seeding and the most abundant species were a codominant tree. Distribution of trees in U davidiana var. japonica was 7 m-13 m, and in young U. parvifolia and U. macrocarpa, more than 25% of young trees less than 7 m observed. The distribution of the diameter of breast height of the U. davidiana var. japonica was 46.4% for 11-20 cm, 52.6% for 11-20 cm in U. parvifolia. The average T/R ratio was 0.83, and the mean weight ratio of root bark was 62%.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omestic Ulmaceae biomassare very small. It is difficult to harvest in that the habitat on the slope. Thus, it is too hard to develop functional materials using biomass at pres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y for the selection and propagation of elite trees of Ulmaceae.

산림 바이오매스 변환표와 위성영상을 이용한 무주군의 산림 바이오매스추정 (Estimation of Forest Biomass for Muju County using Biomass Conversion Table and Remote Sensing Data)

  • 정상영;임종수;조현국;정진현;김성호;신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4호
    • /
    • pp.409-416
    • /
    • 2009
  • 위성영상은 대면적의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 및 주제도의 제작에 있어서 효과적인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에서 수집된 야외 표본점의 임분 변수와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산림 바이오매스 변환표를 작성한 후, 무주군의 산림 바이오매스를 추정 및 주제도를 제작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4개의 표본점별 임분 변수와 산림 바이오매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고, 수관밀도, 그리고 영급이 산림 바이오매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산림 바이오매스 변환표 작성을 위해 이들 3가지 임분 변수의 조합을 독립변수로 하는 6개 회귀모형을 사용하여 최적 회귀추정식을 도출한 후, 임상별로 산림 바이오매스 변환표를 작성하였다. 회귀추정식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교차대조법에 의한 추정치 오차와 편차를 산출한 결과, 수관밀도와 수고등급을 독립변수로 하는 추정식(모형 V)이 다른 모형에 비해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모형 V를 이용한 산림 바이오매스 변환표와 위성영상의 분류에 의해 생성된 임분 변수의 주제도를 이용하여 추정된 전라북도 무주군의 총 산림 바이오매스는 약 881만 톤이며, ha당 산림 바이오매스는 128.3톤으로 나타났다.

Some Peculiarities of Structure and Growth of Larch Stands in Western Mongolia

  • Tsogtbaatar, J.;Battulga, P.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8권2호통권23호
    • /
    • pp.107-107
    • /
    • 2004
  • In this paper we have introduced some results of study on stand growth pattern and stand structure of larch forest which are located in selected forest sites of Khangai and Gobi-Altai mountain ranges of Mongolia. Our investigations showed that growth intensity and stand structure in western Mongolia are very specific from the other forest vegetation zones of Mongolia. Studies on the stand structure and growth trend indicate that tree types of stand structure and different types of growth of Larix sibrica are very common in Western Mongolia. These peculiarities of stand structure and growth of larch stands in Western Monolia could be used for inventory work and an improvement of the forest management in Western Mongolian region. The larch tree is the dominant tree species in Western Mogolia. Forest cover of the region is about 15%, which is two times higher than the country's average. In this region forest area is divided into 4 forest sub-regions: the Central Khangai, Western Khangai, North Eastern Khangai and South Easterun Khangai sub-regions including taiga, pseudo taiga, sub taiga, sub-alpine and forest steppe belts. Silviculture practices and forest research management request to study forest growth trends in local and general conditions, which means to indicate a change of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stand from time to time including diameter, height, basal area, growth stock etc. The forest management practice mostly uses tables of forest growth and yield based on the results of long term research on forest growth. Forest yield tables and other relevant forest standards of Russia are used for the forest inventory and forest management. They are not able to determine forest structure and growth peculiatities of Mongolian forests. Studies on forest resource assessment in Mongolia indicate that after logging operations and forest fires the natural regeneration of desired species such as pine and larch often does not succeed. This situation forces to take a different approach of forest management and silviculture practice depending on the stand structure and growth rate of the forest stands. According to our investigation in last years, forest growth pattern of larch forest depends mostly on stand structure, stand age and growth condition including forest soil, climate and location in different slopes. Due to improve environmental function of forest ecosystem in the region, it is needed to conduct very comprehensive study of high mountain forest ecosystem in selected sub-reg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