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disturbance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6초

Comparative Height Growth and Forest Structure of Fraxinus Spaethiana and Pterocarya Rhoifolia in Natural Reforestation Stands in Steep Valleys of Central Japan

  • Ann, Seoung-Wo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12호
    • /
    • pp.1119-1124
    • /
    • 2006
  • Height-growth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forest structure and compare Pterocarya rhoifolia and Fraxinus spaethiana growth characteristics within and between each species in two P. rhoifolia-dominant and two F. spaethiana established contemporaneously in the sere, species vertical stratification 25 years after stand initiation was such that P. rhoifolia dominated the overstory but F. spaethiana the understory, including that P. rhoifolia grew about 4 times more rapidly Similarly, F. spaethiana dominated the overstory but not the understory, in a stand where it established mainly by itself, 25 years after Initiation. However, comparing the two different stands, P. rhoifolia overstory heights were about two times greater than F. spaethiana. This suggests that in a disturbance regime, forest regeneration is affected by height-growth patterns such that P. rhoifolia's ability to achieverapid height growth allows it to dominate where lights growth allows it to dominate where light resources are continuously abundant.

Diversity of Ectomycorrhizal Fungi of Pinus densiflora Siebold et Zucc. Seedlings in a Disturbed Forest on Mt. Songni

  • Sim, Mi-Yeong;Eom, Ahn-Heum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1호
    • /
    • pp.13-18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ctomycorrhizal (ECM) diversity on Pinus densiflora seedlings in a disturbed pine forest. Pine seedlings less than one year old were collected from disturbed and undisturbed sites in the Mt. Songni region. The belowground ECM fungal communities colonizing P. densiflora seedlings were studied using morphotyping and DNA sequencing. The relative abundance of ECM root tip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ndisturbed sites than in the disturbed sites, and the ECM species diversity was lower in the disturbed sites than in the undisturbed sites. In addition, the ECM community composi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disturbed and undisturbed forest sites.

가야산(伽倻山) 소나무(Pinus densiflora)군락(群落)의 구조(構造) 및 동태(動態) (Structure and Dynamics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Mt. Kaya)

  • 배관호;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260-270
    • /
    • 1996
  • 가야산 일대의 소나무림을 통하여 우리나라 남부내륙에 분포하는 소나무림의 임업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소나무군락의 구조 및 동태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사면중하부에 분포하는 소나무 이차림의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의 각 계층의 높이는 9~15m, 4~10m, 1~4m, 1m이하로 구분되었으며, 능선과 정상부 소나무림의 경우는 9~10m, 2~7m, 1~2m, 1m이하로 구분할 수 있었다. 직경급 분포로 볼 때 소나무 이차림의 경우 사면하부(해발 450m)는 신갈나무, 서어나무, 졸참나무, 까치박달, 물푸레나무로, 사면중부(해발 700~800m)는 신갈나무로 천이가 진행되어 현재의 소나무 이차림은 쇠퇴하여 갈 것으로 예상된다. 능선부와 정상부의 소나무림은 소나무 치묘 및 치수를 가지고 있으므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조사지의 연륜심을 통하여 볼 때 사면중하부에 분포하는 소나무 이차림은 임령이 80~90년이었으며, 수령 72~80년 무렵에 standing dead형의 소나무 고사목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었다. 가야산의 소나무림 교란 체세는 standing dead, uprooting, limbfall로 구분되고 이는 각각 70.6%, 7.6%, 11.8%이었다. 능선과 정상부의 소나무 전생수(前生樹)(advance growth)는 수령 100~110년의 상층수관에 이르기까지 standing dead형의 교란 기회를 2번 정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장축방향의 연륜생장에 있어 사면중하부의 소나무는 2.45~2.9mm/year, 능선과 정상부는 1.75mm/year이었다.

  • PDF

2차산불피해저감기술개발을 위한 강원도 산불지토양 중 Fe-Mn원소의 분포특성 (Properties of the Variation of Fe and Mn in the Vicinity of Soil Affected by Forest Fire for the Development of Technics that Reduces Forest Fire-induced 2nd Damage from Gangwon Provinces, Korea)

  • 오근창;양동윤;김주영;남욱현;윤정한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3호
    • /
    • pp.285-297
    • /
    • 2002
  • 본 연구는 물리화학적 분석을 토대로 산불지 토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의 특성을 파악하려 하였으며, 산불지 2차피해저감기법의 개발에 획득한 결과를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강릉시와 동해시에 소재한 임야이며, 산불발생시기는 2000년 12월경이다. 토양시료는 산불발생후 약 1년이 지난 2001년 11월에 산불지와 비산불지, 표토와 심토를 대상으로 구분하여 채취하였다. 산불지 표토 (0-5 cm)중의 pH는 비교지에 비하여 높은 특성을 보였으며, 심토 (5-40 cm)중의 pH는 비교지에 비하여 낮은 특성을 보였다. 토성분류 결과, 산불로 소실된 초목류의 잔류물이 산불지 토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지질적 특성에 따라서도 토성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기물함량은 산불지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예외적으로 탄질셰일이 많이 분포하는 산불지에서는 비교지에 비하여 유기물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풍화지수는 산불지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산불지 표토의 유실과 관련이 있다. Fe(Fe$^{2+}$ or Fe$^{3+}$ )이온은 강우나 강설등에 의하여 산불지 표토로부터 쉽게 용탈되는 반면에 Mn이온은 콜로이드의 물리화학적 흡착작용에 의하여 산불지 토양 중에 그대로 잔류하는 특성을 확인하였다. 연속추출법을 통하여 산불지에서 Fe이온의 용탈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Mn이온의 용출특성이 교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요인분석결과에서도 산불로 인하여 인자들간의 수반특성이 교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산지역의 환경보전을 위한 식물생태계의 기초연구 (Basic Studies on the Plant Ecosystem for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Masan District)

  • 이경재;이명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9-94
    • /
    • 1985
  • 이상과 같이하여 식물생태계분석기법을 실제 마산지역에 적용하여 보았다. 이 분석결과 및 이를 통한 환경보존지침을 요약해 보면 아래와 같다. 1) 주식생군집의 유형 마산지역의 식생은 주로 대상식생으로서 크게 10개의 군집으로 구분되는데 주요 군집은 곰솔군집, 곰솔-상수리군집, 상수리-갈참군집이다. 이 중에서 곰솔-상수리군집이 전체면적의 29.2%로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2) 종구성의 다양도/유사도 식물군의 종다양도는 상수리-갈참군집, 상수리-곰솔군집과 같이 활엽수림위주의 수림이 높았으며 유사도는 곰솔과 곰솔위주 혼효림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3) 천이계열상 특성 곰솔군은 토지적 준극상림의 안정된 상해로 적극적 보호가 요구되나 토양상태가 좋은 곳에는 활엽수종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곰솔-상수리군집은 상층 침엽수 불량목을 제거하고 활엽수에 의해 보식이 요망된다. 상수리-갈참군집은 천이계열상 전진적 양상을 보이므로 인간에 의한 간섭을 배제해야 한다. 4) 식생자연도 2차림, 자연도 7에 해당되는 지역이 52.8%로 가장 많인 분포되어 있으며 레크레이션적 도시림으로 적극적 보호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5) 식물현존량 및 생산량 고산식물현존량은 160,470.95ton으로 1인당 녹지량은 0.40ton이며 생산량은 32,920.64 ton으로 1인당 0.082ton이다. 이 식물생산량에 의한 $O_2$방출량은 34,396 ton/yr 로서 마산지역 전체인구 호흡량의 33.5% 수준 밖에 안되므로 적극적 녹지의 확보는 물론 순생산량을 높이는데 힘써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와같은 기초적연구가 극히 미미하여 실제 합리적인 자연환경보존정책의 수립이 곤란하다. 따라서 서울등을 비롯한 대도시는 물로 전국을 대상으로 이러한 기초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시계열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 기반 자연적 임분동태 변화에 따른 소나무림의 감소 특성 평가 (Analysis of Changes in Pine Forests According to Natural Forest Dynamics Using Time-series NFI Data)

  • 김은숙;정종빈;박신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1호
    • /
    • pp.40-50
    • /
    • 2024
  • 소나무림 산림생태계의 자연적 임분 동태 변화 과정에 따라 참나무류 등 활엽수와의 경쟁에 밀려 분포 면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소나무림의 자연적 쇠퇴가 가시화되면서 소나무가 우리 국민들에게 제공해왔던 다양한 가치들이 함께 소멸될 위험에 처해 있으며, 지역별 소나무 쇠퇴 진행 상황에 따라 미래 산림관리 방향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연적 임분 동태 변화에 따른 소나무림 변화 특성을 이해하고, 미래 소나무림의 지역별 변화를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시계열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 기반 전국 소나무림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소나무림의 변화 경향을 분석하고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지형, 임분, 교란, 기후)들을 평가하였다. 또한 유효변수들을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하고 미래의 소나무림의 미래 변화 모습을 예측했다. 그 결과, 과거 10년 동안 전국 산림에서 소나무류의 중요치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소나무류가 대표수종인 표본점이 10년 후에도 대표수종이 유지된 비율은 75%, 나머지 25%는 혼효림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수분 조건이 좋으며 임분 내·외부의 교란 요인이 많은 지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10년 후의 소나무림 변화를 전망한 결과, 전국적으로 현재 기준 소나무림 순림의 약 14.2%가 자연적인 임분 동태 변화에 따라 혼효림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지역적으로 보면 소나무림 변화율은 제주와 경기가 42.8%, 26.9%로 가장 높았고 경북과 강원이 8.8%, 13.8%로 가장 낮았다. 경기, 충청, 전남 지역 등 한반도 서쪽 지역에 있는 소나무림의 감소 위험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자연적 임분동태 변화에 따른 소나무림 변화 민감도 평가 결과는 전국 소나무림의 종합적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한국 소나무림에서의 교란 후 재생과정 (Regeneration Process after Disturbance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 Korea)

  • Lee, Chang-Seo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1호
    • /
    • pp.189-201
    • /
    • 1995
  • In order to clarify regeneration processes and mechanisms of the disturbed Pinus densiflora forest, responses of Pinus densiflora to gap formed by disturbance were analysed by growth of saplings and mature and growth equations were obtained from branch growth of mature trees and height growth of saplings, and age distribution of saplings and young trees recruited within gap was analysed in relation to gap age. Height growth of saplings within gaps was accelerated after gap formation. Such abrupt increases of growth of saplings after the gap formation might be resulted in the difference of growth of saplings between gap and non-gap areas. In fact, height and diameter of saplings in the central part of gap were larger than those of saplings in marginal parts of gap and non-gap area. However, density of saplings was not different in both parts. In addition, growth of annual rings of mature trees bordering on gap also increased after gap formation. Branch growth of mature trees bodering on gap was 6.3 - 6.5 cm /year and the mean radius of gaps created by death of only one canopy tree was about 3 m. Therefore, for those gaps to be closed by branch growth it will take 46 years. Growth of saplings within gap showed exponential equation. Fifty years will be required for the saplings to enter the forest canopy by the exponential growth equation. Therefore, gap created by only one tree might be closed by branch growth of surrounding canopy trees in advance of being done by height growth of saplings. But gaps created by death of trees more than 2 will be closed by the growth of saplings. Among the regenerating saplings and young trees within gaps, individuals established in advance of gap formation were more than those established after the gap formation. From these results, it was assumed that the disturbed Pinus densiflora forests in these sites were regenerated by height growth of saplings recruited in advance of gap formation.

  • PDF

강원도 산지계류 내 유목의 기원과 현존량 (Origin and Storage of Large Woody Debris in a Third-order Mountain Stream Network, Gangwon-do, Korea)

  • 김석우;전근우;서정일;임영협;남수연;장수진;김용석;이재욱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9-258
    • /
    • 2020
  • 이 연구는 강원도 산림유역 내 수계(총 11개 계류)를 대상으로 유목의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유목의 발생기원 추적과 함께 하천차수별 현존량과 분포형태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산림유역관리기술의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총 1,207개 유목의 개체목 형태를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1) 수간만 있는 것 1,142개(95%) 및 수간과 근주가 함께 있는 것 65개(5%), (2) 자연목 1,015개(84%) 및 벌채목 192개(16%), (3) 침엽수 1,050개(87%) 및 활엽수 157개(13%)로 나타났다. 유목의 현존량(㎥/ha)은 1차수 105.4, 2차수 71.3 및 3차수 35.6으로 하류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반면 유목의 총량에 대한 유목군의 비율은 1차수 11%, 2차수 43% 및 3차수 49%로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이 연구에서 조사된 유목의 현존량을 해외의 선행연구와 비교하면, 비록 각 국가·지역별로 기후·지형·산림토양·임분의 구조와 생장량·산림의 교란정도와 관리상태가 다르지만, 유목의 현존량은 임령과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유목을 산림생태계의 산물이자 산지수변림 교란의 지표로서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토대로 앞으로는 산림유역의 생태계뿐만 아니라 하류의 수계환경까지 고려하여 숲가꾸기 산물의 처리나 수변지역의 임분밀도관리 등을 포함한 산림관리기술이 정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불이 난 산림에서의 개미군집: 회복과정과 복원방법 (Ant Assemblages in a Burned Forest in South Korea: Recovery Process and Restoration Method)

  • 권태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27-333
    • /
    • 2015
  • 산불 후에 일어나는 개미군집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산불이 난 산림에서 자연적으로 식생복원이 이루어진 곳, 인위적으로 조림한 곳, 산불이 나지 않은 곳의 3개 조사지에서 2005년부터 8년간 함정트랩으로 개미를 조사하였다. 모두 24종이 채집되었고 스미스개미(Nylanderia flavipes)가 가장 풍부하였다. 산림을 선호하는 개미종(예, 일본장다리개미, 민냄새개미, 노랑잘록개미)들은 산불이 나지 않은 조사지와 자연적으로 식생이 복원되는 조사지에서 많이 발생한 반면, 개활지를 선호하는 종(예, 곰개미, 일본왕개미, 주름개미)들은 인위적으로 조림된 곳에서 많이 나타났다. 다변량분석 결과는 인위적으로 조림된 곳이 자연적으로 식생이 복원된 곳 보다 개미군집이 산불 후에 더 많이 달라지는 것을 보여준다. 자연 복원된 조사지에서는 개미군집이 산불이 난 5-6년후에 산불 이전으로 회복되는 데 비해, 인공복원된 조사지에서는 회복에 약 25년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Forest regrowth reduces richness and abundance of invasive alien plant species in community managed Shorea robusta forests of central Nepal

  • Khaniya, Laxmi;Shrestha, Bharat Bab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2호
    • /
    • pp.90-97
    • /
    • 2020
  • Background: Natural forests are generally considered to be less prone to biological invasions than other modified ecosystems, particularly when canopy cover is high. Few decades of management of degraded forests by local communities in Nepal has increased canopy cover and altered disturbance regimes. These changes might have reduced the abundance of invasive alien plant species (IAPS) in forest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IAPS in such forests, we studied two community managed Shorea robusta forests (Sundari and Dhusheri) of Nawalpur district in central Nepal. In these two forests, vegetation sampling was done using circular plots 10 m radius at forest edge, gaps, and within canopy. Variation of IAPS richness and cover across these microhabitats were compared, and their variation with tree canopy cover and basal area analyzed. Result: Altogether 14 IAPS were recorded in the study forests; among them Chromolaena odorata, Ageratum houstonianum, and Lantana camara had the highest frequency. Mikania micrantha was at the early stage of colonization in Sundari Community Forest (CF) but absent in Dhuseri CF. Both IAPS cover and richness was higher at forest edge and gap than in canopy plots and both these attributes declined with increasing canopy cover and tree basal area.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increase in canopy cover and closure of forest gaps through participatory management of degraded forests can prevent plant invasions and suppress the growth of previously established IAPS in Shorea robusta forests of Nepal. This is the unacknowledged benefit of participatory forest management in Nep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