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oreign language materials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7초

코퍼스를 활용한 한국 사회 10년 비건 패션, 뷰티 변화 분석 (Ten-Year Change in Vegan Fashion and Beauty Industries in Korean Society -A Corpus Analysis-)

  • 강소미;장하연;장주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625-645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newspaper articles from 2012 to the first quarter of 2021 to explore how interest in and response to veganism have evolved in the fashion and beauty industries over the past decade. By analyzing keywords and word correlations, we discovered a steady increase in veganism-related articles in both English- and Korean-language newspapers published in Korea, especially since 2019. Since 2012, consumer interest in vegan fashion materials has grown, with fashion and beauty emerging in 2018 as significant vegan-related keywords. As a result, brands have adopted vegan certification systems and introduced vegan product lines, and new vegan brands have emerged. Since 2020, companies have been promotin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management practices and working toward eco-management that reflects vegan trends in all areas, such as cruelty-free product/packaging materials, brands, policies, and services. It is also notable that fashion/beauty consumers have been more actively starting to adopt eco-friendly lifestyles and participate in vegan-related movements since that time. Our findings offer important insights into the evolution of veganism in Korea and can help researchers and industry practitioners to develop future business strategies in the vegan fashion and beauty industries.

Pop Song을 이용한 고등학생의 영어 청취력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Using Pop Songs)

  • 신상민
    • 영어어문교육
    • /
    • 제1호
    • /
    • pp.109-127
    • /
    • 1995
  • Due to frequent international exchanges, there has been much emphasis on communication proficiency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However, when we look back upon teaching English in Korea over past years, we find that English teaching has been dominated mainly by Grammar-Translation Method, which makes teachers and students pay little attention to listening skill that is regarded as the basis of communication proficiency. Recently many English teachers have shown their interest in listening skill, so they come to use the textbook record tapes to improve listening skill. But listening training by textbook record tapes seems to make students feel bored.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ective way of improving listening skill by means of Pop Songs that the students are indulged in. The processes of this study consist of three stages : 1) listening to songs, 2) explanation about structures and vocabularies in songs, 3) filling in blanks while listen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freshmen 88 students in girls' High School They are grouped into two : one is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ontrol group. Among the subjects, the former have been taught by the lesson plan using pop songs, while the latter by the lesson plan using textbook record tapes. The experiment lasts about 9 months (from March to November, l994) The data for analyzing the study results have been collected from two kinds of tests : one is listening test and the other comprehensive test. The hypothesises of this study areas follows : 1) Depending on hearing materials (experimental material vs traditional material),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scores of listening skills between EG (experimental group) and CG (control group), 2) Depending on the interest on pop songs,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scores of hearing skills in CG, 3) Depending on hearing material.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scores of overall English skills between EG and CG, 4) Improvement in listening skill will give influence on the overall English scor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op songs are effective to improve students' listening skill, that students' interest in the hearing material is important, and that listening skill is closely related to other skills, especially reading skill. It can be concluded that English teachers should make efforts to find the suitable listening materials which will help students to improve their listening proficiency effectively.

  • PDF

뮤지컬 <스웨그 에이지: 외쳐, 조선!>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연구 (The Study on Korean Culture Education through The Musical )

  • 강주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71-86
    • /
    • 2021
  • 본 연구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문화 수업에서 뮤지컬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그 의의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어 교육은 의사 소통 능력 신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언어 지식뿐 아니라 사회적 배경 및 맥락의 이해를 돕는 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연구자는 그동안 한국어 교육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뮤지컬 콘텐츠를 활용하여 한국어 문화 수업을 구성하였다. 뮤지컬은 뚜렷한 서사 구조와 음악을 중심으로 화려한 볼거리를 제공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매력적인 문화콘텐츠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다루는 뮤지컬 <스웨그 에이지: 외쳐 조선!>은 현재 사회에서도 유효한 문제의식을 지녔으며 작품의 주인공들이 부르는 '시조(時調)'는 한국 문학 수업 자료로도 활용가능하여 다양한 문화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교육적 자료라 여겨진다. 연구자는 위와 같은 특성을 바탕으로 한국 뮤지컬<스웨그 에이지: 외쳐 조선!>을 활용하여 '시조'를 교수하는 문화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업은 중급 이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4차시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각 차시는 '뮤지컬 작품의 전체적인 내용 이해하기(1차시)', '한국 시조에 대해 학습하기(2차시)', '자신의 이야기를 시조로 쓰기(3차시)', '창작한 시조 작품 발표하기(4차시)'로 진행된다. 본 문화 수업은 시조를 소극적으로 학습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시조의 의미를 내재화하고 창작하며 적극적인 향유로까지 영역이 확장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더불어 그동안 한국어 문화 수업에서 주로 다루어졌던 영화, 드라마, 연극, 대중가요 등을 넘어 뮤지컬이라는 공연 장르를 더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교육은 물론 폭넓은 한국의 대중문화를 소개하고 경험하게 하는 고무적인 수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외국어학습능률 개선방안을 위한 학습자료 선별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 Learning material Screening system for improving foreign language learning efficiency)

  • 이재일;한정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87-92
    • /
    • 2017
  • 본 논문은 오늘날의 외국어 학습환경의 변화에 따른 학습환경 개선 방안에 대한 실효성 있는 학습 시스템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현대 사회가 제공하는 다양한 외국어학습정보들 중에서 학습자 개인에게 특화된 학습정보와 콘텐츠만을 검색 및 추출하여 사용자 맞춤형 정보의 제공으로 학습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제안 시스템은 클라우드 기반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학습정보를 제공하여 외국어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활용성을 증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안 시스템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의 다양한 학습정보 및 콘텐츠를 수집하여 클라우드에 저장하여 시공간적인 제약사항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 수준, 관심사 등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최적의 학습정보를 제공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학습정보검색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수준에 맞는 학습정보만을 제공받음으로 인해서 학습의 효율성이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

전문대학(專門大學) 전기.전자분야(電氣.電子分野) 전공교과(專攻敎科)의 컨텐츠 체제(體制) 개발(開發) 방향(方向) (The Development of Contents Systems on Major Course Materials for Technical College in Electric-Electronic Field)

  • 김선태;노태천;김춘길
    • 공학교육연구
    • /
    • 제5권2호
    • /
    • pp.22-35
    • /
    • 200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n outline for developing the Contents Systems that achieve self-study systems to make the students adopt themselves into new study atmosphere and maximize the result of study on technical college in Electric-Electronic field. Questionnaire posed to analyze the demand of teaching materials to the students, and professors and also to fi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technical college. The SPSSWIN/PC+ statistics Package was used to assay the collected answers. And simple frequency with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check the entire trend and actual state of each question. The primary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 The students in the technical college prefer self-directed learning to lecturer-oriented teaching. ii) It is difficult to offer the technical college students normal education systems since the students?interest and motivation towards study are very low. iii) The lack of capability of foreign language and basic mathematics are considered as obstacles for many students technical college to study. iv) The professors in technical college still depend on traditional method to teach the students without organized research of the intellectual levels and attitude the students. v) Teaching materials in currently use are not appropriated to induce the motivation and interest of study from the students. Also, the teaching materials in use now were discovered not to have enough originality, practical application, andwere text based.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the existing teaching materials was demanded while the fundamental ability to study of general students is declining.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new teaching materials which are simple, easy, and organized to offer the studen ts study desire and interest.

한국어 작문과 영어 작문에 대한 개념 비교 -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Views on Korean and English Writing: Focusing on Bicultural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 조수경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2호
    • /
    • pp.97-121
    • /
    • 2018
  • 미국에서 한국 이민자들의 수가 계속적으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문해력 발달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Cole, Maddox, Lim, & Notari-Syverson, 2002; Scarcellar & Chin, 1993; Shin, 1994; Skilton-Sylvester, 2001; Yu, 1994). 또한 이러한 연구들 조차 한국어 문해력과 영어 문해력 사이의 뗄 수 없는 관계에 주목 하는 경우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인의 한국어 작문과 영어 작문에 대한 인식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이들의 다언어간 문해력 발달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연령대의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모국어와 영어 작문을 어떻게 배웠는가에 대해 면담을 진행하였다. 특히 어떤 기관과 사람들, 그리고 어떤 동기로 작문을 배웠는가에 집중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피실험자들은 각각 한국적 상황에서 터득한 작문에 대한 개념을 미국적 상황에 맞추어 재정립하는 과정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다언어간 작문에 대한 연구는 학습자들이 작문에 대해 부여하는 가치와 개념을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교육자들은 문해력 발달이라고 하는 것이 인생 전반에 걸쳐져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겠다.

데크놀로지 활용수업에서 경험적 인식과 수학적 사고에 관한 연구 - 중학교 3학년 기하 단원을 중심으로 (A Study of Mathematical Thinking and Experimental Recognition in using of Technology - Focused on Unit of Geometry at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

  • 정인철;김택수;황운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207-219
    • /
    • 2007
  • 수학에서 중요한 부분인 증명을 학생들은 어려워한다. 증명을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대수적 시각화 자료와 특수화된 시각화 자료를 만들어 지도하였다. 그러나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대수적 시각화 자료의 표현상 오류에 의하여, 학생들이 경험적 인식을 가지지 못하여 경험적 정당화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특수화된 시각화 자료는 고정된 경우에만 성립하기 때문에 수학적 사고의 확장을 제한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자체 제작한 중학교 3학년 기하단원의 기하적 시각화 자료와 일반화된 시각화 자료를 통해 학생들에게 경험적 인식을 심어주어 경험적 정당화를 시켰으며, 수학적 사고의 향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컴퓨터 시각화 자료가 고등학생들의 수열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the Effect of Computer's Visual Data about Understanding Concept of Sequence with High School Student)

  • 정인철;황운구;김택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91-111
    • /
    • 2007
  • 본 연구는 컴퓨터를 활용하여 동적이며 직관적인 시각화 자료를 활용하여 실험에 참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열 개념에 대해서 수열의 합 공식에 대해 귀납 추론으로 공식을 학생 스스로가 추론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학생들은 스스로가 수열의 합 공식을 사용하지 않고 귀납 추론으로 공식을 유도할 수 있음을 보았다. 또한 무한급수에서의 무한의 오개념인 잠재적 무한의 개념을 가진 학생들이 본 실험 자료로 학습을 하였을 때에 무한의 올바른 개념인 실 무한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지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는데 실험에 참가한 실험 학생들은 잠재적 무한 개념을 가지고 있었고 동적이고 직관적인 시각화 자료를 가지고 수업 후 실 무한의 개념으로의 변화가 있었다. 이들 학생들은 또한 컴퓨터를 활용하여 동적이고 직관적인 시각화 자료에 대해서 매우 흥미를 느꼈고, 수학에 대한 태도에도 영향을 주었다.

  • PDF

컬렉션코드를 활용한 어린이도서관 청구기호 간략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implifying Call Numbers with Collection Codes at Children's Libraries)

  • 정연경;이미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3-38
    • /
    • 2009
  •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보다 편리하게 도서관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어린이도서관의 컬렉션코드 및 청구기호 간략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대표적인 공공도서관에서 사용하는 분류체계 및 저자기호표, 분류기호의 확장전개 수준, 컬렉션 구성과 컬렉션별 청구기호 조합 방식을 설문 및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해외 어린이도서관에서는 소설, 그림책, 전기 등과 같이 어린이의 이용이 많은 자료를 중심으로 별도의 컬렉션을 구성하고, 분류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컬렉션에 맞게 컬렉션코드와 저자의 성으로 간략하게 청구기호를 부여하였다. 국내 도서관에서도 컬렉션코드를 활용하였으나 다양하지 않고, 각 컬렉션 내에서 한국십진분류표를 이용해 배열하였다.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도서관을 위한 컬렉션의 종류를 비소설, 소설, 소설/미스터리, 소설/공상과학, 그림책, 만화, 언어별, 옛이야기, 전기, 신화, 개념책, 명절, 수상작, 공룡, 곤충, 만들기, 탈것, 큰책, 팝업책, 그림연극, 보드책, 참고, 잡지, 시리즈, 새 책, 비디오, 오디오로 제안하였고, 여기에 연령구분표를 첨가하여 컬렉션의 추가적인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소설의 경우 하위 컬렉션으로 장르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청구기호도 컬렉션 코드를 활용하여 간략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중국어 I'과 SAT의 'Chinese with Listening' 비교 - 체제와 문항을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ies of systems and questions between Chinese I in the Korea National Scholastic Aptitude Test and Chinese with Listening in the SAT)

  • 박찬욱
    • 비교문화연구
    • /
    • 제23권
    • /
    • pp.351-382
    • /
    • 2011
  • This paper aims to compare systems and questions between Chinese I in the Korea National Scholastic Aptitude Test(abbreviated by KNSAT) and Chinese with Listening in the SAT. In the beginning, we compared KNSAT and SAT, and then focused our attention on Chinese I in KNSAT and Chinese with Listening in SAT in terms of assessment purposes, sections, ranges, questions. Through the research,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ly, compared KNSAT with SAT, it is found that Chinese I is less important in KNSAT than Chinese with Listening in SAT. Chinese I belongs to one of the second foreign languages section, and it is placed under common rule of its section. However, Chinese with Listening is similar to Chinese I in that it also belongs to one of the languages section, but it keeps under its control, so it has its own system e.g. purpose, range etc.. Next, compared Chinese I with Chinese with Listening, in the matter of purposes of them, Chinese I is less explicit and less concrete to explain it than Chinese with Listening, and in respect of sections of them, the sections of Chinese I are leaning more toward language materials contrary to Chinese with Listening leaning more toward language functions. And in terms of ranges of them, Chinese I is limited to Basic vocabulary and Examples of communicative function in curriculum of Chinese I, but Chinese with Listening has not any limit on the ranges of questions. Lastly, with regard to questions of them, Chinese I has more tendency toward assessing knowledge of Chinese, on the contrary, Chinese with Listening has more tendency toward assessing performance of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