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ign bee-hone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K/Na Ratio를 이용한 토종꿀과 양봉꿀의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Attributes of Korean Native-Bee Honey and Foreign-Bee Honey by K/Na Ratio)

  • 김은선;이종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72-679
    • /
    • 1996
  • 토종꿀파 양봉꿀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고 벌꿀에 함유되 어 있는 무기성분 중 K/Na ratio를 이용하여 토종꿀의 판별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벌꿀의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 본 결과, 토종꿀과 양봉꿀의 일반성분 중에서 가장 차이가 두드러진 항목이 회분과 조 단백질이었는데 토종꿀의 함량은 평균 0.31% 및 0.28%, 양봉꿀의 평균 함량은 0.11%및 0.13%로서 토종꿀이 휠씬 높게 나타났다. 벌꿀 중의 proline과 diastase activity는 토종꿀이 평균 13.6mg%, 31.7unit, 양봉꿀은 평균 16.4mg%, 17.0unit로서 proline 함랑은 양봉꿀이 높았으며, diastase activity는 토종꿀이 더 높았다. 무기성분은 토종꿀이 양봉꿀에 비해 월등히 많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이 었는데, 주요 무기성 분은 Ca, Mg, Na, K, Cl 등으로 토종꿀에서는 K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반면 양봉꿀에서는 Cl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 분석하였던 무기성분 중 K와 Na의 조성비를 이용하였더니 토종꿀과 양봉꿀의 특성이 분명하게 구분되었다. 토종꿀의 K/Na ratio는 실험 에 사용하였던 6점 모두 10 이상으로 나타난 반면 양봉꿀은 3점 모두 1.5 이하로 나타나 토종꿀을 판별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로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경북 죽장지역 토종꿀의 고품질화를 위한 특성 비교 (Preliminary Quality Analysis between Native Bee Honeys Produced from JukJang Area)

  • 이현진;박철홍;손형우;남동윤;이시림;박경화;허진철;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07-310
    • /
    • 2010
  • 화분의 수와 종류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내며 K/Na 비율이 3.9-27.9 배로 토종꿀에서 증가한 반면, Fe, Zn, Al은 토종꿀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토종꿀과 양봉꿀은 각각의 구성성분에 있어서 미시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토종꿀 특이적인 단백질의 전기영동적인 판별과 동시에 본 연구에서 확인한 화분의 종류, K/Na ratio, 및 Fe, Zn, Al의 검출여부 등으로 판별을 확증할 수 있으리라 기대되며 이와 같은 예비적인 특성 비교는 지역의 토종꿀의 고품질화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강원도산 잡화벌꿀의 유기산 및 지방산 특성에 관한 연구 (Organic Acids and Fatty Acids of Honey Harvested in Kangwon Area)

  • 김복남;김택제;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2-58
    • /
    • 1991
  •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the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nd fatty acids in native bee-honey and foreign bee-honey harvested in Kangwon area were studied with the emphasis on the honey which was collected form wild flowers nd mixed flowers sources for honey nectars. the major organic acids were considered as acetic acid formic acid and valeric acid in volatile acids and gluconic acid maleic acid malic acid quinic acid and citric acid in non-volatile fraction in both of native bee-honey and foreigr bee-honey. Some naturally occuring fatty acids({{{{ { C}_14{ } }}}}-{{{{ {C }_{20 } }}}}) were observed with the principal fatty acids of myristic aicd linolenic acid and palmitic acid and palmitic acid in the various honey, The characteristics of moisture content pH viscosity free acidity lactone and total acidity were also analyzed and discussed.

  • PDF

단백질 전기영동을 이용한 토종꿀의 판별 (Discrimination of Native Bee-Honey and Foreign Bee-Honey by SDS-PAGE)

  • 이득찬;이상영;차상훈;최용순;이해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
    • /
    • 1998
  • 꿀의 식품학적 특성만으로는 토종과 양봉꿀의 판별이 불가능하므로 꿀 속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특성으로 판별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꿀 속의 단백질을 Bradford방법을 이용하여 정량한 결과 토종꿀은 $0.1{\sim}3.3\;mg/g$이었고 양봉꿀은 $0.2{\sim}1.6\;mg/g$으로 토종꿀이 양봉꿀의 단백질함량보다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단백질 전기영동방법을 이용하여 수집한 벌꿀의 단백질 pattern을 관찰해 본 결과 토종꿀과 양봉꿀의 주요 단백질의 분자량이 각각 56,000 Da과 59,000 Da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집한 모든 토종꿀과 양봉꿀에서 같은 결과를 나타내어 이들 단백질이 토종벌과 양봉벌의 생리적 차이에 의해서 나타나는 결과로 판단되었다. 또한 이 주요 단백질을 두 단계의 chromatography를 통해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주요 단백질은 토종꿀과 양봉꿀을 구별할 수 있는 SDS-PAGE의 marker로 이용할 수 있었다. 그리고 꿀의 주요 단백질을 잘 분리하기 위해서는 10%의 gel농도가 가장 적합하였으며 이 방법을 이용하여 토종꿀과 양봉꿀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구별할 수 있었다.

  • PDF

강원도산 토종꿀의 식품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Native-Bee Honey Harvested in Kangwon-area)

  • 이득찬;이상영;차상훈;최용순;이해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082-1088
    • /
    • 1997
  • 토종꿀과 양봉꿀의 판별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강원도 내의 8개 지역 및 지리산에서 생산되는 토종꿀과 강원도 춘천에서 생산한 양봉꿀 및 외국산 꿀을 다량 수집하여 수분함량과 당조성, pH, HMF함량, 그리고 화분수 분포를 조사하였다. 벌꿀의 수분함량은 토종꿀이 $16.4{\sim}23.0%$이었고, 양봉꿀이 $15.8{\sim}21.0%$로 나타났다. 당조성 분석결과 벌꿀에 함유된 당은 fructose, glucose, maltose, isomaltose 등으로 나타났다. pH는 토종꿀이 $3.3{\sim}4.2$, 양봉꿀은 $3.2{\sim}4.1$로 모두 산성으로 나타났으며 토종꿀과 양봉꿀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HMF함량 분석 결과 토종꿀의 HMF함량은 $0.0{\sim}20.4\;mg/kg$이었고 양봉꿀의 HMF 함량은 $0.0{\sim}85.8\;mg/kg$로 저장상태와 저장기간에 따라 HMF의 생성이 가속화되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화분수 분포는 토종꿀이 $0.4{\sim}88.3{\times}10^4/g$로 나타났고 양봉꿀은 $0.0{\sim}0.4{\times}10^4/g$로 화분수 분포 차이는 뚜렷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당조성이나 pH, HMF함량 등으로 토종꿀과 양봉꿀을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이 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