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casting models

검색결과 1,008건 처리시간 0.033초

통신 서비스 확산모형

  • 신창훈;박석지
    • ETRI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39-52
    • /
    • 1988
  • 통신서비스의 확산을 예측하기 위한 확산모형을 제시하였다. Bass모형을 기본으로 하여 가격과 소득을 고려한 확장된 확산모형을 제시하였고, 이 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화의 확산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 PDF

전국 장래 승용차 보유대수 추정에 관한 연구

  • 원제무;홍성표;유정복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18
    • /
    • 1989
  • Understanding the future level of car ownership is essential in order to formulate various transportation policies. Despite its importance, however, a revies of literature indicates that previous studies treated car ownership as a linear function of income, GNP, degree of urbanization and etc. more detaild and accurate models of car ownership should be possible if information on major variables determining car ownership can be gathered. In this paper, three approaches have been chosen to develop mathematical models to predict future increase in car ownership in Korea. The three methords developed are : income distribution methords ; multiple regression models ; forecasting curves.

  • PDF

COMPARATIVE ANALYSIS ON MACHINE LEARNING MODELS FOR PREDICTING KOSPI200 INDEX RETURNS

  • Gu, Bonsang;Song, Joonhyu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B:순수및응용수학
    • /
    • 제24권4호
    • /
    • pp.211-226
    • /
    • 2017
  • In this paper, machine learning models employed in various fields are discussed and applied to KOSPI200 stock index return forecasting. The results of hyperparameter analysis of the machine learning models are also reported and practical methods for each model are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upport Vector Machine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showed a better performance than k-Nearest Neighbor and Random Forest.

장기 기후 변동성을 고려한 인공신경망 앙상블 모형 적용: 한강 유역 댐 유입량 예측을 중심으로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Ensemble Model Considering Long-term Climate Variability: Case Study of Dam Inflow Forecasting in Han-River Basin)

  • 김태림;주경원;조완희;허준행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spc호
    • /
    • pp.61-68
    • /
    • 2019
  • 최근 장기적인 기후 변동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대기-해양 순환 패턴을 수치화한 기상인자가 수문 변수 예측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정확하고 안정적인 예측을 위해 인공신경망 기반의 예측 모형이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기상인자를 활용하여 기후 변동성을 고려한 수문량 예측은 수자원 및 환경 보존의 장기적인 관리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수문 변수에 유의한 인자의 파악과 이를 활용한 예측 모형의 적용은 꾸준한 도전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한강 유역 댐 유입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대표 기상인자를 선정하고, 이를 인공신경망 앙상블 모형에 적용하여 댐 유입량 예측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앙상블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활용하여 댐 유입량과 기상인자간의 통계적 상관성을 확인하였으며, 기존 단일 인공신경망 모형의 한계를 보완한 인공신경망 앙상블 모형을 구축하였다. 예측 수행 결과, 5개 댐 상관계수 평균이 훈련 기간에서 0.88, 검증 기간에서 0.68의 예측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에서의 절차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다양한 수문 변수와 기후 변동성간의 관계를 활용한 다양한 적용 사례가 나오길 기대한다.

유류화물 항만물동량 예측모형 개발 연구 (An introduction of new time series forecasting model for oil cargo volume)

  • 김정은;오진호;우수한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1-98
    • /
    • 2018
  •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은 무역을 주축으로 하고 있어 항만을 통한 물류가 필수적이다. 항만의 운영과 개발을 위해 막대한 자본과 시간이 투자되고 있으며 항만은 국가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사회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선 적정수준의 개발계획이 중요하다. 항만시설 계획은 항만 물동량 예측을 기반으로 수립되므로, 정확한 물동량 예측이 선행되어야 한다. 더불어 항만에서는 품목별로 취급 방식이 다르므로 품목별 예측이 이루어져야 구체적인 시설계획이 가능하다. 따라서 컨테이너 화물이나 항만 전체 물동량에 대해 주로 예측했던 선행 연구들과는 달리 본 논문에서는 전체 물동량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유류화물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단기, 중장기의 주기적 특성과 추세를 갖고 있는 유류화물 물동량을 효율적으로 예측하고자 새로운 예측모형인 TSMR을 개발하였다. TSMR모형의 검증을 위해 기존의 시계열 모형들과 비교분석을 진행하였으며 ARIMA모형의 경우 물동량 데이터가 안정화되지 않아 유효한 결과를 산출할 수 없었다. 윈터스 가법, 단순계절모형과 비교하였을 때 단기적인 예측에는 다소 취약하였으나, TSMR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와 예측력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철강, 유연탄, 기계류의 물동량 분석결과 TSMR모형의 일반화 가능성도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자료 공간내삽과 작물 생육모의기법에 의한 전국의 읍면 단위 쌀 생산량 예측 (Yield and Production Forecasting of Paddy Rice at a Sub-county Scale Resolution by Using Crop Simulation and Weather Interpolation Techniques)

  • 윤진일;조경숙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7-43
    • /
    • 2001
  • Crop status monitoring and yield prediction at higher spatial resolution is a valuable tool in various decision making processes including agricultural policy making by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A prototype crop forecasting system was developed to project the size of rice crop across geographic areas nationwide, based on daily weather pattern. The system consists of crop models and the input data for 1,455 cultivation zone units (the smallest administrative unit of local government in South Korea called "Myun") making up the coterminous South Korea. CERES-rice, a rice crop growth simulation model, was tuned to have genetic characteristics pertinent to domestic cultivars. Daily maximum/minimum temperature, solar radiation, and precipitation surface on 1km by 1km grid spacing were prepared by a spatial interpolation of 63 point observations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network. Spatial mean weather data were derived for each Myun and transformed to the model input format. Soi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information at each Myun were available from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e system was applied to the forecasting of national rice production for the recent 3 years (1997 to 1999). The model was run with the past weather data as of September 15 each year, which is about a month earlier than the actual harvest date. Simulated yields of 1,455 Myuns were grouped into 162 counties by acreage-weighted summation to enable the validation, since the official production statistics from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is on the county basis. Forecast yields were less sensitive to the changes in annual climate than the reported yields and there was a relatively weak correlation between the forecast and the reported yields. However, the projected size of rice crop at each county, which was obtained by multiplication of the mean yield with the acreage, was close to the reported production with the $r^2$ values higher than 0.97 in all three yea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