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service knowledge level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5초

위탁급식업체 조리종사자의 위생교육과 위생지식 및 위생관리수행도 간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Sanitary Education, Sanitary Knowledge and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of Cooks in Contracted Foodservices: Focusing on Busan & Gyeongnam Region)

  • 성태종;최선경;김기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5-119
    • /
    • 2014
  • 본 연구는 위탁급식업체의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위생교육 횟수, 위생교육의 필요성, 위생교육의 만족도, 위생교육의 이해도, 위생교육의 적용도가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이 위생관리수행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부산, 경남지역에 위치한 공장, 대학교, 병원, 오피스, 관공서 등의 위탁급식업체 31개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10월 1일부터 2012년 10월 15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총 320부를 배포하였고, 302(94.3%)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부실 기재된 13부를 제외한 289부(90.3%)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조리종사자들이 지각하는 위생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질수록, 위생교육에 대한 만족수준이 높아질수록, 위생교육에 대한 적용도가 높아질수록 위생지식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위생교육에 대한 만족수준이 위생지식을 향상시키는데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리종사자들의 위생지식 수준이 향상될수록 그들의 위생관리수행도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학교급식 학부모 식재료 검수 및 모니터링 활동에 대한 실태조사 (The Survey of Materials Receiving and Monitoring of Parents in Primary School Food Service)

  • 김명희;윤경옥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13-321
    • /
    • 2007
  • The study examined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parents who should receive the food materials and monitor the food service, and would provided the basic data for more desirable school feeding system.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participation level in materials receiving and food service monitoring, condition of equipment, knowledge about materials and the opinions about monitoring education. 160 monitors out of Daejeon primary schools were used and 60% of them were in the age of thirties and the others were in forties. Equipment condition for material receiving was good and most of the monitors were familiar with the ways of using the machines. Difficulties of material receiving were found in meat(65.6%) and sea food(21.9%), and the ratios of activities 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monitoring education were high with 25.0% and 72.5% respectively. Most of the monitors thought sanitary conditions of food materials(100.0%) and delivery persons(96.9%) were very good or good. And 90% of the respondents changed their perception of school food service positive after monitoring. In conclusion, most of the parents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monitoring and material receiving actively and showed great willingness to receive monitoring education.

  • PDF

서울지역 초등학교와 중학교 급식 종사자들의 위생관리 및 위생교육 실태 평가 (The Sanitary Performance and Sanitary Educ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in the Seoul Area)

  • 홍완수;임정미;최영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2-262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anitary performance and educ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by administering questionnaires to 358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and 171 middle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analysis and $X^2$ tests using the SPSS package program. On the questionnaire, items pertaining to personal hygiene, ingredient control, process control, safety management, and sanitation education were used to measure sanitary performance, with a maximum possible rating of 5 per each categor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had the following sanitary performances scores: personal hygiene(4.75), ingredient control(4.82), process control(4.73), safety management(4.69) and sanitation education(4.29). Middle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had the following performance ratings: personal hygiene(4.62), ingredient control(4.71), process control(4.71), safety management(4.61) and sanitation education(4.05). In the elementary school employees, 59.8% received regular sanitation education once per month, while 67.3% of middle school employees received regular sanitation education more than once per month. At the elementary schools, food service sanitation education was conducted verbally(39.4%), while middle school sanitation education was principally carried out through the distribution of leaflets(41.5%). The average effectiveness scores for food service verbal education were 2.97 out of a possible 5 at the elementary schools and 2.94 out of 5 at the middle schools.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majority of the employees attributed the low level of sanitation knowledge in food service to a lack of facilities and equipment.

대구.경북지역 학교급식 식재료 납품업체 생산직원의 위생관리 실태조사 (A Survey of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of School Food Ingredients Manufacturing Company Worker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 김윤화;이연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74-282
    • /
    • 2011
  • 본 연구는 학교급식 식재료의 위생관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식재료 생산 가공업체의 생산직원 221명을 대상으로 위생지식을 조사하고, 위생관리 수행수준, 위생관리 현황을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생산직원의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평균은 4.63/5.0점으로 높은 편이었으나, 위생 지식수준은 4.63/9.0점으로 낮았다. HACCP 인증업체 직원의 위생교육 횟수, 만족도, 위생관리 태도 등이 비인증업체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5), HACCP 비인증업체에서의 시설설비에 대한 관리가 요구되었다. 또한 위생관리 수행영역에서 작업대와 작업장의 매일 청소 및 철저한 소독, 냉장고와 냉동실의 청결유지, 작업장의 온도확인, 작업 중 교차오염 방지, 작업 중 작업도구의 철저한 소독, 작업장 출입 시 신발소독 및 에어샤워, 작업복의 매일 세척의 항목은 HACCP 비인 증업체에서 유의하게 잘 지켜지지 않아 위생교육 및 평상시 작업관리 시 철저한 관리가 요구되는 항목이었다. 생산직원들이 학교급식 식재료를 생산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은 위생관리와 납품시간 맞추기였고, 위생교육의 불만족한 이유는 일방적인 강의 때문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생산 가공업체 에서는 교육대상자의 요구에 맞추어 위생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일방적인 강의형식의 교육보다는 활동자료나 교육매체를 활용한 보다 능동적이고 흥미로운 위생교육을 실시하여 교육효과를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식품 위해 요소 중점 관리 기준에 대한 서울 지역 사업체 급식 관리자의 위생관리평가 (Assessment on HACCP Recognition & Sanitary Management of the Industry Foodservice Manager in Seoul)

  • 이헌옥;심재영;김영경;조민호;최호순;엄애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42-548
    • /
    • 2001
  • 본 연구는 식품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예방체계인 HACCP 개념에 대한 교육 및 이해 정도를 조사하고, 위생 관리 현황을 평가함으로써 실제 급식소에서의 HACCP 적용 정도를 파악하고자 2001년 5월 서울 시내 사업체 급식 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조사 대상자 중 89.3%는 HACCP 교육을 받았으나 10.7%는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받은 시기는 입사 전 48.6%, 입사 후 51.4%를 나타냈다. HACCP에 대한 이해 정도에서 잘 이해한다가 40.9%, 반 정도 이해한다가 47.8%, 잘 이해하지 못한다가 10.0%로 조사되었다. 2. HACCP에 준한 위생 관리 수행 상태에서 온도-소요시간/기타사항, 개인위생 및 기기 설비 위생은 각각 3.91, 4.02, 4.33점으로 온도-소요시간/기타사항에 대한 위생 관리 수행 상태가 가장 낮았으며, 온도-소요시간/기타사항에 있어서 각 단계별 위생 관리 수행 상태는 원재료 저장> 조리> 전처리 후 저장> 급식> 전처리, 급식 전 보관>후처리> 구매 및 검수의 순이었다. 3. 급식관리자의 HACCP 교육의 유무, 교육받은 시기 및 이해 정도에 따른 위생 관리 수행 상태에서 HACCP 교육을 받은 경우와 HACCP을 잘 이해하고 있는 급식관리자의 위생 관리 수행 점수가 유의적으로(P<0.01) 높았으며, 입사 후에 HACCP 교육을 받은 경우 또한 입사 전에 교육을 받은 급식관리자에 비해 위생 관리 수행 점수가 유의적으로(p<0.01) 높았다. 4. HACCP 교육에 따른 HACCP의 이해 정도에서, HACCP 교육을 받은 급식관리자는 HACCP를 잘 이해한다 44.7%, 반 정도 이해한다 47.5%, 잘 이해하지 못한다. 7.6%로 HACCP 교육을 받지 않은 급식관리자의 각각 25.0%, 50.0%, 25.0%와 비교해 유의적인(p<0.05) 차이를 보였다. 5. HACCP 교육을 받은 경우는 HACCP에 대한 이해 정도와 유의적인(p<0.05)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HACCP에 대한 이해 정도와 수행 정도도 유의적으로(p<0.01)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현재 우리 나라의 사업체 급식에 있어서 HACCP 제도에 관한 교육과 홍보가 많이 이루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더욱 더 확실한 위생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급식관리자가 쉽게 이해하고 적용시킬 수 있는 다양하고 효과적인 교육 내용의 개발과 실시 방법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실무와 함께 하는 정기적이고 반복적인 교육, 훈련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가 사업체 급식관리자의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 기준에 대한 인지도 및 위생관리 수행평가의 전반적인 면을 대표할 수 없는 연구의 제한점을 가지고는 있으나 이 연구를 기초로 앞으로 더욱더 체계적인 연구들이 실시되리라 기대한다.

  • PDF

제 2형 당뇨 환자의 저혈당지수 영양교육이 혈당관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 Glycemic Index Nutrition Education on the Blood Glucose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 김미자;권순자;이선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1호
    • /
    • pp.46-56
    • /
    • 2010
  • This study was intended to assess the effects of low glycemic index (LGI) nutrition education on dietary management and glycemic control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subjects were 48 sex-matched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ged $66.5\;{\pm}\;6.2$ years, visiting a public health center.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 group (males 10, females 14) and the educated group (males 10, females 14). The educated group was provided with a LGI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7 weeks. The control group was educated only one time for general diabetic education. Anthropometric indices, knowledge and perception of efficacy of low glycemic index carbohydrates, dietary glycemic index (DGI) and glycemic load (DGL), fasting blood glucose, and HbA1c were assessed. In the educated group body weight, body mass index and systolic blood pressure (from $138.0\;{\pm}\;18.9\;mmHg$ to $130.6\;{\pm}\;15.0\;mmHg$)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p < 0.05). The scores of knowledge and perception of efficacy of low glycemic index carbohydrat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ducated group. Dietary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of the educated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03.4\;{\pm}\;67.6$ to $45.4\;{\pm}\;27.1$ (p < 0.001), and from $173.3\;{\pm}\;135.9$ to $66.8\;{\pm}\;50.4$ (p < 0.001), respectively. Also fasting blood glucose and HbA1c levels of the educated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24.5\;{\pm}\;28.8\;mg/dL$ to $96.7\;{\pm}\;21.6\;mg/dL$ (p < 0.001) and from $7.1\;{\pm}\;1.3%$ to $6.4\;{\pm}\;1.2%$ (p < 0.05), respectively. The score of knowledge and perception of efficacy of low glycemic index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asting blood glucose and HbA1c levels negatively. DGI, DGL and duration of diabete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bA1c level positively. From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DGI, DGL and the duration of diabetes were extracted as factors influencing HbA1c level of the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ow glycemic index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asure for the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ic patients.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위생교육 프로그램이 영유아 보육교사의 배식위생 수행도 및 영유아 급식소 배식환경 개선에 미치는 효과 -대전 동구, 중구 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on Sanitation Status at Centers for Children's Food Service Management - Focusing on Jung-gu and Dong-gu regions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

  • 서유진;전민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47-459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improvement of teachers' sanitation performance and food distribution environment at Centers for children's food service management after a sanitation education program. Methods: The subjects were 119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registered in the Daejeon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in Dongu and Jung-gu, Daejeon. The sanitation education was provided three times from March to August in 2014, and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he sanitation status of food service environment of the centers was examined by ATP(adenosine-5'-triphosphate) bioluminescence. Results: After the sanitation education, the teachers showed higher levels of sanitation knowledge. Also, sanitation performance and recognition level of the importance of it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The mean variation score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after the education were 0.14 and 0.23. According to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results of 26 sanitation attributes about the food service environment, the selection attributes with relatively low performance and importance were mostly distributed in the children's and distributer's personal hygiene management area. However, all attributes except using a personal water bottle and cup were moved to high performance and importance level. Also, the ATP examin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sanitation status of the food service environment was improve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Conclusions: The sanitation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sanitation and its performance with regard to food service management.

제주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에 대한 인식도 및 영양교육 운영 실태 조사 (Perception on food allergy labelling and management of nutritional education among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 area)

  • 이윤경;김현희;고양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6호
    • /
    • pp.530-54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6개 초등학교를 임의 선정하여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1,500명을 대상으로 2014년 7월 설문조사를 실시, 최종 1,000부를 분석하여 식품알레르기 유병률을 알아보고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지식정도, 학교급식 서비스를 이용하는 학생들의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에 대한 인식도와 그에 따른 학교급식의 대체식 운영현황 및 영양교육의 관리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는 남학생 49.6%, 여학생 44.2%이었고, 4학년 28.4%, 5학년 27.5%, 6학년 44.1% 이었다.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적이 있는 학생이 16.7%이며, 여학생이 19.2%, 남학생이 14.1%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학생이 유의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의사진단을 받은 학생은 26.4%로 나타났다. 2) 식품알레르기의 증상으로는 두드러기, 가려움, 구토, 설사, 호흡곤란 순으로 나타났으며, 알레르기 유발 식품으로는 우유, 게, 새우, 땅콩, 밀과 계란, 대두, 메밀과 돼지고기, 복숭아, 토마토, 아황산염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3) 식품알레르기 지식 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고, 학년별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지식점수 또한 유의적으로 높아짐을 관찰하였다. 식품알레르기와 관련 있는 영양소에 대한 지식 정답률만이 식품알레르기 경험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전체적인 식품알레르기 지식점수는 식품알레르기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 인식도의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2.25점으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성별과 학년 그리고 식품알레르기 경험유무에 따른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에 대한 인식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5) 성별과 학년에 따른 식습관 평균점수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식품알레르기 경험 유무에 따라서는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학생의 식습관 점수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6) 식품알레르기 유발 학생들에 대한 학교급식의 관리실태 결과, 20.4%의 학생이 대체식을 제공받고 있었으며, 대체식으로 제공받은 음식으로는 김, 계란후라이, 멸치볶음, 두부 등 조사되었다. 7) 조사대상자 중 30.8%만이 식품알레르기 관련 영양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으며, 교육방법으로는 가정통신문과 학교홈페이지 등과 같은 간접적인 방법을 통한 교육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과 학부모 및 담임교사 등으로 대상을 확대하여 학교차원에서의 보다 체계적이고 세심한 식품알레르기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며, 학교급식의 식품알레르기 유병학생을 대상으로 성장기에 필요한 영양소들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대체식의 개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경북지역 초등학교 영양(교)사의 학교급식 HACCP 시스템 수행 수준 및 장애요인 인식 (Dieticians' Perceived Performance Level and Obstructive Factors of HACCP System among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in Gyeongbuk Province)

  • 양지혜;성봄이;김미화;정현숙;차명화;류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774-1784
    • /
    • 2014
  • 학교급식소의 HACCP 시스템 적용에 대한 수행 수준과 장애요인 인식을 조사하여 학교급식 HACCP 시스템의 보다 효율적인 적용과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급식 유형과 급식 운영 형태는 농 어촌형 60.8%, 자체조리 64.3%, 식당배식이 91.6%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HACCP 시스템 수행 수준은 조리종사원 대상 HACCP에 근거한 교육 실시가 4.0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HACCP팀 회의 개최 및 회의록 작성 비치가 2.74로 가장 낮았다. 학교급식 CCP의 수행 수준 인식은 전체 4.20으로 비교적 잘 수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CP 1: 식단의 작성이 3.90으로 가장 낮았고, CCP 4: 냉장 냉동고 온도관리 4.44, CP 5: 생채소 과일 세척 및 소독은 4.44로 높게 조사되었다. 학교 일반사항에 따른 수행 수준에서는 도시형이 농 어촌형에 비해 총 급식인원수가 많을수록 수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HACCP 시스템 장애요인 인식에서 '전반적인 장애요인'과 '조리종사원의 HACCP 수행', '학교 팀장 및 예산지원부서의 협력'이 대부분 3.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교)사의 HACCP 수행'은 2.81로 가장 낮았다. 시설 설비 부족 4.00, 교육청의 예산지원 미비 3.90, 납품업체의 HACCP 시스템에 대한 이해부족 3.72 순으로 높은 장애요인으로 인식되었다. 학교급식 HACCP 시스템의 성공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영양(교)사 및 조리종사원에 대한 교육, 훈련을 통한 동기부여가 가장 중요하게 해결되어야 할 요소이며, 학교 당국의 행정적 지원과 교육청의 예산 확보를 통한 위생 전담 인력지원도 하루빨리 해결해야 할 요소이다. 또한 표준위생작업절차 등의 선행요건을 개발하여 HACCP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다문화가정 맞춤형 영양교육 프로그램과 운영시스템 개선을 위한 질적 연구 : 프로그램 제공자 측면 (Qualitative Study on Improvement of Operating System and Tailor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s to Korea: Program Providers' Perspective)

  • 조미영;황지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23-335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for improvement. Methods: In-depth interviews of a total of 21 multicultural experts were conducted; 15 people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while 6 people were interviewed in groups of three. Results: In-depth interviews revealed various problem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The causes of problem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as four factors: systemic, pract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s for the systematic factors, insufficient linkage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and duplicate performance of several projects were identified as concerns Establishment of a control tower and strengthening the linkage among the related organizations may be needed to address this concern. With regard to practical factors, the study identified that language barriers, and lack of nutritional education media and tools translated into multicultural languages were limiting factors. These limitations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that aretranslated into multiple languages, implementation of education program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Korean education, and by providing interpreters. As for the environmental factors, low educational level and poor nutritional knowledge of multicultural women made it difficult for them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Demonstration, practical training and urgent education on pregnancy and childbirth nutrition were identified as needs to address these concerns. Withregard to cultural factors, food culture conflict with Korean families, and difficulties in home practices were detected as concerns. Participants in the study suggested that getting education with family and facilitation of weekend and nighttime programs health of this community. Conclusion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adopt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nutrition intervention to promote the healthy eating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based on the study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