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vehicle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32초

백부자-대체 가능 한약재의 계종버섯에 대한 급성독성시험과 안전성등급화 (Acute toxicity test and safety classification for Termitomyces albuminosus containing pharmacologically similar ingredient of Aconitum koreanum)

  • 안민지;박영철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3-38
    • /
    • 2017
  • Objectives : Termitomyces albuminosus (Berk.) Heim is one of the famous wild edible mushrooms in the southern part of China. It is known that Termitomyces albuminosus, like Aconitum koreanum used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contains a kind of cerebroside, termitomycesphin, causing a pharmacologic effect on the neuron system. The pharmacologic effect of Termitomyces albuminosus can be used to possibly replace Aconitum koreanum. However, It needs to be certified as safe before it can be used. Here, a single-oral toxicity test and safety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to obtain acute information of the toxicity of dried-Termitomyces albuminosus powder and to secure its safety in clinical applications. Methods : In order to calculate approximate lethal dose(ALD), test substance was orally administered to male and female SD-rat at dose levels of 5,000 and 0 (vehicle control) mg/kg (body weigh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toxicity, also the estimation of safety classification was calculated using the HED-based (human equivalent dose) MOS (margin of safety). Results : There were no mortalities, test substances treatment-related clinical signs, no changes in the body or organ weights, and no gross or histopathological findings at 14 days after treatment with test substance. Thus, the approximate lethal dose of dried-Termitomyces albuminosus powder was considered over 5,000 mg/kg in both female and male mice. Conclusions : Based on the limit dose, 5000 mg/kg, it was estimated that dried-Termitomyces albuminosus powder is classified as "Specified class B" indicating that clinical dose is not limited to patients as safe as food.

Subchronic Toxicity of a Combined Preparation of Ticlopidine and Giekgo Biloba Extract Orally Administered to Rats for 30 Days

  • Kim, Sung Y.;Yim, Hye K.;Yoon, Mi Y.;Kim, Sang K.;Lee, Ja Y.;Oh, Soo J.;Kim, Hye S.;Kang, Sung A.;Kim, Young C.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547-555
    • /
    • 1998
  • The subchronic toxicity of a combined preparation of ticlopidine and ginkgo biloba extract (EGb 761) mixed in a ratio of 10: 4 was examined in male and female Sprague-Dawley rats. Rats were treated with the test substance at a dose of 52 mg/kg, 156 mg/kg, or 467 mg/kg intragastrically for 30 consecutive days. Control rats were treated with vehicle only. Each group consisted of 10 rats. No death or abnormal clinical signs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administration period. A transient decrease in body weight gain and food intake was observed in the rats treated with the high dose (467 mg/kg), which was recovered to normal in a week. There were no drug-related differences in urinalysis and hematological results. A significant increase in serum total cholesterol and total protein was observed in both sexes of the rats treated with a dose of 467 mg/kg daily, but all the other values obtained in serum chemistry appeared to be within normal range. A dose dependent increase in liver weight was observed in both male and female rats. Relative kidney weight was also increased in the high dose groups. There was no gross pathological finding at terminal sacrifice. Microscopic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did not show any lesion in terms of correlation with administration of the test substance. The results suggest that under the conditions employed in this study no observable effect level (NOEL) of the test substance be 52 mg/kg/day.

  • PDF

Improving Field Crop Classification Accuracy Using GLCM and SVM with UAV-Acquired Images

  • Seung-Hwan Go;Jong-Hwa Park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93-101
    • /
    • 2024
  • Accurate field crop classification is essential for various agricultural applications, yet existing methods face challenges due to diverse crop types and complex field conditions. This study aimed to address these issues by combining support vector machine (SVM) models with multi-seasonal unmanned aerial vehicle (UAV) images, texture information extracted from 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 (GLCM), and RGB spectral data. Twelve high-resolution UAV image captures spanned March-October 2021, while field surveys on three dates provided ground truth data. We focused on data from August (-A), September (-S), and October (-O) images and trained four support vector classifier (SVC) models (SVC-A, SVC-S, SVC-O, SVC-AS) using visual bands and eight GLCM features. Farm map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proved efficient for open-field crop identification and served as a reference for accuracy comparison. Our analysis showcased the significant impact of hyperparameter tuning (C and gamma) on SVM model performance, requiring careful optimization for each scenario. Importantly, we identified models exhibiting distinct high-accuracy zones, with SVC-O trained on October data achieving the highest overall and individual crop classification accuracy. This success likely stems from its ability to capture distinct texture information from mature crops.Incorporating GLCM features proved highly effective for all models,significantly boosting classification accuracy.Among these features, homogeneity, entropy, and correlation consistently demonstrated the most impactful contribution. However, balancing accuracy with computational efficiency and feature selection remains crucial for practical application. Performance analysis revealed that SVC-O achieved exceptional results in overall and individual crop classification, while soybeans and rice were consistently classified well by all models. Challenges were encountered with cabbage due to its early growth stage and low field cover density. The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utilizing farm maps and GLCM features in conjunction with SVM models for accurate field crop classification. Careful parameter tuning and model selection based on specific scenarios are key for optimizing performance in real-world applications.

목초액 (거성 Y.L.S-95)의 유전독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enetic Toxicity of Guh Sung Y.L.S.-95)

  • 이수용;이광용;윤호권;정은정;김연수;이혜영;이병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7-112
    • /
    • 2006
  • Guh Sung Y.L.S-95 (GS95)는 초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목초액으로 본 연구에서는 GS95의 유전독성을 국립독성연구원의 표준작업지침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 TA1535, TA1537, TA98, TA100을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시험에서 GS95는 최고농도 $5,000{\mu}g/plate$까지 돌연변이 집락수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키지 않았다.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를 이용한 염색체이상 시험에서 GS95는 1.25-5mg/mL의 농도범위까지 음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ICR mouse를 이용한 소핵시험에서 GS95는 최고농도 5,000mg/kg까지에서 소핵을 가진 다염성적혈구의 출현율이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라 GS95는 상용량에서 유전독성을 유발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만성 및 급성 염증 모델에서 강황추출물의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urmeric (Curcuma longa L.) Extract on Acute and Chronic Inflammation Models)

  • ;;;;정은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12-61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강황 유래의 curcuminoids가 없는 다당체를 이용하여 급성 및 만성 염증 모델에서의 항염증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급성염증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carrageenan에 의한 족부종 유발과 xylene에 의한 귀부종 유발을 일으킨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Carrageenan에 의한 족부종 유발 실험에서 강황추출물과 관절염 치료제로 알려진 diclofenac sodium을 처리하였을 때는 부종의 증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leq}0.05$). 또한 다른 급성염증 모델인 xylene application 마우스 모델에서도 대조군에 비하여 diclofenac sodium과 강황추출물(31.5, 63, 126 mg/kg)을 농도별로 경구투여 하였을 때 염증 억제율이 각각 78.13%, 68.75%, 62.50% 및 59.38%로 나타나 염증 억제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leq}0.05$). 만성염증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cotton pellet 육아종 실험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삼출물과 염증 육아종이 적게 발생된 것으로 나타났다($P{\leq}0.05$). 따라서 강황 유래의 다당체를 경구투여 하였을 때 만성 및 급성 염증에 대한 저해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항염증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황정 추출물의 지방질 및 에너지 대사 관련 유전자에 대한 효능 연구 (Effects of Polygonatum sibiricum rhizome extract on lipid and energy metabolism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 전우진;김지영;오익훈;이도섭;손서연;서윤지;연승우;강재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92-202
    • /
    • 2017
  • 황정 주정 추출물 ID1216의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의 체중 증가 억제 효과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확인하고자 단백질과 mRNA 수준에서 지질 및 에너지 대사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지표들 간의 상호 작용 및 ID1216의 조절 여부에 관해 Fig. 10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ID1216은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 체중 증가 억제를 나타내었으며, 비만 대사 관련 pathway의 상위 유전자로 사료되는 SIRT1과 AMPK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화된 SIRT1과 AMPK는 $PGC1{\alpha}$의 활성화에 관여하고, 이를 통해 열 발산 대사와 관련된 UCP 단백질과 핵 수용체 단백질인 $PPAR{\alpha}$의 발현이 백색지방, 갈색지방, 간 및 근육에서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각 조직 별로 RT-PCR을 진행한 결과에서는 $PPAR{\alpha}$의 하위 유전자인 aP2, ACO, Acadl, Acadm, CPT1a, CPT1b의 mRNA 발현 수준을 향상시켜 주어 ID1216이 지방산 산화 대사인 ${\beta}$-oxidation의 활성화에 기여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와는 별개로 ID1216은 중성지질을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ATGL의 mRNA 발현 또한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ID1216이 조직에 따라 지질 및 에너지 대사와 관련된 인자의 발현에 영향을 주는 체중 조절에 효과적인 소재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만 치료제와의 기전적 차별성과 생약 특유의 섭취 안전성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조절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도 충분히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황정 에탄올 추출물의 비만 조절 유전자에 대한 효과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Polygonatum sibiricum rhizome on obesity-related genes)

  • 전우진;이도섭;손서연;서윤지;연승우;강재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84-391
    • /
    • 2016
  • 선행연구(12,13)에 따르면 10주간 ID1216을 투여한 비만 마우스에서 체중과 체지방이 감소하였고 이는 SIRT1-$PGC1{\alpha}$의 발현을 조절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SIRT1-PGC1{\alpha}-PPAR{\alpha}$의 하위 기전인 UCPs, ACO, aP2의 발현 조절에 ID1216이 영향을 미쳐 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추가로 확인한 것에 의미가 있다. 또한 10주간 ID1216을 투여한 비만 마우스의 혈액 분석 결과에서도 혈중 중성지방, LDL, HDL total cholesterol등의 혈중 지방질 수치가 개선됨과 동시에 free fatty acid의 농도는 감소하였는데 이는 ID1216이 HSL과 같은 지방질분해효소의 활성을 조절하여 중성지방의 분해과정에 관여하기는 하나 에너지 대사와 지방산 산화 과정에도 복합적으로 관여하여 최종적으로 나타내는 비만 대사 조절 효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ID1216은 $SIRT1-PGC1{\alpha}-PPAR{\alpha}$ pathway를 촉진시켜 세포와 조직 수준에서 열발생(thermogenesis)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UCP1, UCP2, UCP3의 발현을 증가시켰고 ${\beta}$-oxidation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ACO와 aP2의 발현도 증가시켰으며 또한 지방분해(lypolysis)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ATGL과 HSL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나타내어 체지방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식물추출복합발효물(MP119)이 성기능에 미치는 영향 및 카드뮴 독성에 대한 효과 (Effect of Phyto-Extract Fermented Mixture (MP119) on the Sexual Functions and on the Toxicities of Cadmium)

  • 장영선;정종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724-1731
    • /
    • 2009
  • 마카, 홍삼, 남가새 추출물을 일정한 무게 비율로 혼합하여 발효시켜 얻어진 식물추출복합발효물(MP119)이 성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과 PDE(phosphodiesterase)에 대한 저해효과를 통해 혈액순환부진 개선 및 cGMP 농도에 의한 발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MP119의 AC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IC_{50}$값이 241.3${\pm}$35.5 ppm, PD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IC_{50}$값이 372.2${\pm}$33.8 ppm으로 나타나 혈관확장으로 인한 혈류량 증가 및 cGMP농도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MP119는 마우스 정소세포인 TM3 cell에 유의성 있는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TM3 cell에 농도별로 처리했을 때 세포배양액으로부터 대조군과 비교하여 최대 20.11% 증가한 testosterone 농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HUVEC에 농도별로 처리했을 때 NO생산량이 MP119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웅성마우스에 MP119를 7일간 경구투여 후 생식장기의 무게와 정자수를 측정하고, MP119를 경구투여한 후 염화카드뮴을 투여하여 생식장기의 무게와 정자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쥐로부터 혈청을 분리하여 혈청 내 testosterone과 cGMP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MP119의 투여를 통해 생식장기의 무게 변화 없이 정자수 증가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더불어 혈청 내 testosterone 및 cGMP의 농도 역시 증가하였다. MP119를 투여한 후 염화카드뮴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역시 정자수 및 혈청 내 testosterone, cGMP 농도 증가를 나타내었으므로 결과적으로 MP119가 염화카드뮴의 독성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청목향 Aristolochiae radix에 있어 F344 랫드의 독성 (Toxicity of Aristolochiae radix in F344 rats)

  • 김충용;김용범;양병철;이종화;정문구;양기화;장동덕;한상섭;강부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9-37
    • /
    • 2005
  • 13-week orally repeated dose toxicity was investigated to ascertain the toxic effects of Aristolochiae radix in F344 rats at dose levels of 0, 1 (0.003 AA, aristolochic acid, mg/kg), 5 (0.014 AA mg/kg), 25 (0.068 AA mg/kg), 125 (0.34 AA mg/kg), and 500mg/kg (AA 1.36 mg/kg). No mortalities were found in any of the dose groups including vehicle control groups of both sexes during the study period. Hematologic and serum biochemical examinations revealed no changes related to the test item in any of the dose groups of both sexes. However, gross findings at necropsy implicated thickening of the stomach wall. I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prominent findings related to the test item treatment were observed in the stomach and urinary bladder. There were squamous cell papilloma, squamous cell hyperplasia, ulceration and erosion observed in the non-glandular stomach. Squamouse cell hyperplasia was observed at dose levels of more than 125 mg/kg in both sexes and squamous cell papilloma was observed at dose level of 500 mg/kg in both sexes.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these proliferating lesions including squamous cell hyperplasia and squamous cell papilloma increased with dose dependency. Transitional cell hyperplasia was also observed in the urinary bladder at dose levels of more than 25 mg/kg in both sexes and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the lesion increased with dose dependency. In conclusion, the toxic changes related to the test item treatment were observed in the stomach and urinary bladder, and the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NOAEL) was estimated to be 5 mg/kg/day for both males and females in F344 rats.

TCDD로 유발된 Oxidative Stress에 대한 생약재 추출물의 방어 및 해독효과 (Protection and Detoxification Effects of Oriental Herb Extract Mixture on TCDD-Induced Oxidative Stress)

  • 황진국;이경진;양희진;박기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94-301
    • /
    • 2008
  • 본 연구는 삼백초(aururus chinensis), 포공영(Taraxacum platycarpum), 유근피(Ulmus macrocarpa), 감초(Glycyrrhiza glabra), 흑두(Rhynchosia nulubilis)로부터 제조된 생약재 추출 혼합물이 dioxin 중 중독성이 가장 강하다고 알려진 2,3,7,8-tetrachlorodinenzo-p-dioxin(TCDD)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하였다. 정상적인 간세포주를 TCDD에 노출시킨 후 OHEM을 처리한 결과, TCDD에 의한 세포독성을 감소시켰으며, 간세포주로부터 생성된 lactate dehydrogenase, nitric oxide, cytochrome p450의 생성량 측정 결과로 OHEM이 TCDD로 유발된 간 독성을 해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rat을 이용한 TCDD 급성독성 유발 실험에서는 TCDD 투여에 의해 증가된 AST, ALT, ALP, LDH 및 동맥경화지수가 OHEM의 투여에 의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OHEM의 사전투여에 의한 방어효과가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p<0.05). 또한 OHEM의 투여가 TCDD에 의해 손상된 간세포 조직의 풍선 병변과 공포화를 감소시켰고, 소장 세포의 조직에서는 융모 조직의 부종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